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8.나의 간구를 누가 들어 줄 것이며 나의 소원을 하나님이 허락하시랴
9.이는 곧 나를 멸하시기를 기뻐하사 하나님이 그의 손을 들어 나를 끊어 버리실 것이라
10.그러할지라도 내가 오히려 위로를 받고 그칠 줄 모르는 고통 가운데서도 기뻐하는 것은 내가 거룩하신 이의 말씀을 거역하지 아니하였음이라
11.내가 무슨 기력이 있기에 기다리겠느냐 내 마지막이 어떠하겠기에 그저 참겠느냐
12.나의 기력이 어찌 돌의 기력이겠느냐 나의 살이 어찌 놋쇠겠느냐
13.나의 도움이 내 속에 없지 아니하냐 나의 능력이 내게서 쫓겨나지 아니하였느냐
<설교>
흔히 욥의 신앙을 인내로 말하지만 성경을 보면 욥은 인내한 것이 없습니다. 물론 자녀와 소유물을 모두 잃었을 때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오니”라는 생각으로 범죄 하지 않고 하나님을 원망하지 않았던 것과, 온 몸에 종기가 나고 그의 아내가 하나님을 욕하고 죽으라는 심한 말을 했을 때도 “우리가 하나님께 복을 받았은즉 화도 받지 아니하겠느냐”는 말로 역시 하나님을 원망하지 않았던 것을 근거로 한다면 욥이 인내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욥은 곧 이어 생일을 저주하고 죽어서 나지 않은 것을 한탄합니다. 그렇다면 욥은 처음에는 인내했다가 결국 고통을 견디지 못하고 인내의 신앙에서 실패한 사람입니까?
약 5:11절을 보면“보라 인내하는 자를 우리가 복되다 하나니 너희가 욥의 인내를 들었고 주께서 주신 결말을 보았거니와 주는 가장 자비하시고 긍휼히 여기시는 이시니라”고 말합니다.
이것을 보면 신약에서는 욥을 인내의 신앙인으로 인정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럼에도 분명한 것은 욥이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을 참고 견딘 것이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야고보가 말하는 욥의 인내는 욥이 모든 고통의 상황을 참고 견뎠다는 의미의 말이 아님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욥이 인내하지 못하고 결국 하나님을 원망한 것으로 말하게 되면 한 가지 부딪히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것은 애당초 욥의 고난이 “욥이 어찌 까닭 없이 하나님을 경외하리이까”라는 사탄의 도발로 시작되었기 때문입니다. 사탄의 생각은 하나님이 그의 모든 소유물을 친다면 틀림없이 하나님을 향하여 욕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사탄의 생각이 틀렸다는 것이 증명되기 위해서 욥은 끝까지 하나님을 원망하지 않아야 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욥기를 읽게 되면 이해에 혼란이 있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욥기는 ‘사탄의 생각이 옳은가 하나님의 생각이 옳은가?’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성경이 아닙니다. 성경은 아예 그런 문제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하나님은 애당초 누군가를 대상으로 비교해서 옳고 그름으로 판단될 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처음부터 선하시고 의로우신 분으로 우리에게 존재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이 행하시는 모든 일에 불의는 없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것을 아는 것이 곧 인내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인내는 참고 견디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누구신가를 아는 가운데서 자신이 겪는 어떤 사건도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 인내인 것입니다.
우리는 수많은 일을 겪으며 살아갑니다. 어떤 것은 견딜만한 가벼운 일일 것이고 또 어떤 것은 우리를 고통과 고민에 빠지게 하는 무거운 일일 것입니다. 그런 경우 많은 사람들은 ‘내가 무슨 잘못을 했기에 이런 일을 겪게 하는가?’라며 하나님을 원망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잘 안다고 생각하면서도 늘 잊고 살아가는 중요한 사건 하나가 있습니다. 그것은 저주 아래 있는 우리를 불쌍히 여기시고 하나님의 아들을 십자가에 못 박히게 하셔서 그 피로 우리의 모든 죄를 씻어주신 것입니다. 우리에게 과연 이보다 더 가치 있고 중요한 사건이 있을까요?
