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내 영혼이 살기에 곤비하니 내 불평을 토로하고 내 마음이 괴로운 대로 말하리라
2.내가 하나님께 아뢰오리니 나를 정죄하지 마시옵고 무슨 까닭으로 나와 더불어 변론하시는지 내게 알게 하옵소서
3.주께서 주의 손으로 지으신 것을 학대하시며 멸시하시고 악인의 꾀에 빛을 비추시기를 선히 여기시나이까
4.주께도 육신의 눈이 있나이까 주께서 사람처럼 보시나이까
5.주의 날이 어찌 사람의 날과 같으며 주의 해가 어찌 인생의 해와 같기로
6.나의 허물을 찾으시며 나의 죄를 들추어내시나이까
7.주께서는 내가 악하지 않은 줄을 아시나이다 주의 손에서 나를 벗어나게 할 자도 없나이다
8.주의 손으로 나를 빚으셨으며 만드셨는데 이제 나를 멸하시나이다
9.기억하옵소서 주께서 내 몸 지으시기를 흙을 뭉치듯 하셨거늘 다시 나를 티끌로 돌려보내려 하시나이까
<설교>
욥기는 욥이 의인이라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욥의 신앙생활은 욥 자신이나 이웃으로 하여금 욥은 의인이라는 점을 각인시키기에 충분했습니다. 누구도 이 사실을 부인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욥의 행동과는 무관하게 재앙이 욥의 인생에 있게 됨으로써 의인이라는 위치가 무너집니다. ‘죄 없는 의인에게는 재앙이 주어지지 않는다’는 하나님에 대한 전통적 사고방식으로 재앙을 증거 삼아 욥의 의를 부정하고 죄인으로 규정한 것입니다.
하지만 욥은 재앙을 근거로 죄인으로 규정되는 것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자신에게는 재앙을 받아야 할 죄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어쨌든 분명한 사실은 누가 봐도 저주로 여겨질 만한 재앙을 겪고 있다는 것입니다.
욥으로서는 재앙의 이유를 알고 싶은 것이 당연합니다. 하지만 어디에서도 이유를 찾을 수 없기에 답답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하소연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욥이 한 가지 알지 못한 사실이 무엇이라고 했습니까? 그것은 누구라 할지라도 재앙을 받지 않아야 할 사람은 없다는 것입니다. 선한 인간은 없다는 것, 욥처럼 완벽한 신앙생활을 했다 해도 그것이 심판을 받지 않아야 할 인간되게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모른 것입니다.
욥은 42:6절에서 “그러므로 내가 스스로 거두어들이고 티끌과 재 가운데에서 회개하나이다”라는 말로 비로소 자신의 문제가 무엇인가를 알게 되고 회개하게 됩니다. 이것을 보면 욥기는 의인을 죄인 되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의인이라 여겼던 욥의 본질 또한 죄인이었을 뿐임을 알게 하기 위해서 재앙을 도구로 삼은 것입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일하심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믿는다면 신자는 어떤 형편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지 않을까요?
1절에서 욥은 “내 영혼이 살기에 곤비하니 내 불평을 토로하고 내 마음이 괴로운 대로 말하리라”고 말합니다.
여러분은 자신의 신앙생활이 문제가 많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을 것입니다. 예수님을 위해 살기보다는 나 자신을 위해 살아가는 죄 있는 악한 자라는 것도 인정하실 것입니다.
그렇다면 신앙생활이 문제가 많고 자신을 위해 살아가는 악한 자이니 하나님이 어떤 고통을 주신다 해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까? 아니면 비록 악인이라 해도 예수님을 구주로 고백하고 십자가의 피를 믿는 것은 사실이니까 그것을 봐서라도 고통이 있는 삶은 살지 않게 해주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입니까?
우리는 죄인이라는 것은 인정하면서도 하나님으로부터는 죄인이 아니라 의인의 대접을 받고 싶어 합니다. 그래서 나름 성실히 신앙생활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언제나 우리의 기대와는 어긋난 상황에 부딪히면서 원망과 불평이 쌓이는 것입니다.
