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스의 삶

하나님이 모든 사람을 순종하지 아니하는 가운데 가두어 두심은 모든 사람에게 긍휼을 베풀려 하심이로다(로마서 11:32)

나는 날마다 죽노라(로마서 15:31)

◈신윤식 목사(은석교회)/욥기

(28강) 소발의 등장

Hebrew 2023. 5. 15. 09:53

<본문>

1.나아마 사람 소발이 대답하여 이르되 

2.말이 많으니 어찌 대답이 없으랴 말이 많은 사람이 어찌 의롭다 함을 얻겠느냐 

3.네 자랑하는 말이 어떻게 사람으로 잠잠하게 하겠으며 네가 비웃으면 어찌 너를 부끄럽게 할 사람이 없겠느냐 

4.네 말에 의하면 내 도는 정결하고 나는 주께서 보시기에 깨끗하다 하는구나 

5.하나님은 말씀을 내시며 너를 향하여 입을 여시고 

6.지혜의 오묘함으로 네게 보이시기를 원하노니 이는 그의 지식이 광대하심이라 하나님께서 너로 하여금 너의 죄를 잊게 하여 주셨음을 알라 

 

<설교>

하나님은 욥을 절망에 이르기까지 끌어가십니다. 욥의 의지와 희망과는 무관하게 하나님이 뜻하시고 실행하시면서 끌어가시는 것입니다. 때문에 욥이 겪는 재앙의 이유는 하나님께 있다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런데 욥의 친구들은 재앙의 이유를 욥에게서 찾으려 하고 욥에게 이유가 있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그 이유를 ‘죄’로 규정하고 해결방법으로 하나같이 회개를 제시합니다. 회개가 죄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이고 죄 문제가 해결되면 재앙의 이유가 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재앙 또한 사라지게 된다는 주장입니다. 

 

 

기독교인들은 이러한 성경 해석에 대해 의심을 갖지 않습니다. 인간의 시각에서는 합리적이며 상식에서 어긋나지 않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신앙의 길을 잘 가면 복을 주시고 잘 가지 않으면 징계하셔서 잘 가게 하신다는 전통적 생각에 매여서 복과 저주의 이유를 자신에게서 찾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자신이 현재의 것을 누리는 모든 이유가 여러분께 있다고 생각합니까? 현재의 것을 누릴 자격과 공로가 여러분께 있어서 하나님이 복을 주신 것으로 생각합니까? 그것이 사실이라면 여러분께는 그 어떤 흠도 없어야 합니다. 그래야 이유가 나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흠 없는 완벽한 신앙을 실천할 욥에게 재앙이 있다는 것입니다. 세 친구는 이것을 납득할 수 없었기 때문에 욥에게 죄가 있다고 규정하고 충고 합니다. 그들이 알지 못하는 죄가 분명 있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본문에 등장하는 세 번째 친구인 소발은 욥이 자신의 죄를 부인하고 죄가 없다고 하는 것에 대해서 하나님이 죄를 잊게 하여주셨기 때문이라는 논리를 폅니다.

 

 

6절을 보면 “지혜의 오묘함으로 네게 보이시기를 원하노니 이는 그의 지식이 광대하심이라 하나님께서 너로 하여금 너의 죄를 잊게 하여 주셨음을 알라”고 말합니다. 

 

 

하나님께서 욥으로 하여금 죄를 잊게 하여 주셔서 죄를 기억하지 못하고, 그래서 죄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지 죄가 없는 것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이러한 내용에서 우리는 소발의 오류가 무엇인가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오류는 현재 하나님을 신앙한다고 하는 기독교인들에게도 나타나는 오류입니다.

 

 

문제는 죄에 대한 이해입니다. 죄는 하나님의 뜻에서 벗어난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를 창조하신 하나님의 뜻을 알고 그 뜻에 복종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뜻을 세우고 이루기 위해 존재하는 것 자체가 죄입니다. 따라서 죄는 행위적인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자신이 어떤 행동을 했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것을 죄를 기억하지 못하는 것으로 말할 수 없습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소발은 죄를 행위의 의미로 이해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하나님이 죄를 잊게 하여주셨다는 말을 하는 것입니다. 욥이 죄의 행동을 했지만, 하나님이 그 행동을 기억하지 않게 하셨기 때문에 욥이 자신이 죄를 기억하지 못하는 것뿐이지 죄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는 것입니다.

