<본문>
1.너는 부르짖어 보라 네게 응답할 자가 있겠느냐 거룩한 자 중에 네가 누구에게로 향하겠느냐
2.분노가 미련한 자를 죽이고 시기가 어리석은 자를 멸하느니라
3.내가 미련한 자가 뿌리 내리는 것을 보고 그의 집을 당장에 저주하였노라
4.그의 자식들은 구원에서 멀고 성문에서 억눌리나 구하는 자가 없으며
5.그가 추수한 것은 주린 자가 먹되 덫에 걸린 것도 빼앗으며 올무가 그의 재산을 향하여 입을 벌리느니라
6.재난은 티끌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고생은 흙에서 나는 것이 아니니라
7.사람은 고생을 위하여 났으니 불꽃이 위로 날아 가는 것 같으니라
<설교>
엘리바스가 욥에게 충고하는 말을 보면 자기에 대한 생각과 욥에 대한 생각이 어떠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먼저 1절의 “너는 부르짖어 보라 네게 응답할 자가 있겠느냐 거룩한 자 중에 네가 누구에게로 향하겠느냐”라는 말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욥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크게 잘못되어 있는 것으로 단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엘리바스는 욥이 하나님께 부르짖는다 해도 응답하지 않을 것이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욥이 범죄 하였으면서도 죄를 부인하고 회개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엘리바스가 알고 있는 하나님은 범죄 한 자의 기도는 듣지 않으시는 분이었던 것입니다.
반면에 자신에 대해서는 하나님과 바른 관계에 있는 것으로 스스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지난주에 말씀드린 것처럼 자신이 환상 중에 영을 보고 조용한 중에 한 목소리를 들었다는 것으로 ‘나는 욥 너와는 다르다’는 것을 과시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과의 관계에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환상을 보고 음성을 들은 것으로 자신하는 것입니다.
지금의 기독교인들도 엘리바스의 사고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과의 관계를 삶의 형편이나 환경의 좋고 나쁨을 근거로 해서 판단하거나 종교적인 체험을 통해서 판단하는 것입니다. 편안하고 넉넉한 형편은 ‘신앙생활을 잘하기 때문에 하나님이 복을 주셨다’고 생각하는 것이 한 예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생각은 성경의 문제를 떠나서 비논리적이며 비현실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좋은 환경이 신앙과 연결되어 있고 좋은 신앙에 대한 보상이고 결과물이라면 신앙 좋은 신자는 모두 좋은 환경을 누린다는 논리가 되고 바꾸어 말하면 좋은 환경을 누리는 사람은 모두 좋은 신앙인이라는 논리가 됩니다. 이것이 비현실적이라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이 말해준다는 것을 잘 아실 것입니다.
욥과 같은 재앙은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재앙의 배후에는 하나님이 계시는 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재앙이 죄에 대한 심판이라는 것은 하나님이 행하시는 일에서 어긋납니다. 또한 재앙이 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라면 세상의 모든 사람은 평생 하나님으로부터 재앙을 받으며 살아가야 합니다. 모두가 죄인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에서 엘리바스는 자신이 누구인가를 아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지 않은 것이 잘못인 것입니다. 3절에서 “내가 미련한 자가 뿌리 내리는 것을 보고 그의 집을 당장에 저주하였노라”고 말하는 것 자신이 누구인가를 간과하는 잘못됨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미련한 자는 뿌리를 내릴 수 없다는 것이 엘리바스의 생각입니다. 죄인이 편안한 삶을 누리고 잘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미련한 자의 집을 저주하였다고 하는데, 엘리바스 자신도 저주에 속한 자로서 누군가를 저주할 자격이 없음을 모르는 무지의 말일 뿐입니다.
욥의 재앙을 바라보는 엘리바스의 시각은 ‘재앙에는 이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를 범죄의 대가로 보는 것이고 이것이 말씀드린 것처럼 현대 기독교의 시각이기도 하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을 것입니다. 사실 재앙의 이유를 범죄에 두지 않으면 어디에서도 이유를 찾지 못할 것입니다. 재앙은 곧 신의 분노이고 신이 분노하는 것은 인간의 죄 때문이라는 것이 선악과를 먹은 인간에게 구축되어 있는 신지식이기 때문입니다.