그런데 욥은 신앙생활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자부했던 사람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십시오. 마음이 괴로운 것은 당연하고 하나님에 대해 불평하는 것도 당연하다 할 것입니다. 욥의 입장에서는 신앙에 아무 문제가 없는 사람에게 내려진 재앙이기 때문에 하나님이 왜 이렇게 하시는지를 알지 못한 답답함과 괴로움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입니다.
또한 더 이상 신앙적인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도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기에 “가령 내가 말하기를 내 불평을 잊고 얼굴 빛을 고쳐 즐거운 모양을 하자 할지라도 내 모든 고통을 두려워하오니 주께서 나를 죄 없다고 여기지 않으실 줄을 아나이다 내가 정죄하심을 당할진대 어찌 헛되이 수고하리이까”(욥 9:27-29)라는 말도 하는 것입니다.
신앙에 대한 우리의 기준과 시각에서 보면 욥은 분명 우리의 예상에서 빗나간 모습만 보여줍니다. 결국 욥은 하나님으로 인해서 혼란을 겪는다면 우리는 욥으로 인해서 혼란을 겪는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욥의 혼란은 재앙을 통해서 자신이 기대하고 생각했던 하나님이 아니라는 것으로 인한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완벽한 신앙인이었던 욥이 재앙을 신앙으로 인내하고 견디는 것이 아니라 생일을 저주하고 하나님을 원망하면서 노골적인 불평을 토로하는 모습에서 당황하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욥의 이야기가 신앙적으로 완벽했던 욥이 견딜 수 없는 재앙을 겪으면서도 하나님을 원망하지 않고 인내하면서 신앙을 지킨 것으로 끝난다면 어떻게 될까요? 물론 그렇게 되는 것이 인간이 예상하고 기대하는 내용이겠지만 그렇게 된다면 욥기는 욥의 인내를 보여주는 것으로 끝나게 됩니다. 하나님은 묻혀지고 완벽한 신앙으로 무서운 재앙에서도 인내한 욥만 드러날 뿐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성경이 아니라 위인전에 지나지 않음을 생각해야 합니다.
2,3절에서 욥은 “내가 하나님께 아뢰오리니 나를 정죄하지 마시옵고 무슨 까닭으로 나와 더불어 변론하시는지 내게 알게 하옵소서 주께서 주의 손으로 지으신 것을 학대하시며 멸시하시고 악인의 꾀에 빛을 비추시기를 선히 여기시나이까”라는 말을 합니다.
이것을 보면 욥은 여전히 하나님께 기대하는 것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은 자신과 같은 신앙의 사람은 정죄하지 않으시고 재앙을 겪는다 해도 그 이유를 말씀해주시는 하나님입니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자신에게 납득이 되는 일을 하시는 하나님을 기대하는 것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적어도 욥이 생각하는 하나님은 주의 손으로 지으신 것을 학대하고 멸시하는 분은 아니며 악인의 꾀가 잘 되도록 도우시는 분은 아니지 않느냐는 것입니다. 하지만 욥이 겪는 상황은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한 것이었기에 ‘하나님 왜 이렇게 하십니까?’라는 의문과 함께 하나님이 누구신가?를 아는 자리로 인도 되고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5-7절의 “주의 날이 어찌 사람의 날과 같으며 주의 해가 어찌 인생의 해와 같기로 나의 허물을 찾으시며 나의 죄를 들추어내시나이까 주께서는 내가 악하지 않은 줄을 아시나이다 주의 손에서 나를 벗어나게 할 자도 없나이다”는 구절에서도 자신에 대한 욥의 생각이 어떠한지가 드러납니다.