그래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 안에서 우리의 현재를 보게 되면 어떤 형편의 현재에서도 하나님의 은혜를 말하게 되고 감사의 고백을 하게 되는 것이며 하나님이 행하신 일이 우리 안에 기쁨이 되는 것을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욥은 “그러할지라도 내가 오히려 위로를 받고 그칠 줄 모르는 고통 가운데서도 기뻐하는 것은 내가 거룩하신 이의 말씀을 거역하지 아니하였음이라”(10절)는 말을 합니다.
욥이 생각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욥의 근본적인 문제는 지금까지의 신앙을 자신의 결단과 의지와 실천에 의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이 살게 하심으로 살아온 것이 아니라 자신의 힘으로 범죄 하지 않고 신앙을 지키며 살아왔던 것입니다. 이러한 욥에게서 드러나는 것이 자부심입니다.
4절의 “전능자의 화살이 내게 박히매 나의 영이 그 독을 마셨나니 하나님의 두려움이 나를 엄습하여 치는구나”라는 말을 보면 욥은 하나님이 자신을 죽이고자 하시는 것으로 생각한 것 같습니다. 화살이 적을 죽이는 무기임을 생각하면 전능자의 화살이 박혔다는 표현에서 그것을 읽을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9절의 “이는 곧 나를 멸하시기를 기뻐하사 하나님이 그의 손을 들어 나를 끊어 버리실 것이라”는 말에서도 그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욥이 자신이 처한 현실에서 하나님이 자신을 죽이고자 하신다는 것을 느꼈다면 그것은 그동안의 모든 신앙 자부심이 무너지는 것이 됩니다. 하나님이 죽이고자 하신다면 그것은 분명 욥에게 문제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욥은 지금까지의 자기의 신앙생활이 부인되는 것을 견딜 수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이 자신을 끊어 버리는 것 같은 고통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지 않은 것을 기뻐한다는 말을 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그렇게 보면 욥에게 있어서 견딜 수 없는 고통은 자식과 소유물을 모두 잃고, 온 몸의 종기로 인한 고통이 아니라 하나님을 신앙해 왔던 모든 삶이 무의미한 것으로 부인되는 것이었음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유물을 치면 하나님을 욕할 것이라는 사탄의 말은 틀린 것이 됩니다. 욥이 생일을 저주하게 된 것은 자식과 소유를 잃은 고통이나 육신의 고통 때문이 아니라 그동안 힘쓰며 살아왔던 삶의 정당성과 공적과 가치가 무너지는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욥은 하나님에 대해 알고 있는 자기 지식만으로도 하나님을 원망하지 않고 범죄 하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지금까지 하나님을 신앙하는 자로 살아온 삶의 가치를 지키기 위한 욥의 자존심이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의 은혜로 존재합니다. 자기 열심과 의지로 신앙을 지켰다고 자부한다 해도 실제는 예수님의 은혜로 살았을 뿐입니다. 그래서 신자에게는 내세울 수 있는 자존심이라는 것이 없으며 욥처럼 ‘내가 말씀을 거역하지 않고 살았다’는 것도 기쁨이 될 수 없습니다. 하나님의 긍휼히 여겨주심이 있어서 오늘의 내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신자 된 우리에게 위로가 되고 기쁨이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욥이라면 재앙이 죄 때문이라는 엘리바스의 말을 순순히 인정할 수 있겠습니까? 우리가 비록 죄인이라는 말에 입에 달고 산다 해도 엘리바스의 말에는 욥처럼 반응했을 것입니다. 엘리바스의 말을 인정하는 것은 그들보다 신앙이 못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되고 그것은 곧 패배하는 것이고 자존심이 무너지는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죄인이라고 하면서도 정작 누군가가 ‘너는 악한 죄인이다’라고 하면 발끈하게 되는 것입니다.