엘리바스는 욥이 부르짖어도 응답할 자가 없다고 하는데 그러면 엘리바스 부르짖으면 응답할 자가 있을까요? 엘리바스는 자신 있게 그렇다고 답할 것입니다. 자신에게는 재앙이 없고 환상을 보고 음성을 들은 것이 하나님과 바른 관계에 있는 증거로 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엘리바스 역시 죄인이며 따라서 하나님은 죄인의 기도를 듣지 않으십니다. 다시 말해서 모든 사람의 기도를 듣지 않으시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하는 것입니다. 나의 의가 아니라 예수님의 의를 의지하고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이 기도인 것입니다.
하나님 앞에서는 신앙 좋은 사람 자체가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신앙 좋은 사람의 기도를 응답하신다’고 주장한다면 엘리바스와 다를 바 없는 인간에 대한 무지의 소치일 뿐입니다.
신자의 구원에는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롬 5:8)라는 대명제가 전제되고 있음을 간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즉 그리스도는 죄인을 위해 십자가에 죽으신 것이고 하나님은 죄인을 사랑하신 것이기 때문에 ‘신앙 좋으면’라는 조건이 요구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엘리바스는 하나님이 누구신가를 알지 못한다는 것을 욥에 대한 충고를 통해 스스로 드러내고 있을 뿐입니다.
우리의 구원에 이유가 있습니까? 구원을 떠나서 여러분이 숨을 쉬고 밥을 먹고 일을 하며 하루를 살아가는 것에 이유가 있습니까? 여러분이 신앙생활을 잘해서 그 모든 삶이 보장되고 유지되는가를 묻는 것입니다. 그 모든 삶의 이유가 여러분께 있다면 여러분에게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모두가 ‘자기 덕분’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기독교 신앙이 아닙니다.
그런데도 현대 기독교는 교인을 이유 있는 사람으로 만드는데 힘을 씁니다. ‘신앙생활을 잘하면 복 받는다’는 것도 복의 이유를 인간에게 두는 것입니다. 이것은 신앙이 아니라 종교일 뿐입니다. 종교는 자신의 정성과 선함을 가지고 신을 찾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렘 29:11절에 보면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너희를 향한 나의 생각을 내가 아나니 평안이요 재앙이 아니니라 너희에게 미래와 희망을 주는 것이니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바벨론에 의해 예루살렘이 망하고 많은 백성에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간 상황의 이스라엘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나라가 망하는 것은 엄청난 재앙입니다. 그런데 평안이요 재앙이 아니라고 합니다. 덧붙여서 이스라엘에게 미래와 희망을 주는 것이라고 합니다.
과연 재앙을 이런 시각으로 바라볼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그런데 그것이 재앙의 이유라는 것입니다. 죄에 대한 심판이 아니라 이스라엘에게 미래와 희망을 주어 평안에 있게 하기 위한 하나님의 은혜고 사랑이라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생각하는 미래와 희망은 율법을 잘 지키는 자신들의 신앙실천이었고 그로 인해 하나님으로부터 복을 받아 이방 나라와 같은 부를 누리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현실은 늘 암담했을 뿐입니다. 그래서 이방인이 섬기는 우상을 끌어들인 것입니다.
하나님은 그들의 미래와 희망이 하나님이심을 알게 하기 위해 바벨론을 보내고 포로 되게 하십니다. 예루살렘이 망하는 것을 경험하면서 그동안 이스라엘이 존재했던 이유가 자신들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긍휼과 사랑에 있었음을 배우게 하시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나님의 긍휼과 사랑을 알게 되는 것이 곧 평안임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시각에서 욥의 재앙을 생각하면 뭔가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욥의 미래와 희망이 철저한 자기 신앙생활이 아니라 하나님을 아는 것임을 배우게 하시는 것입니다. 욥의 신앙과 무관하게 하나님의 긍휼과 자비하심이었음을 알게 하시는 것이 하나님의 생각인 것으로 엿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엘리바스는 모든 이유를 인간에게만 둡니다. 그래서 “분노가 미련한 자를 죽이고 시기가 어리석은 자를 멸하느니라”고 말합니다. 욥이 생일을 저주한 것을 하나님께 분노한 것으로 여기고 분노로 인해서 스스로를 멸망케 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엘리바스가 제시하는 해결책은 역시 회개입니다.