욥은 자신에게 허물이 있다면 하나님이 찾아서 들추어 내달라고 합니다. 이것은 욥에게 회개를 촉구하는 친구들을 의식하는 말로 생각됩니다. 친구들은 욥의 문제가 죄에 있다고 규정하지만 하나님이 욥의 죄를 들추고자 한다 해도 드러날 것이 없을 정도로 스스로에게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욥의 이러한 말을 들으면 욥이 교만하다고 생각될 것입니다. 인간은 죄인이며 하나님 앞에서 누구도 문제없다고 할 수 없는 것이 인간임을 알고 있기에 “주께서는 내가 악하지 않은 줄을 아시나이다”는 말은 교만일 뿐이라고 생각될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그렇게 교만한 자로 행한다는 것은 생각하지 못한다는 것도 알아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지식으로 아는 것은 있으나 삶은 하나님을 전혀 알지 못한 자를 방불 한다는 것을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9,10절에서 욥은 “기억하옵소서 주께서 내 몸 지으시기를 흙을 뭉치듯 하셨거늘 다시 나를 티끌로 돌려보내려 하시나이까 주께서 나를 젖과 같이 쏟으셨으며 엉긴 젖처럼 엉기게 하지 아니하셨나이까”라고 말합니다.
하나님께서 자신을 아무런 가치 없는 존재로 취급하신다는 것을 느낀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하나님이 욥에게 함께 하시고 그를 이끌어 가신다는 증거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재앙이 있기 전에는 결코 알 수 없고 경험할 수 없는 것을 재앙으로 인해서 알게 되고 경험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은 자신을 티끌처럼 가치 없는 존재로 취급하신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욥은 자신이 행했던 신앙생활들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아무런 의미가 없었다는 것을 깨달아야 했습니다. 이것을 알게 되었을 때 지금껏 자신이 신앙을 지키고 하나님을 믿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함께 해주시고 자신을 붙들어 주신 결과였음을 알게 되고 그것으로 감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욥에게 이것을 배우게 하기 위해 재앙을 도구로 사용하신 것입니다.
신앙생활은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신앙생활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은 하나님을 내 멋대로 생각하면서 옳은 행동을 하면 하나님도 기뻐하실 것이라고 착각한 것이 전부입니다. 이러한 우리의 착각이 깨어질 수 있는 좋은 기회는 생각지 않은 힘든 일에 부딪혔을 때입니다. 한순간도 멸망의 존재가 아닐 때가 없었음을 알게 되면서 새삼 십자가의 은혜에 감사하게 되는 것이 신자로 사는 것입니다.
Chapter 26
God of Job 4
My soul is weary of my life; I will leave my complaint upon myself; I will speak in the bitterness of my soul.
I will say unto God, Do not condemn me; shew me wherefore thou contendest with me.
Is it good unto thee that thou shouldest oppress, that thou shouldest despise the work of thine hands, and shine upon the counsel of the wicked?
Hast thou eyes of flesh? or seest thou as man seeth?
Are thy days as the days of man? are thy years as man's days,
That thou enquirest after mine iniquity, and searchest after my sin?
Thou knowest that I am not wicked; and there is none that can deliver out of thine hand.
Thine hands have made me and fashioned me together round about; yet thou dost destroy me.
Remember, I beseech thee, that thou hast made me as the clay; and wilt thou bring me into dust again? (Job 10:1-9 KJV)
(Sermon)
The Book of Job begins with Job, a righteous man. Job’s life of faith was good enough to show it to people around him, including himself. No one could deny it.
Yet, since he was in the afflictions, his righteousness was destroyed no matter how righteous he acted because there was a traditional idea, ‘a righteous man with no sin can’t have such afflictions.’
Yet, Job doesn’t accept the idea because he believes he had no sin to receive such afflictions. However, one thing for sure is that he is experiencing what everyone would think curse is.
It is obvious that Job would like to know the reason why he received such afflictions. Yet, he is being frustrated, not finding it anywhere, causing him to pour his frustration to God.
What have I said one thing he isn’t aware of? That is, there is no one who wouldn’t deserve to have afflictions. There is no one righteous. He doesn’t know even if one lived perfectly in faith like himself, it wouldn’t make one who would deserve not to accept such things.
Job would come to see what’s wrong with him in 42:6 by saying, “Wherefore I abhor myself, and repent in dust and ashes.” In this sense, the Book of Job is a book to make a righteous man a sinner. God uses afflictions to make a seemingly perfect man realize a mere wicked man fundamentally. If believers see this as the work of God, wouldn’t they depend on God in any circumstances?
In Verse 1, it says, “My soul is weary of my life; I will leave my complaint upon myself; I will speak in the bitterness of my soul.”
