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어는 22개의 자음으로 구성(c-신, v-쉰 은 동일시함)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며, 대문자, 소문자 또는 인쇄체, 필기체의 구별이 없음
캄네페츠(x p n m k)(짜데 페 눈 멤 카프) 의 다섯 문자가 단어의 끝에 올 때에는 꼬리형($ # @ ! *)을 씀
뻬가드케파트 (T P K D G B)(타브 페 카프 달렡 기멜 베트) 의 여섯 문자는 점을 찍을 수 있는데, 이 점을 강점이라 부르며, 단어초두, 음절초두에 올 때 점을 찍어 발음을 강하게 함.
이중점과 구별함
아할템 (m t l j a)(멤 타브 라멛 헤트 알렙) 문자는 좌우로 늘여서 쓰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글을 기록하던 행의 여백에 한 단어가 온전히 스여질 수 없을 때 문자를 늘여서 채움
각 문자는 각기 고유한 수치를 가지고 있으며 시편 등에는 절의 시작을 자음의 순서로 배열
한 절마다(시 25, 34, 145편 잠 31장), 2절마다(시 37편)
8절마다(시 119편), 한 절에 두 단어씩(시 111편)
상형문자에서 발전한 각 알파벳이 뜻을 가진 표의表意문자-漢字와 같음
모음(Vowel) : 고대 히브리어와 성경 본문에는 원래 모음(母音)부호가 없었음
그러므로 유대인들은 단어만 보고 읽었으며 몇 자음(子音)은 모음으로 쓰였음
[ a(알렙) , h(헤) = 아] [ y(요드) = 이 또는 에] [ w(바브) = 오 또는 우]
히브리어가 사어死語가 되면서 일상에서 쓰이지 않아 발음과 해석에 착오가 생기므로
유대인 학자, 소위 맛소라(전통의 뜻) 학자들이 AD 7세기 경 성경본문의 정확한 발음과 해석을 목적으로 모음을 만들었으니
이를 맛소라 모음기호(Massoratic Vowels)
또는 외부 모음기호라 함
예를 들면
스트롱번호 215[오르-빛나다], 216[오르-빛], 217[우르-불꽃] 과 218[우르-지명, 인명]의 알파벳(자음)은 동일하나 7세기 이후 맛소라 모음기호가 첨부됨에 따라서 다르게 발음되고 각기 다른 스트롱번호가 주어졌으나 근본 의미는 동일함. – 한자 [光]처럼 생각하면 이해가 쉬워짐
고대어인 히브리어는 근대, 현대 언어보다 어휘 수가 적으나, 어휘 수가 적은 이유로 같은 단어가 다양한 경우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음. – 그러므로 단어의 뿌리인 기본어근(동사)을 살펴보고 또한 파생어들을 종합하여 볼 때에 공통점을 찾기가 용이함.
히브리어 알파벳
문자 | 의미 | 이름 | 음가 | 수 |
a | 숫소 | 알렙 | 묵음 | 1 |
B | 집 | 베-ㅌ | ㅂ | 2 |
G | 낙타 | 기멜 | ㄱ | 3 |
D | 문 | 달렡 | ㄷ | 4 |
h | 숨구명 | 헤 | ㅎ | 5 |
w | 갈고리 | 바브 | ㅂㅎ | 6 |
z | 무기 | 자인 | ㅈ | 7 |
j | 울타리 | 헤-ㅌ | ㅋㅎ | 8 |
f | 뱀 | 테-ㅌ | ㅌ | 9 |
y | 손 | 요드 | 이 | 10 |
K& | 발바닥 | 카ㅍ | ㅋ | 20 |
l | 소 몰이 막대 | 라멛 | ㄹㄹ | 30 |
m! | 물 | 멤 | ㅁ | 40 |
n@ | 물고기 | 눈 | ㄴ | 50 |
s | 지주 | 싸멕 | ㅅ | 60 |
oo[ | 눈 | 아인 | 묵음 | 70 |
P# | 입 | 페 | ㅍ | 80 |
x$ | 낚시바늘 | 짜데 | ㅉ | 90 |
q | 바늘귀 | 코ㅍ | ㅋㅎ | 100 |
r | 머리 | 레쉬 | ㄹ | 200 |
c | 이 | 신 | 시 | 300 |
v | 이 | 쉰 | 쉬 | 300 |
T | 표시 | 타ㅂ | ㅌㅎ | 400 |
( ) 안은 꼬리형-단어의 끝에 위치할 때 사용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브리어 ,헬라어, 영어의 숫자값 (0) | 2022.11.12 |
---|---|
엑클레시아(ἐκκλησία) : 교회 (0) | 2022.11.07 |
엘레에모쉬네(ἐλεημοσύνη ) : 구제 (0) | 2022.11.07 |
아르케(태초) (0) | 2022.11.07 |
디카이오쉬네(δικαιοσύνη ) : 의 (0) | 202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