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스의 삶

하나님이 모든 사람을 순종하지 아니하는 가운데 가두어 두심은 모든 사람에게 긍휼을 베풀려 하심이로다(로마서 11:32)

나는 날마다 죽노라(로마서 15:31)

◈신윤식 목사(은석교회)/욥기

(22강) 조상의 지혜

Hebrew 2023. 5. 15. 09:46

<본문>

8.청하건대 너는 옛 시대 사람에게 물으며 조상들이 터득한 일을 배울지어다 

9.(우리는 어제부터 있었을 뿐이라 우리는 아는 것이 없으며 세상에 있는 날이 그림자와 같으니라) 

10.그들이 네게 가르쳐 이르지 아니하겠느냐 그 마음에서 나오는 말을 하지 아니하겠느냐 

 

 

<설교>

이스라엘의 신앙은 하나님의 율례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조상의 전통과 규범이 후손에게 가르쳐지고 전달되는 방식으로 유지되어 왔습니다. 따라서 이스라엘 사회에서의 신앙의 권위로 존재했던 것은 하나님의 율례가 아니라 조상의 전통과 규범이었다고 해야 맞습니다. 

 

 

물론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율례를 무시하고 버렸다는 뜻이 아니라 조상의 전통과 규범을 곧 하나님의 율례로 여긴 것입니다. 왜냐하면 조상의 전통과 율례가 결국은 하나님의 율례를 바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조상의 전통과 규범을 권위로 인정하게 되면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인정하지 않게 됩니다. 이것이 유대 사회가 예수님의 말씀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현대의 기독교도 조상의 전통과 규범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합니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신앙의 형태와 규범이 마치 성경적인 것처럼 권위로 자리한 채 전통과 규범에서 벗어나는 다른 해석은 용납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조상의 전통을 권위로 내세워서 전통에서 벗어난 생각을 굴복시키는 일들이 비일비재합니다. 

 

 

본문에서도 빌닷이 자신들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는 욥을 굴복시키기 위해 조상의 전통을 앞세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조상의 가르침이 이러하니 고집을 버리고 자신들의 말을 받아들이라는 취지였을 것입니다. 

 

 

빌닷은 8절에서 “청하건대 너는 옛 시대 사람에게 물으며 조상들이 터득한 일을 배울지어다”는 말로 조상이 터득한 일, 즉 조상의 지혜를 언급합니다. 조상으로부터 내려오는 지혜를 생각하고 그 지혜로 자신을 돌아보라는 의미입니다. 욥의 생각보다는 옛날 조상이 경험하고 배우고 깨닫게 된 지혜가 더 옳고 권위가 있지 않느냐는 취지인 것입니다.

 

 

9절의 “(우리는 어제부터 있었을 뿐이라 우리는 아는 것이 없으며 세상에 있는 날이 그림자와 같으니라)”는 말이 그런 의미입니다. 

 

 

조상의 지혜는 단기간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쌓이고 그것이 진리로 굳어진 것입니다. 반면에 욥이 알고 있는 것은 조상이 터득한 일에 비하면 욥이 어제부터 있었을 뿐이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짧습니다. 또한 그림자가 해가 지면 사라지는 것처럼 욥이 세상에 있을 날도 그러하니 조상의 지혜를 따르라는 뜻입니다.

 

 