I am sure that you wouldn’t deny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in your life of faith. You would also admit that you are such a wicked sinner that you wouldn’t live for Jesus but only for yourselves.
If so, let me ask you the questions. Would you take afflictions like Job’s as necessary because you have many problems in your life of faith and are evil? Or, would you wish to avoid such things in life because you have accepted Jesus Christ as your personal Savior even though you are in sinful nature?
Although we acknowledge you are in sinful nature, we wish God would treat us as the righteous. That’s why we would sometimes devote ourselves into the life of faith. Yet, our complaints and resentment are accumulated as our life doesn’t seem to move as we wish it to be.
Think of Job, who thought himself with no problem of life of faith. It would seem natural that he was in complaints to God, showing his frustrations because he couldn’t understand God of why He gave such difficulties to a person with no problem with life of faith like him.
Furthermore, in 9:27-29, he says, “If I say, I will forget my complaint, I will leave off my heaviness, and comfort myself: I am afraid of all my sorrows, I know that thou wilt not hold me innocent. If I be wicked, why then labour I in vain?”, because he thinks showing a good life of faith is meaningless.
If we take a look at Job in our own understanding of faith, Job continues to show us unexpected things, which are unfaithful. We can say if Job is confused by God, we are confused by Job.
His confusion comes from an idea that God, who gave him the hard time, is different from the God he thought before, and our confusion is that Job, a perfect man, came to be the one who would curse his day of birth and resent and complaint against God.
What if the story of Job were to end where he would neither resent nor complain against God and keep the faith? Of course, that is our expectation and wish, but if so, the Book of Job would be to tell us only the patience of Job, hiding God and showing a man. However, we should know it would be a biography of a great man, not the Bible.
In Verses 2 and 3, it says, “I will say unto God, Do not condemn me; shew me wherefore thou contendest with me. Is it good unto thee that thou shouldest oppress, that thou shouldest despise the work of thine hands, and shine upon the counsel of the wicked?”
Listening to him, we can learn that he has his own idea of who God is, which is a God who doesn’t judge such a good person like him and will tell him the reason of the afflictions even if He gives them to him, implying a thought that God is the one who does something comprehensible.
At least the God Job thinks is the one who wouldn’t abuse His own creatures or help prosper the evil. Yet, what he is experiencing now is so unexpected that he keeps asking God, “why” and leads him to the knowledge of who God is really.
In Verses 5 to 7, it tells us who Job thinks of himself, “Are thy days as the days of man? are thy years as man's days, That thou enquirest after mine iniquity, and searchest after my sin? Thou knowest that I am not wicked; and there is none that can deliver out of thine hand.”
He is saying to God to find his sin if there is. It sounds like he keeps the words of his friends, urging him to repent. He is so sure that he is innocent as much as asking God to search his iniquity whereas his friends assume he has a sin problem.
Seeing Job say this, we might conclude that he is arrogant, saying, “Thou knowest that I am not wicked.” Yet, we should notice we also act like that. In other words, our knowledge and acts don’t go together.
In Verses 9 and 10, it says, “Remember, I beseech thee, that thou hast made me as the clay; and wilt thou bring me into dust again?Hast thou not poured me out as milk, and curdled me like cheese?”
He feels God treats him something valueless. We can find that this is the evidence God is leading Job in His presence, which he couldn’t have known before the afflictions. That is, God treats him like dust, no value.
Likewise, Job had to learn all that he did for the life of faith was nothing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Only this learning, can he know the life of faith is not what he does or he believes in God, but the result of the presence of God with him. For this reason, God used the afflictions as a method.
The life of faith is not something we can do. All that we’ve done for the life of faith is that we have been mistaken that God would be pleased if we do things we think are righteous. Such misconceptions are broken by experiencing unexpected hardships. It is the life of believers, giving thanks to God for the grace of the cross while realizing we have always been nothing but deserving to perish!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강) 소발의 등장 (0) | 2023.05.15 |
---|---|
(27강) 욥의 하나님5 (0) | 2023.05.15 |
(25강) 욥의 하나님3 (0) | 2023.05.15 |
(24강) 욥의 하나님2 (0) | 2023.05.15 |
(23강) 욥의 하나님 (0)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