 

 

죄를 행위로 이해하고 행위에서 죄를 찾고자 한다면 자신의 죄를 알기 위해서는 행동 하나하나를 기억해 내야 합니다. 그리고 행동을 신앙적인 것과 신앙적이지 못한 것으로 구분하여 신앙적인 행동이 있으면 복이 되고 신앙적이지 못한 행동이 있으면 하나님이 그 행동에 대해 징계하실 수도 있다는 조바심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소발과 빌닷, 엘리바스의 죄에 대한 생각이며 욥도 친구들의 생각과 다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자신에게서 죄를 찾지 못하는 것입니다. 죄를 행위로 본다면 흠 없는 삶을 실천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인 욥으로서는 ‘죄 없다’는 것이 자신에 대한 판단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지금의 기독교의 죄에 대한 생각도 같기 때문에 욥이나 그 친구들의 말에서 쉽게 오류를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사실 욥 친구들이 하나님에 대해 하는 말을 보면 하나님을 잘 알고 신앙심이 깊은 사람의 신학적 지식으로 보입니다. 7-9절의 “네가 하나님의 오묘함을 어찌 능히 측량하며 전능자를 어찌 능히 완전히 알겠느냐 하늘보다 높으시니 네가 무엇을 하겠으며 스올보다 깊으시니 네가 어찌 알겠느냐 그의 크심은 땅보다 길고 바다보다 넓으니라”는 말 역시 문구만으로는 옳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발은 하나님의 오묘하심이나 전능하심을 죄악을 멀리 버리면 환난을 사라지게 하시고 평안케 하시는 것으로 이해할 뿐입니다. 신을 찾는 인간의 전형적인 종교성에 의한 신지식일 뿐입니다. 다시 말해서 신을 섬기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자신이 섬기는 신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신지식의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가령 성경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하나님의 전능하심은 신이시기 때문에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물론 하나님은 모든 것을 하실 수 있는 분입니다. 문제는 하나님이 하실 수 있는 모든 일에 인간의 뜻을 삽입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결국 자신이 원하고 뜻하는 모든 것을 하실 수 있는 전능으로 이해하게 되지만 그것이 곧 우상의 본질이라는 것은 알지 못합니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하시고 이루시기에 전능하신 분이지만 오직 하나님이 세우신 뜻만을 이루십니다. 아브람에게 “나는 전능한 하나님이라”(창 17:1고 말씀하신 것도 아브람에게 세우신 언약을 이루시는 전능을 의미하는 것이지 아브람이 원하는 일을 이루시는 전능을 말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보면 욥의 친구들과 욥은 하나님에 대해 무지합니다. 하나님이 누구신지 알지 못한 상태에서 인간의 신지식으로 욥의 상황을 판단하며 죄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회개하여 죄악을 멀리하면 문제가 해결된다는 지극히 종교적인 충고를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욥기를 보면서 그러한 오류가 우리들에게도 있음을 주지하는 것이 필요한 것입니다.

 

 

욥과 그 친구들의 오류가 무엇인지를 알지 못하면 말씀드린 것처럼 욥이나 그 친구들의 말의 문제를 보지 못할 것입니다. 그것은 곧 자신의 문제 또한 보지 못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진심으로 성경을 근거로 해서 증거 되는 십자가 복음에 대해서도 외면하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욥기를 보면 우리가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종교적 신지식을 신뢰하는 수준일 뿐임을 자각해야 하는 것입니다.

 

 

죄에 대한 소발의 생각은 욥을 대하는 태도에서 역력히 드러납니다. 소발은 욥에게 “말이 많으니 어찌 대답이 없으랴 말이 많은 사람이 어찌 의롭다 함을 얻겠느냐 네 자랑하는 말이 어떻게 사람으로 잠잠하게 하겠으며 네가 비웃으면 어찌 너를 부끄럽게 할 사람이 없겠느냐”(2,3절)라고 말합니다.