빌닷의 말은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조상의 전통과 규범을 하나님의 말씀의 권위로 인정하는 분위기에서 당연하고도 옳은 충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빌닷과 함께 이스라엘이 이해하고 있는 조상의 지혜가 과연 하나님의 말씀에 일치 하는가입니다. 설사 일치 한다 해도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고자 하는 이스라엘이라면 조상의 지혜와 전통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 자체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것은 전통과 규범에 붙들려 있는 현대 교회도 깊이 생각해야 할 문제입니다. 표면적으로는 하나님의 말씀을 높이지만 정작 주장하는 것이 전통과 규범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라면 그것은 신앙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빌닷은 욥에 대한 자신의 충고가 조상 대대로 가르쳐지고 전달되는 전통과 동일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욥으로 하여금 자기의 말을 따를 것을 촉구하는 것입니다. 결국 빌닷은 자신을 포함하여 친구들의 말이 조상의 지혜에서 어긋나지 않은 하나님의 말씀인 것을 주장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욥이 자신의 말을 따라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빌닷이 욥의 상황을 조상의 지혜라는 시각에서 바라보고 이해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사실 그렇기 때문에 욥이 처한 상황의 원인이 죄에 있다고 생각하게 된 것이고, 그 상황에서 벗어나는 길은 회개에 있다는 말을 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이스라엘 조상의 전통임과 동시에 인간 역사에 담겨 있는 종교의 전통이고 지혜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욥은 조상의 전통과 지혜로는 자신의 상황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재앙이 주어질 만큼의 죄를 범한 적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욥의 생각이 조상의 지혜와 전통의 기주에서 어긋난 것이기에 빌닷과 다른 친구들도 욥이 틀렸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틀린 정도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과도 같은 조상의 지혜와 전통을 따르지 않는 불신앙으로 간주한 것입니다.

 

 

11,12절을 보면 “왕골이 진펄 아닌 데서 크게 자라겠으며 갈대가 물 없는 데서 크게 자라겠느냐 이런 것은 새 순이 돋아 아직 뜯을 때가 되기 전에 다른 풀보다 일찍이 마르느니라”고 말합니다.

 

 

왕골이나 갈대가 비록 크게 자라기는 하지만 물 없는 곳에서는 자랄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특별히 지혜라고도 할 것이 없는 당연한 이치입니다. 그런데 빌닷은 이것을 조상이 터득한 일, 지혜로 말하면서 하나님을 믿는 신앙의 내용으로 설명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인간이 아무리 잘나고 열심이 있다 해도 하나님이 없이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물 없는데 있는 것은 다른 풀보다 일찍 말라버리는 것처럼 하나님을 잊어버린 자의 길도 다 그와 같다는 것이 빌닷이 말하는 조상의 지혜고 전통입니다. 그리고 지금의 기독교가 가르치는 하나님에 대한 지혜이고 신앙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빌닷은 어떤 의미에서 하나님을 잊어버린 자라는 말을 하는 것일까요? 욥에게 이런 말을 하는 것을 보면 욥은 하나님을 잊어버린 자에 해당하고 자신은 그렇지 않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기준은 역시 욥이 처한 상황입니다. 하나님을 잊어버렸기에 재앙을 겪고 하나님을 잊지 않았기에 재앙을 겪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지금의 기독교 현실 또한 이러한 전통과 세상 지혜에 묻혀 있음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빌닷의 사고가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 지금의 기독교라는 뜻입니다. 

 

 

잠 2:17,18절에 보면 “그는 젊은 시절의 짝을 버리며 그의 하나님의 언약을 잊어버린 자라 그의 집은 사망으로, 그의 길은 스올로 기울어졌나니”라고 말합니다.

 

 

하나님의 언약을 잊어버린 자의 집이 사망으로, 그 길이 스올로 기울어졌다는 것은 언약을 잊어버린 것이 곧 하나님을 잊어버린 것임을 뜻합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언약은 잊지 않았는데 하나님을 잊을 수는 없는 것이고 하나님은 잊지 않았는데 언약을 잊어버린 경우는 없다는 것입니다. 언약 자체가 곧 하나님이란 뜻입니다.

 

 

그러면 만약 빌닷이 언약을 잊지 않았다면 욥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여야 했을까요? 시 50:5절에서 “이르시되 나의 성도들을 내 앞에 모으라 그들은 제사로 나와 언약한 이들이니라 하시도다”라고 말씀한 것처럼 언약은 제사를 통해서 드러납니다. 그리고 제사는 이스라엘의 죄를 제물로 인해서 책망하지 않겠다는 하나님의 긍휼을 증거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약을 잊지 않는 자는 하나님의 긍휼로 인해 감사하게 됩니다. 