욥의 자리에 우리가 있습니다.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유대인 무리 속에 우리가 있는 것처럼 욥에게서 우리를 보게 됩니다. 예수를 믿는다고 하면서도 예수님이 흘리신 피의 은혜가 우리를 살게 한다는 것을 잊어버린 우리에게 예수님의 크신 은혜가 아니면 안된다는 것을 알게 하기 위한 하나님의 일이 수시로 우리에게 사건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신자 된 우리는 순간순간의 사건들을 겪으면서 자존심을 버리지 못하는 나를 보게 되고 그런 나에게서 죽음의 흔적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죽음의 흔적들은 우리를 예수님의 피의 세계로 끌어갑니다. 이렇게 우리의 삶은 어느 한 순간도 하나님의 손길과 간섭에서 벗어난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신자는 자기의 미래에 대해 불안해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확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믿음이 곧 인내입니다.
여러분이 어떻게 살았든 그것으로 인생의 보람을 삼지 마십시오. 그것은 남보다 잘 살았다고 자부하고 싶은 자존심일 뿐입니다. 이 자존심이 여러분으로 하여금 예수님의 은혜를 외면하게 하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보다 착하게 살고 신앙생활도 잘했다고 생각합니까? 그런데 그 모든 것을 다 모은다 해도 그것으로 여러분께 있는 죽음의 흔적을 가릴 수 없습니다. 죽음의 흔적은 예수님이 흘리신 피로써만 가려지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깨닫게 된 신자가 할 말은 ‘피의 은혜가 살게 한다’는 것뿐입니다.
Chapter 16
The Reason For Joy
Oh that I might have my request; and that God would grant me the thing that I long for!
Even that it would please God to destroy me; that he would let loose his hand, and cut me off!
Then should I yet have comfort; yea, I would harden myself in sorrow: let him not spare; for I have not concealed the words of the Holy One.
What is my strength, that I should hope? and what is mine end, that I should prolong my life?
Is my strength the strength of stones? or is my flesh of brass?
Is not my help in me? and is wisdom driven quite from me? (Job 6:8-13 KJV)
(Sermon)
Although we often hear that the faith of Job is proven by his patience, we can't find his patience in the Book of Job. Of course, we can see it when he said at the loss of his children and all the possessions, "the Lord gave and the Lord has taken away", and he sinned not nor charged God foolishly. Furthermore, when he had sore boils all over his body and his wife told him to curse God and die, he wasn't resentful against God by saying, "What? shall we receive good at the hand of God, and shall we not receive evil?"
Yet, Job cursed his day of birth and lamented he was born alive soon after all that had happened above. If so, did Job show patience first and fail later due to the pain?
In James 5:11, it says, "Behold, we count them happy which endure. Ye have heard of the patience of Job, and have seen the end of the Lord; that the Lord is very pitiful, and of tender mercy."
Taking a look at it, we find that he is admitted as one with patience in the New Testament. Nevertheless, one thing for sure is that he didn't endure all his given situations. Thus, we can learn that the patience the Book of James says is not that Job endured all the afflic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onflict if we conclude he wasn't patient and resentful against God, which is the fact that his afflictions began by Satan's provocation, "Does Job fear God for nothing?" Satan's thought was that if God hit his possessions, he would curse God. Thus, he shouldn't have been resentful against God until the end in order to prove Satan is wrong. That's why there is a confusion in the understanding of the Book of Job.
However, the Book of Job is not to prove, "whose thought is right between God and Satan?" The Bible has no interest in such question at all because God is not one needed to be proven by comparison to others if right or wrong. God is good and righteous to us all from the beginning. Thus, there is nothing unrighteous in the work of God.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o know this truth is patience. In other words, patience is not to endure circumstances, but to come to know in the knowledge of God that there is nothing significant we experience in life.
