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수아 사람 빌닷이 대답하여 이르되
2.네가 어느 때까지 이런 말을 하겠으며 어느 때까지 네 입의 말이 거센 바람과 같겠는가
3.하나님이 어찌 정의를 굽게 하시겠으며 전능하신 이가 어찌 공의를 굽게 하시겠는가
4.네 자녀들이 주께 죄를 지었으므로 주께서 그들을 그 죄에 버려두셨나니
5.네가 만일 하나님을 찾으며 전능하신 이에게 간구하고
6.또 청결하고 정직하면 반드시 너를 돌보시고 네 의로운 처소를 평안하게 하실 것이라
7.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
<설교>
욥의 말이 끝나고 빌닷의 말이 이어집니다. 빌닷은 엘리바스와 동일하게 권성징악, 상선벌악의 원칙에 매인 사고방식 사람입니다. 빌닷 다음에 등장하는 소발 역시 동일한 사고로 욥에게 충고 아닌 충고를 하지만 어쨌든 그들이 하는 모든 말은 하나님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바탕으로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합니다.
이들은 욥이 겪고 있는 재앙의 원인이 죄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재앙을 겪지 않는 자신들은 선에 속했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전형적인 율법주의의 생각입니다. 복과 저주를 율법, 즉 말씀을 실천하고 실천하지 않은 결과로 연결하여 이해하는 것이 교회 내에서도 심각한 문제로 드러나는 것입니다.
제가 말씀드릴 것은 복과 저주는 우리의 생각과 희망을 따라 시행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복과 저주에 대해서는 하나님의 생각과 원칙과 방법이 세워져 있고 하나님은 창조 이후로 지금까지, 그리고 세상 마지막 때까지 그대로 시행하십니다.
따라서 우리는 성경이 말하는 복과 저주가 무엇인가를 알아가면서 우리가 알지 못했던 복과 저주의 세계에 눈을 떠야 하는 것입니다. 그럴 때 신자라는 존재가 따로 복을 구할 필요가 없는 복의 세계에 들어와 있음을 깨닫게 되고 그 복이 찬송과 감사로 끌어감을 체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보면 빌닷이 말한 7절의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는 말도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왜곡과 인간이 꿈꾸는 헛된 희망 등이 담겨 있는 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독교들이 빌닷의 이 말을 마치 하나님이 하신 말씀인 것처럼 생각하고 액자에 담겨서 사업하는 곳에 걸려 있는 것을 보면 실소를 금할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마음이 미약과 창대와 관계없다고도 말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현재의 형편을 미약하다고 생각하면서 늘 창대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결국 빌닷의 말을 통해서 우리가 빌닷과는 다른 사람이 아니라 우리 또한 자신의 현재가 미약하다는 불만과 함께 창대함에 헛된 꿈을 걸쳐두고 살아온 존재였음이 드러나는 것을 확인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빌닷의 말을 포함하여 성경을 대하는 우리의 마음 자세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렇게 보면 우리가 ‘나는 아니다’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참으로 어리석은 율법적 시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자기합리화를 동원하여 스스로를 선한 쪽에 두고 살아왔었음을 보게 됩니다. 호시 이러한 말에 대해서도 여러분은 ‘나는 아니다’라고 구별되고 싶으십니까?
여러분은 자신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존재한다고 생각하실 것입니다. 빌닷이 말한 창대하게 되는 것에 뜻을 두지 않고 현재에 만족하며 감사하는 자로 살기를 원한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십시오. ‘하나님이 나를 지옥 보내신다고 해도 하나님을 믿을 것인가?’아마 ‘그렇다’고 말하지 못할 것입니다. 구원을 위해 하나님을 믿는 것이 아니라 해도 본성 한 편에는 자기 구원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 인간이기 때문입니다.
빌닷이 미약과 창대에 대해 말하면서 앞에 “네가 만일 하나님을 찾으며 전능하신 이에게 간구하고 또 청결하고 정직하면 반드시 너를 돌보시고 네 의로운 처소를 평안하게 하실 것이라”(5,6절)고 말합니다.