 

 

따라서 누구든 죄인 된 자신을 제물의 피로 인해 용서하신 하나님의 긍휼에 대한 감사가 없다면 그는 하나님을 잊은 자일뿐입니다. 이것을 시 50:22절에서 “하나님을 잊어버린 너희여 이제 이를 생각하라 그렇지 아니하면 내가 너희를 찢으리니 건질 자 없으리라”고 말씀합니다. 

 

 

이처럼 언약을 기준으로 하여 생각한다면 정작 하나님을 잊은 자는 빌닷입니다. 물론 욥도 하나님의 언약에서 하나님을 생각하지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실상이 자신은 재앙이 없다하여 욥과는 다르고 죄도 없고 하나님과의 관계도 바르다고 생각한 빌닷에 더 가깝기에 언약을 잊은 빌닷에서 우리의 현실이 어떠한지를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누군가를 판단하기 전에 나는 어떤 사람인가부터 깊이 성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빌닷이 20-22절에서는 욥에게 듣기에 좋은 말을 합니다. 위로해주기 위해서 한 말이었겠지만 말 그대로 듣기에 좋으라고 한 말일 뿐입니다. 이 또한 지금의 기독교의 전통적이고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하나님은 하나님을 잘 믿는 사람을 버리지 않고 붙들어 주시며 결국 웃음과 즐거움으로 채워주신다’는 기독교의 전통적이지만 공허한 말이 난무하는 현재에서 우리가 생각해야 하는 것이 그것이 곧 하나님을 잊은 자라는 것입니다.

 

 

신자는 조상의 전통과 지혜가 아니라 십자가의 은혜에 이끌려 가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나의 나 된 것은 주의 은혜임을 고백할 뿐이지 나의 잘됨을 위해 하나님을 찾지 않습니다. 성령이 우리를 이러한 믿음의 길로 가게 합니다.

 

Chapter 22

  

Ancestors' Wisdom

  

For enquire, I pray thee, of the former age, and prepare thyself to the search of their fathers:

(For we are but of yesterday, and know nothing, because our days upon earth are a shadow:)

Shall not they teach thee, and tell thee, and utter words out of their heart? (Job 8:8-10 KJV)

  

(Sermon)

  

Jewish faith was kept in the way of teaching their tradition and norms to the next generations although there was the existence of the ordinances of God. Thus, it is correct to say that their acknowledgement of faith was not on the Word of God but their tradition and norms.

  

Of course, I'm not saying they abandoned the Word of God but they considered their ancestors' traditional things and norms as the Word of God because their ancestors' tradition and norms were built on the Word of God. Likewise, once they admitted their ancestors' traditions and norms as the authority of the Word of God, they wouldn't accept any other interpretation of the Word of God as the Jewish society rejected the authority of the Word of Jesus.

  

Christians in modern Christianity are not free from the traditional things and norms either. They wouldn't admit any other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while accepting the traditions and norms as the authority of the Word of God. Thus, we can often see that many people would insist on their traditions for their authority while refusing any other.

  

In today's passage, we can also see Bildad, trying to persuade Job, who was not listening to him and Eliphaz. Bildad must have meant to tell him to accept their words because their words were from their ancestors' wisdom. 

  

In Verse 8, Bildad mentions their fathers' findings by saying, "For enquire, I pray thee, of the former age, and prepare thyself to the search of their fathers." He says to Job to search himself with the wisdom of their fathers, implying that his words are right and have more authority than Job's since he is saying what he learned from their fathers. 

  

Verse 9, "For we are but of yesterday, and know nothing, because our days upon earth are a shadow", is what he means.

  

The wisdom of the ancestors didn't take a short time but long and was accumulated and settled as truth. On the contrary, what Job knows is of yesterday compared to their fathers. Furthermore, Bildad says as the shadow disappears when the sun sets, the days of Job are too short, so he should listen to the wisdom of their ancestors. 

  

The words of Bildad could be seen right and good advice, as I told you earlier, in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The question is if the wisdom of their ancestors is right, including that of Bildad's, according to what the Word of God teaches. Even if it were, they ought not to focus on their traditions but the Word of God itself. 

  

This is what we should take a deep consideration in modern Christianity, captured in traditions and norms because it is not of faith although many mention the name of God and quote the Bible verses, if what they say is bound by their traditions and norms. 