6절의 “재난은 티끌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고생은 흙에서 나는 것이 아니니라”는 말도 이유 없는 재난은 없다는 것이고, 따라서 욥의 재난의 이유는 그의 죄에 있다는 주장입니다. 이렇게 엘리바스는 한 결 같이 재앙의 이유를 욥의 죄에 두고 있습니다. 문제는 엘리바스와 같은 말을 현대 교회에서도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재앙으로 욥에게 있는 모든 것을 잃게 하셨는데 욥은 재앙의 이유를 알지 못해 답답해합니다. 자신의 철저한 신앙생활을 생각하면 재앙의 이유가 될 죄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욥의 잘못이었습니다. 즉 욥의 철저한 신앙이 욥을 유지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긍휼이고 사랑이었음을 모른 것입니다. 이런 욥에게 하나님이 찾아오시고 모든 것이 하나님으로 말미암은 것임을 알게 하신 것이 복입니다.
Chapter 12
There Is A Reason
Call now, if there be any that will answer thee; and to which of the saints wilt thou turn?
For wrath killeth the foolish man, and envy slayeth the silly one.
I have seen the foolish taking root: but suddenly I cursed his habitation.
His children are far from safety, and they are crushed in the gate, neither is there any to deliver them.
Whose harvest the hungry eateth up, and taketh it even out of the thorns, and the robber swalloweth up their substance.
Although affliction cometh not forth of the dust, neither doth trouble spring out of the ground;
Yet man is born unto trouble, as the sparks fly upward. (Job 5:1-7 KJV)
(Sermon)
Taking a look at the advice Eliphaz gives to Job, we can find what he thinks of himself and Job. Verse 1, "Call now, if there be any that will answer thee; and to which of the saints wilt thou turn?", implies that Eliphaz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Job is something wrong.
He is saying even if Job cries out, God will not answer him because Job denies his sin, not repenting. Eliphaz's understanding of God is that God will not hear a prayer of one that has sinned.
On the other hand, he thinks himself in the right relationship with God. As spoken last week, Eliphaz insinuates that he is different from Job by saying that he saw a vision and heard the voice of God, meaning he has no problem with the relationship of God.
There is hardly a difference between Eliphaz and modern Christianity, thinking that the relationship with God could be evaluated by conditions of situations or environments, or religious experiences. For example, many conclude that one's financially sufficient and comfortable life comes from God's blessing for one's dedicated life for God.
Yet, such ideas are illogical and unrealistic, regardless of the Bible. If situations are related to the life of faith and good environments are the result of good life of faith, it means all believers who have good life of faith should have good environments in life and reversely speaking, all who have good environments in life are believers who have good life of faith. I am sure we all know such thoughts are unrealistic, proven by our daily lives.
The disasters Job had could happen to anyone, and it is true that there is God behind the afflictions. However, it is wrong to say that disasters are the judgement of God against sin. If they were the judgement of God, all men in the world would be living under such troubles because all are sinners.
In this sense, Eliphaz is wrong to begin with the ignorance of who he is, vouched by Verse 3, "I have seen the foolish taking root: but suddenly I cursed his habitation."
Eliphaz understands that the foolish can't take root, thinking it is not right that a sinner has a comfortable life. Yet, it is his ignorance that he also belongs to the curse, not deserving to curse someone else.