빌닷의 생각을 따라 해석을 하자면 ‘하나님은 하나님을 찾아 간구하고 하나님 앞에서 마음이 청결하고 정직한 자를 창대하게 하신다’는 뜻이 됩니다. 이것이 미약한 자가 창대하게 되는 빌닷이 생각하는 조건입니다.
이렇게 어떤 결과에 대해 조건이 요구되는 것을 율법주의라고 말합니다. 조건이 요구되고 요구된 조건에 부합했을 때 약속된 결과로 이어지는 법칙을 갖고 있는 것입니다. 지금의 교회가 이 법칙을 그대로 교인들에게 말하면서도 스스로를 율법주의자로 여기지 않는 것이야 말로 이율배반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나님을 찾아 간구하고 청결하고 정직하면 심히 창대하게 해 주신다 해도 그렇게 할 마음이 없습니까? 그래서 우리의 본성에는 늘 나가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 것이고, 다만 그것을 의식하지 않기 때문에 나 중심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눈치 채지 못하는 것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권선징악, 상선벌악, 이 모든 것은 율법적 사고에서 나와지는 것입니다. 상을 받는 조건이 있고 벌을 받는 조건이 있다는 것이고 벌을 받을 수밖에 없는 조건에서 벗어나 상을 받는 조건을 갖춤으로써 하나님이 창대하게 하신다는 것입니다.
빌닷의 율법적 사고는 2,3절의 “네가 어느 때까지 이런 말을 하겠으며 어느 때까지 네 입의 말이 거센 바람과 같겠는가 하나님이 어찌 정의를 굽게 하시겠으며 전능하신 이가 어찌 공의를 굽게 하시겠는가”라는 말에서도 드러납니다.
빌닷은 하나님을 원망하는 욥의 말을 거센 바람과 같다고 표현합니다. 그것을 하나님의 정의와 공의에서 벗어난 것처럼 보고 정의와 공의를 굽게 하지 않은 하나님이 욥에게 재앙을 내리신 것으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4절의 “네 자녀들이 주께 죄를 지었으므로 주께서 그들을 그 죄에 버려두셨나니”라는 말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자녀들의 죽음을 하나님께 죄를 지은 결과로 보는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이 빌닷에게 구축되어 있는 율법의 틀 안에서 나와지는 것입니다.
복은 처음부터 인간의 조건과 무관합니다. 저주는 물론 인간의 죄로 인한 것입니다. 하지만 저주의 존재에게서 선이 나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복의 조건을 인간이 생산할 수 없다는 것이 성경의 선언이고, 따라서 복은 인간과 무관하게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것입니다.
창 12:2절에 보면 “내가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 네게 복을 주어 네 이름을 창대하게 하리니 너는 복이 될지라”고 말씀합니다.
아브라함이 아니라 아브라함의 이름을 창대하게 하시겠다는 것이고 여기에는 아브라함이 지켜야 할 조건이 없습니다. 오로지 하나님의 약속일뿐입니다. 따라서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약속 안에서 이미 그 이름이 창대한 존재가 된 것입니다. 현재의 모든 현실과 상황을 초월하여 그 이름이 창대한 자로 존재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약속을 받았고 약속 안에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름을 창대하게 하겠다는 약속은 예수님의 오심으로 성취되었습니다. 아브라함의 이름에 예수님이 들어 있었고 예수의 오심으로 인해서 구원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자의 창대함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 자체라는 답을 내릴 수 있습니다. 물론 세상은 다른 창대를 꿈꾸기 때문에 예수그리스도 안의 창대를 무시합니다. 그럼에도 신자는 성령을 받은 자로 창대함의 참됨을 구별하게 되고 세상의 판단과 상관없이 그리스도로 인한 생명에 마음을 두게 됩니다. 이것이 신자의 복입니다.
그러므로 예수 안에 있는 신자는 미약한 상태에서 창대해져가는 과정에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율법의 세계입니다. 신자는 그리스도로 인해서 율법에 매이지 않는 완성의 세계에 속해있음을 알았기에 그리스도가 곧 자신의 창대함이 된다는 것을 믿으며 주로 인해 감사하게 될 뿐입니다.