 

 

욥이 말이 많다고 공박하는 것은 소발이 생각할 때 욥이 말이 많을 이유가 없기 때문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욥이 죄가 있음을 인정하고 회개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죄를 인정하지 않기에 말이 많다는 것이고 말을 많이 한다고 해서 있는 죄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소발의 공박입니다. 

 

 

이것을 보면 소발이나 다른 친구들은 욥이 죄 있는 것으로 못 박아 놓고 욥을 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증거를 재앙이 두고 있기 때문에 재앙이 없는 자신들은 의로운 자의 입장에서 욥을 충고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기독교는 주어진 상황으로 죄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황의 좋고 나쁨에 따라 하나님과의 관계를 저울질하는 것은 자기 백성을 용서의 은혜와 긍휼로 다스리시는 하나님이 아닌 상선벌악이라는 법칙으로 세상을 다스린다는 종교일 뿐임을 분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분별이 없다면 결국 욥과 그 친구들의 대화의 수준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입니다.

 

 

세상은 죄 아래 갇혀 있고 심판의 대상일 뿐입니다. 우리 또한 세상을 살아가면서 자기를 위한 끝없는 욕심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그러한 인간의 실체는 생각하지 않고 ‘잘 믿으면 하나님이 환난에서 벗어나게 하시고 평안하게 살게 한다’는 것을 기대한다면 그것이야 말로 헛된 망상일 뿐입니다. 지금의 기독교가 교인들을 이러한 헛된 망상으로 끌어 들어가는 것은 아닌지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신자는 하나님의 다스림을 믿습니다. 인생 또한 하나님이 붙드시고 그 뜻대로 이끌어 가심을 믿습니다. 이 믿음이 우리로 하여금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간다 해도 두렵지 않게 하는데 그 이유는 하나님이 가장 좋은 길로 이끌어 가심을 믿기 때문입니다. 비록 욥이 고통을 겪지만 분명한 것은 하나님이 끌어가십니다. 이 믿음이 우리에게 평강이 될 것입니다.

 

Chapter 28

  

Zophar’s Appearance

  

Then answered Zophar the Naamathite, and said,

Should not the multitude of words be answered? and should a man full of talk be justified?

Should thy lies make men hold their peace? and when thou mockest, shall no man make thee ashamed?

For thou hast said, My doctrine is pure, and I am clean in thine eyes.

But oh that God would speak, and open his lips against thee;

And that he would shew thee the secrets of wisdom, that they are double to that which is! Know therefore that God exacteth of thee less than thine iniquity deserveth. (Job 11:1-6 KJV)

  

(Sermon)

  

God leads Job to despair, which is according to the will of God, regardless of Job’s. Thus, it is true to say that there is a reason for his afflictions in God. 

  

However, Job’s friends seek it in Job and they conclude there is a reason for his afflictions in him, which is his ‘sin’, so they urge him to repent because they think the repentance is the key to solve his sin problem, assuming if he solves his sin problem by repenting, the afflictions, caused by his sin, will disappear. 

  

Christians have no doubt about such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ecause it sounds reasonable and fits human point of view. If we live well in faith, God will bless us, and if not, God will discipline us to correct us to live in faith well, which is a traditional thought, finding a reason of blessing and curse in us. 

  

Do you think all the reasons of whatever you have and enjoy in you? Do you think God will give you blessings as long as you are qualified to receive them? If so, you must be perfect in all in order to say the reasons in you. 

  

But, the thing is, Job, who was perfect in the life of faith, received the afflictions. As his three friends couldn’t get this, they had to make themselves conclude with his unknown sin. Even the third friend, Zophar, reasons about Job’s denying his sin that God made him forget his sin.

  

In Verse 6, it says, “And that he would shew thee the secrets of wisdom, that they are double to that which is! Know therefore that God exacteth of thee less than thine iniquity deserveth.”

  

He says Job claims he has no sin not because he has no sin but God made him forget about his sin. In such case, we can find what Zophar’s error is, which can also be found in modern christians. 