  

Bildad thinks his advice to Job is the same as their ancestors' wisdom, so he urges Job to listen to him. Consequently, we can learn that he and his friends claim that their words, not against the wisdom of their ancestors, are according to the Word of God, supporting the reason why Job should listen to them.

  

The words of Bildad tell us that he sees Job's situation in the wisdom of their ancestors. That's why Job's friends think the cause of Job's afflictions is on his sins, urging him to repent because it is the tradition of their ancestors as well as that of religions throughout human history. 

  

Yet, Job couldn't understand his own situations in the wisdom of their ancestors. It is, most of all, because he had never sinned so much that he would receive the afflictions. Since such thought of Job was against the ancient wisdom, Bildad and his friends thought Job was wrong. They even thought Job had no faith, not following the wisdom and tradition of their fathers. 

  

In Verses 11 and 12, it says, "Can the rush grow up without mire? can the flag grow without water? Whilst it is yet in his greenness, and not cut down, it withereth before any other herb."

  

He is saying although the rush and the flag grow big, they can't without water. What he says here is not even wisdom but something natural. Yet, he is saying it as what the ancestors learned of faith for wisdom. In other words, he is saying no matter how good a person is, he or she can't do anything without God.

  

It is the wisdom and tradition of their fathers that Bildad says that as the grass without water wither faster than the grass with water, so are the paths that forget God. This is what we hear of the faith and wisdom of God in modern Christianity as well. 

  

Then, what does Bildad mean by saying, 'forgetting God'? We can see he implies Job is the one who forgets God and he is the one who doesn't. No doubt he figures it out based on Job's situations, meaning Job is in the afflictions because he has forgotten God and he isn't in such afflictions because he doesn't forget God. 

  

Let me reiterate it that we can't deny that the thoughts of modern Christianity are buried in such ideas of traditions and worldly wisdom. Bildad reveals the thoughts of the world. 

  

In Proverbs 2:17-18, it says, "Which forsaketh the guide of her youth, and forgetteth the covenant of her God. For her house inclineth unto death, and her paths unto the dead."

  

It means that forgetting God is forgetting the covenant of God. In other words, there is no case that one doesn't forget the covenant of God but forgets God or one doesn't forget God but forgets the covenant of God. The covenant of God itself is God. 

  

Then, if Bildad hadn't forgotten the covenant of God, how would he have reacted to Job? As it says, "Gather to me my consecrated ones, who made a covenant with me by sacrifice" in Psalm 50:5, the covenant is revealed by the offerings, and the offerings testify the mercy of God that God wouldn't judge the sin of the people of God due to the sacrifice. Thus, one who doesn't forget the covenant of God comes to be thankful for the mercy of God. 

  

Therefore, whoever is not grateful for the mercy that God has forgiven his or her sin, he or she is revealed as one who forgets God, vouched by Psalm 50:22, "Consider this, you who forget God, or I will tear you to pieces, with none to rescue." 

  

In this sense, the one who forgets is Bildad. Of course, Job doesn't think of God from the covenant of God either. Yet, since we are closer to Bildad, who thinks he is right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because he is not in afflictions, having no sin, we should find ourselves in Bildad, which means we ought to ponder ourselves before judging others. 

  

Then, Bildad says something good for Job to hear in Verses 20-22. Although he says it to comfort Job but it is nothing more than sounding good. It is not different from what modern Christianity says to comfort others either. 

  

'God won't forsake those who believe in God but hold them and fill them with laughters and happiness' sounds just vain and empty and meaningless, which is from those who forget God. 

  

Believers are the ones who are not drawn by traditions and wisdom of ancestors but the grace of the cross. Thus, they confess nothing but 'I am that I am by the grace of God.' They never seek for God to get what they want. The Holy Spirit is the One, who leads us to such faith!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강) 욥의 하나님2  (0) 2023.05.15
(23강) 욥의 하나님  (0) 2023.05.15
(21강) 미약과 창대  (0) 2023.05.15
(20강) 사람이 무엇이기에  (0) 2023.05.15
(19강) 인생에 대한 탄식  (0) 2023.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