신자는 이러한 신앙의 세계에 목말라 하면서 창대한 세계에 속한 자로 마음껏 창대함을 누리면서 십자가만 알기를 소원하게 됩니다. 원망과 불평을 품고 있으면서도 아닌 척 했던 우리의 속마음이 발각되게 하시면서 예수님의 십자가를 벗어날 수 없는 무능과 불의라는 우리의 현실에 눈을 뜨게 하시고 예수님의 공로와 은혜의 고마움에 우리 마음을 붙들어 놓으시는 것입니다. 그래서 십자가의 은혜로 감사하게 되는 것 까지도 주의 은혜라는 사실에 동의하게 되는 것이 주께서 일하신다는 증거가 되는 것입니다.
어려움이 있을 때 참고 견디면 하나님이 복으로 갚으신다거나, 원인이 죄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회개하면 어려움이 사라지고 복을 받는다는 모든 말은 율법의 방식일 뿐이라는 것에 염두를 두어야 합니다.
질그릇 조각으로 몸을 긁고 있어도 할 말 없는 것이 인간의 존재입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현재보다 좀 더 창대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끊어버리지 못합니다. 그래서 예수를 잘 믿어보려고 했던 그 모든 것이 신앙이 아니라 율법이었다는 사실을 욥과 그 친구들의 이야기에서 보게 됩니다. 그렇게 우리는 할 말이 없는 존재로 주 앞에 끌려 나올 뿐입니다. 이것이 피 흘리며 서 계신 주님 앞에서의 우리 입장입니다.
Chapter 21
Small and Great
Then answered Bildad the Shuhite, and said,
How long wilt thou speak these things? and how long shall the words of thy mouth be like a strong wind?
Doth God pervert judgment? or doth the Almighty pervert justice?
If thy children have sinned against him, and he have cast them away for their transgression;
If thou wouldest seek unto God betimes, and make thy supplication to the Almighty;
If thou wert pure and upright; surely now he would awake for thee, and make the habitation of thy righteousness prosperous.
Though thy beginning was small, yet thy latter end should greatly increase. (Job 8:1-7 KJV)
(Sermon)
Bildad begins to talk after Job finishes his words. Bildad is the one with a thought of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Zophar talks after Bildad with the same point of view as that of Bildad, but we have to remember they are all talking to Job based on misunderstanding of God.
Since all three of Job's friends assume Job's afflictions are from Job's sin, they think they belong to good because they aren't in such situations. This is a typical thought of legalism, understanding blessing and curse depend on obeying the law, the Word of God, which i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modern Christianity.
What I should tell you is that blessing and curse are not given according to our thoughts or wishes. Regarding blessing and curse, God has His own mind and principles and ways, and has been conducting them so far and will have been conducting them until the end of the world according to His determination.
Thus, we should open our eyes to see the world of blessing and curse while realizing what the Bible teaches of them. Then, we will find that believers don't need to ask God for their blessings additionally since they are already in His blessings, which lead them to the full of praise and gratitude.
In this sense, the phrase, Bildad said in Verse 7, "Though thy beginning was small, yet thy latter end should greatly increase", indicates men's misunderstanding of God and false hope. Nonetheless, since many christians take it as what God said and keep it in the frame, I can't hold my laughing.
In spite of that, we can't say our mind has nothing to do with small and great because we all live thinking what is given now is small and wishing to have something greater.
Consequently, through the words of Bildad, we come to be aware we aren't different from him but come to make sure of how we have been living so far, not being satisfied with what we are given now and carrying fantasies. This should be our attitude for the entire Word of God, not only Bildad's words.
In this aspect, we see ourselves, having lived in our own justification even though it is ridiculous to think, 'I belong to good.' Even after I have told you such, would you still think you are different from Bildad?