  

The point is the understanding of what sin is. Sin is all off the will of God. It is to be for one’s own will and live for it, not obedient to the will of God. Since sin is not a matter of acts, he can’t say Job can’t remember his sin as Job forgot what he did wrong. 

  

In this sense, we can learn that Zophar understands sin as acts. That’s why he says God made Job forget what he did wrong, implying that Job must have a sin problem, but he forgot it because God made him do so. 

  

Yet, if sin is a matter of acts, we have to remember every single act one by one to find our sin. Then, we have to divide them into two groups: faithful and unfaithful, causing God to bless or discipline us. This is his friends, Zophar, Bildad, Eliphaz’s understanding of sin and Job’s is not far from it either. 

  

That’s why he can’t find his sin in himself. He claims himself sinless because he did all he could do not to sin. Furthermore, as the understanding of sin among the modern christians is the same as them, they can’t easily see what the error is.

  

Taking a look at the words of Job’s friends, they sound like they know God well and the words are faithful and theologically profound. In Verses 7 to 9, it sounds right, saying, “Can you fathom the mysteries of God? Can you probe the limits of the Almighty? They are higher than the heavens--what can you do? They are deeper than the depths of the grave--what can you know? Their measure is longer than the earth and wider than the sea.” 

  

Yet, Zophar understands God’s mystery and might nothing more than things that remove afflictions and give peace if one forsakes one’s sin. It is no difference from the human traditional idea of the knowledge of God in religions. 

  

For instance, in the Bible, ‘almighty God’ doesn’t mean to be able to do anything because He is God. Of course, God can do everything, but the thing is that men put men’s ideas into ‘everything’ category. Consequently, men believe God can do all men want Him to do, but we are not aware of it as the bottom line of idolizing. 

  

Although God is almighty because He is able to do anything, God only edifies His will. When He said to Abraham in Genesis 17:1, “I am God Almighty; walk before me and be blameless” He didn’t mean to fulfill what Abraham wanted, but the covenant of God. 

  

In this sense, Job and his friends are ignorant of God. In this ignorance, they advise him to repent with the knowledge of who they think God is. While meditating the Book of Job, we should recognize we might also have the same error they have in us. 

  

As spoken earlier, we can’t find any problem from their words to Job if we don’t know what the error is among Job and his friends, which means we can’t see our own problems either. By extension, we might neglect the gospel of the cross, preached from the Word of God. Thus, we are to sense our knowledge of God is not more than religious knowledge of God. 

  

Zophar’s thought of sin is exposed in his attitude toward Job. He says to Job in Verses 2 and 3, “Are all these words to go unanswered? Is this talker to be vindicated?

Will your idle talk reduce men to silence? Will no one rebuke you when you mock?” 

  

The reason why he says Job is talkative is probably he thinks Job has no reason to be talkative because he thinks what Job needs to do is not to keep talking but admit his sin and repent. He insinuates that Job is talking too much because he is not acknowledging his sin, which doesn’t make his sin forgiven.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see Zophar and his friends are treating Job, judging him as a sinner with the evidence of his afflictions, believing they can criticize him at the position of the righteous. 

  

Christianity never teaches God, giving blessing and curse according to acts of people, which is mere worldly religions’ ideas, but reigning His people in His grace and compassion. Without this discernment, no one is out of Job and his friends’ ideas of God. 

  

The world is captured under sin and the object of God’s judgement. We are, too, walking in the condition, endless lusts for ourselves. If anyone thinks, ‘if I believe in God well, God will get me out of afflictions and bring me joy and peace’ without knowing who oneself is before God, it is all vain. I can’t help being serious of thinking if modern Christianity is exactly going that way. 

  

Believers believe in God’s reigning all things. We also believe in the truth that God leads all men, whose faith makes us fear not even in the valley of death due to the fact that we know God brings us the best. Even though Job is in the unspeakable afflictions, one thing for sure is that God is leading him. Knowing this, which is of faith, gives us the true peace!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강) 나도 안다  (0) 2023.05.17
(29강) 소발의 하나님  (0) 2023.05.15
(27강) 욥의 하나님5  (0) 2023.05.15
(26강) 욥의 하나님4  (0) 2023.05.15
(25강) 욥의 하나님3  (0) 2023.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