Eliphaz's point of view is on an idea that there is a reason for a disaster. The reason is on a consequence of sin, whose thought is not far from modern Christianity. In fact, there might seem nowhere else to explain the reason of disasters without sin. This idea is the knowledge of God of men after eating of the fruit of the tree in Genesis Chapter 3, thinking disasters are the fury of God due to men's sin.
Eliphaz says there is no answer from God for Job's cry. Then, what if he cries out to God? He would definitely say God would answer him because he is not under disasters and saw the vision and heard the voice of God, giving him an evidence that he is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Yet, he is also a sinner, so God doesn't hear a prayer of a sinner. In other words, God hears nobody's prayer. That's why we pray in the name of Jesus Christ. It is a prayer for us to depend not on our righteousness but on that of Christ.
It would be for one to expose one's ignorance like Eliphaz if one claims, 'God answers a prayer of people who have good life of faith' since there is no one who has good life of faith before God.
We mustn't forget the premise, 'while we were yet sinners (Romans 5:8)', for our salvation. That is, God loves the world and Christ died on the cross for sinners, so there is no condition of 'good life of faith.' Therefore, Eliphaz is being revealed that he doesn't know who God is through his advice to Job.
Do we have a reason to be saved? Is there a reason for us to live, being able to breathe smoothly, eat well, and have a job and work day by day? I'm asking you if your life is kept well due to your good life of faith? If the reason were on you, there would be no grace and love of God because everything would be the result of what you've done. This is not the faith of Christianity.
Nevertheless, modern Christianity tries to make people have a reason to be saved, one of which is 'you will be blessed if you devote yourself to God.' This is not Christianity but a mere religion because religions pursue gods by their own works and goodness.
In Jeremiah 29:11, it says, "For I know the thoughts that I think toward you, saith the LORD, thoughts of peace, and not of evil, to give you an expected end."
This is the Word of God to Israel after Jerusalem was destroyed and they were captured, taken to Babylon. The destruction of a nation is a great disaster. Yet, God says it is peace and not evil. Furthermore, God says to them to give them an expected end.
Who would see a disaster in this aspect? Yet, God says this is the reason of the disaster, meaning that the disaster is not God's judgement against sin but the grace and love of God to give them future and hope, resulting in peace.
What the Israelites thought of future and hope was their obedience of the Word of God, resulting in God's blessings, making them live with earthly riches like gentiles around them. Yet, their reality was always dark, causing them to adopt idols from gentiles.
God'd rather led them to captivity so that they would learn their future and hope would be nothing else but God Himself. What God intended to teach them by the captivity is that they would find their existence had not been on themselves but on the mercy and love of grace of God. This knowledge is called, 'peace.'
In such aspect, we can learn something from Job's disasters. That is, the future and hope of Job is not of his strict life of faith but God. We can understand the intention of God toward Job is to let him know he lives dependent on God's compassion and mercy regardless of his faith.
On the contrary, Eliphaz views everything from men's point of view. That's why he says, "For wrath killeth the foolish man, and envy slayeth the silly one." He thinks Job's cursing on his birthday was the wrath toward God, causing Job to slay himself. Eliphaz's solution for this matter is also repentance.
Verse 6, "Although affliction cometh not forth of the dust, neither doth trouble spring out of the ground", means that there is no affliction without a reason. Thus, he is saying Job's afflictions are from his sin. Likewise, Eliphaz consistently claims that all of Job's troubles are of his sin. Yet, what matters is that christians in modern Christianity are talking about the same thing as the words of Eliphaz.
God let Job lose everything by giving him such troubles and Job is frustrated, not knowing the reason why because of his thorough life of faith, he can't think of any other reasons to have the hardships. This is Job's fault. That is, he is ignorant that he lives not by his life of faith but by God's compassion and love for him. It is God's blessing to visit such person like Job to let him know who God is and what love of God is!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강) 전능자의 징계 (0) | 2023.05.15 |
---|---|
(13강) 나라면 (0) | 2023.05.15 |
(11강) 자기 경험 (0) | 2023.05.11 |
(10강) 그대로 거두나니 (0) | 2023.05.11 |
(9강) 이 일이 네게 이르매 (0) | 202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