You might think you live for the glory of God, having a mind that you want to be thankful for what is given now, not wishing to increase greatly like Bildad said. If so, ask yourself this question, 'even if God sent me to hell, would I still believe in God?' You can't probably say yes easily because all men have a wish to be saved in nature even if salvation is not the reason to believe in God only.
Before Bildad says 'small and great', he says in Verses 5 and 6, "If thou wouldest seek unto God betimes, and make thy supplication to the Almighty; If thou wert pure and upright; surely now he would awake for thee, and make the habitation of thy righteousness prosperous."
According to his philosophy, he is saying, 'God increases one who seeks for God and prays to God and is pure and upright before God. This is the condition that a small one greatly increases.
We call this legalism that some condition is required to get some result. Legalism has a principle that the result is given when the condition is sufficiently fulfill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It is nothing but antinomy that many say such principle but don't consider themselves legalists.
Let us say you would greatly increase if you seek and ask God and are pure and upright. Wouldn't you want it? Thus, it is true that we are all self-centered, but we live, not recognizing it.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and 'rewarding good and cursing evil' are all from legalism, saying there are conditions of receiving rewards and punishments, implying that if one is in the condition of getting punishment, one can get out of it by sufficing the requirements of rewards and greatly increase.
Bildad's thoughts of legalism is seen in Verses 2 to 3, "How long wilt thou speak these things? and how long shall the words of thy mouth be like a strong wind? Doth God pervert judgment? or doth the Almighty pervert justice?"
He says the words of Job sound like a strong wind, meaning that Job damaged God's righteousness and justice whereby he received the punishments because God is just and right.
Verse 4 is the same, "If thy children have sinned against him, and he have cast them away for their transgression." He is saying the cause of the death of his children is their sins. His words are based on the frame of legalism.
Blessings have nothing to do with conditions of men from the beginning. Curse is, of course, caused by men's sin. Thus, since it is impossible for men, under the curse, to produce good, the Bible proclaims that men can't provide any conditions for blessings. As a result, blessings are only from God.
In Genesis 12:2, it says, "And I will make of thee a great nation, and I will bless thee, and make thy name great; and thou shalt be a blessing."
God wouldn't make Abraham great but his name great and there was no condition he was required. There was only God's promise. Thus, Abraham was already the one great in His covenant. He was in his name great over all realities and situations because he was in the covenant of God.
The covenant, making his name great, was fulfilled by the coming of Christ. Jesus was in Abraham's name and He completed the work of salvation on earth.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greatness of believers is in Jesus Christ Himself. No doubt that the world neglects the greatness because it dreams of another kind of increase. Nevertheless, believers keep their minds in life as they discern the true prosperity in the work of the Holy Spirit regardless of what the world says. This is the blessings of believers.
Therefore, believers are not in the progress of 'small to great', which belongs to legalism. For they have found that they are in the world of completion, which can never be bound by the law, they know Christ Himself is their prosperity and give thanks to the Lord.
Believers are only to desire to get to know more of the cross while enjoying the greatness and even thirsting for such world of faith. God is turning our pretense inside out, full of resentments and complaints, revealing the fact that we can't live without the cross of Jesus Christ due to our powerlessness and unrighteousness, and guiding us to the seats of the thankfulness for His grace and labor. Thus, it is the evidence of the work of God that we come to be thankful even for the grace of the cross.
We mustn't forget that it is all from legalism such as 'if we bear hardships, God will pay us back with blessings' and 'if we repent our sins, the difficulties will disappear because they are caused by our sins.'
We are just speechless even if we become the ones scraping ourselves with a broken piece of pottery like Job. Yet, we can't help wishing we would greatly increase more than now. Thus, as we see ourselves, moved by legalism and not by faith like Job's friends, we are brought to the Lord as the speechless ones. This is our position before the Lord, shedding His blood!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강) 욥의 하나님 (0) | 2023.05.15 |
---|---|
(22강) 조상의 지혜 (0) | 2023.05.15 |
(20강) 사람이 무엇이기에 (0) | 2023.05.15 |
(19강) 인생에 대한 탄식 (0) | 2023.05.15 |
(18강) 나의 의가 건재하니 (0)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