We live experiencing in a variety of things. There are things we can bear and there are things we can't. In the latter cases, people often resent God by saying, "what have I done wrong to have such bad things?"
Yet, there is one thing we always forget though we say we know well. That is God's forgiveness of our sin under the curse by the blood of the Son of God on the cross in His mercy. Is there any other more important thing than this?
Thus, when we take a look at our current situations in the cross of Jesus Christ, we always come to give thanks for the grace of God and experience joy in us for His work.
Yet, Job says in Verse 10, "Then should I yet have comfort; yea, I would harden myself in sorrow: let him not spare; for I have not concealed the words of the Holy One."
What do you think he is thinking of? His fundamental problem is that he regards his faith as something he can determine in his will. In other words, it is not that he has lived by God but that he has kept his faith and not sinned by himself. What is revealed here is his pride.
Pondering Verse 4, "For the arrows of the Almighty are within me, the poison whereof drinketh up my spirit: the terrors of God do set themselves in array against me", Job must have thought God was going to kill him, thinking the arrows are weapons to kill enemies. He also says in Verse 9, "Even that it would please God to destroy me; that he would let loose his hand, and cut me off!", in the same meaning.
In such thoughts, what he has been proud of in his faith is to collapse. If God would kill him, it would be obvious that there is something wrong with him. Yet, it seems that he can't stand that his faith he has kept so far is denied. Isn't that why he is saying he would still have this consolation, his joy in unrelenting pain, that he had not denied the words of the Holy One?
In this sense, we can find that the unbearable pain for Job is not the loss of his children and possessions or sore boils, but the fact that his faith for God so far is denied as the one meaningless.
Thus, the word of Satan was proven wrong, touching his all possessions, because his curse on his birthday is not of the loss or the pain on his body, but the destruction of his life he has been endeavoring for his faith, which is the justification and value of his righteousness.
Job could prevent himself from sinning even by his knowledge of God, but it could be seen as his pride to keep himself who has been living for God.
We live by the grace of the blood of Jesus Christ. Even if we say we have kept our faith with our zeal and will, it will be for sure that we will have lived by the grace of the Lord only. Therefore, there is no pride in believers and no joy even for the words like Job said, "I had not denied the words of the Holy One." It is because we live under the fact that God gives mercy on us. This is our comfort and joy as believers.
If you were Job, would you gladly accept the words of Eliphaz, saying that the afflictions were caused by your sins? Although we confess we are in our sinful nature, we would have reacted as Job did. Admitting Eliphaz's words means that our faith is lower than that of his friends, which makes us feel losers and hurt our pride. That's why we easily lose our temper when we are told, "we are evil sinners", although we admit we are sinners.
We stand in Job's shoes. As we are found among the Jews, who crucified Jesus, we see ourselves in Job. It is a daily occurrence that we live by the work of God, who lets us know we can't exist for a moment without the infinite grace of Jesus, even in our ignorance of the blood of Christ.
That's why we come to find moment by moment through our lives that we are dead in our sinful nature, not forsaking our pride. We are, then, led to the world of the blood of Jesus. Likewise, there is not even one second that we are out of God's hand and His interruption. Thus, believers have no worries about their future. It is because their future is already determined in Jesus Christ. This very faith is the patience.
No matter how you have lived, don't take it as rewards of your life. It is nothing more than your pride that you have lived better than others. This pride takes you away from the grace of the Lord.
Do you think you have been better in your life of faith than others? Even if you gathered all of your goodness together, you can't cover your marks of death because they can only be covered by the blood that Christ shed. The only confession that believers who know the truth above can say is, "I live only by the grace of His blood"!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강) 나의 의가 건재하니 (0) | 2023.05.15 |
---|---|
(17강) 친구에 대한 실망 (0) | 2023.05.15 |
(15강) 전능자의 화살 (0) | 2023.05.15 |
(14강) 전능자의 징계 (0) | 2023.05.15 |
(13강) 나라면 (0)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