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7.네가 하나님의 오묘함을 어찌 능히 측량하며 전능자를 어찌 능히 완전히 알겠느냐
8.하늘보다 높으시니 네가 무엇을 하겠으며 스올보다 깊으시니 네가 어찌 알겠느냐
9.그의 크심은 땅보다 길고 바다보다 넓으니라
10.하나님이 두루 다니시며 사람을 잡아 가두시고 재판을 여시면 누가 능히 막을소냐
11.하나님은 허망한 사람을 아시나니 악한 일은 상관하지 않으시는 듯하나 다 보시느니라
12.허망한 사람은 지각이 없나니 그의 출생함이 들나귀 새끼 같으니라
13.만일 네가 마음을 바로 정하고 주를 향하여 손을 들 때에
14.네 손에 죄악이 있거든 멀리 버리라 불의가 네 장막에 있지 못하게 하라
15.그리하면 네가 반드시 흠 없는 얼굴을 들게 되고 굳게 서서 두려움이 없으리니
16.곧 네 환난을 잊을 것이라 네가 기억할지라도 물이 흘러감 같을 것이며
17.네 생명의 날이 대낮보다 밝으리니 어둠이 있다 할지라도 아침과 같이 될 것이요
18.네가 희망이 있으므로 안전할 것이며 두루 살펴보고 평안히 쉬리라
19.네가 누워도 두렵게 할 자가 없겠고 많은 사람이 네게 은혜를 구하리라
20.그러나 악한 자들은 눈이 어두워서 도망할 곳을 찾지 못하리니 그들의 희망은 숨을 거두는 것이니라
<설교>
하나님의 일은 인간이 침범할 수 없는 영역입니다. 이 말은 인간에게는 하나님의 일을 할 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일을 이해할 수도 없다는 뜻입니다. 인간은 자기중심적 존재입니다. 때문에 항상 자기 생각과 판단에 옳은 것만 옳은 것으로 받아들이는데 이러한 소견으로 존재하는 인간은 하나님이 행하시는 일을 옳은 것으로 받아들인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에 하나님의 일을 이해할 수 없는 것입니다.
마 5:44-45절에 보면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박해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 이같이 한즉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아들이 되리니 이는 하나님이 그 해를 악인과 선인에게 비추시며 비를 의로운 자와 불의한 자에게 내려주심이라”고 말씀합니다.
여러분은 원수를 사랑하는 삶을 살고 싶어서, 그러한 삶이 자신에게 실천되기를 원해서 하나님을 찾습니까? 설령 그러한 삶을 원한다 해도 순수하게 원수를 사랑하는 삶에만 목적을 둔다고 할 수 있습니까?
하나님을 신앙한다고 하는 사람들은 신앙의 결과를 기대하게 되어 있습니다. 말씀대로 살고자 하고, 말씀대로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에도 결과에 대한 기대가 없다고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자신을 전혀 추구하지 않고 어떤 결과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인간은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창 18:25절에 보면 아브라함이 “주께서 이같이 하사 의인을 악인과 함께 죽이심은 부당하오며 의인과 악인을 같이 하심도 부당하니이다 세상을 심판하시는 이가 정의를 행하실 것이 아니니이까”라는 말을 합니다.
하나님께서 소돔과 고모라에 대한 심판을 말씀하셨을 때 아브라함은 소돔과 고모라에 있는 의인을 악인과 함께 심판하시는 것을 부당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브라함의 소견에 그것은 하나님의 정의가 아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소견에 소돔과 고모라에는 의인이 없었습니다. 소돔과 고모라만이 아니라 세상 자체에 의인은 없습니다. 행함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의인은 없다는 것이 세상에 대한 선언입니다. 그 말은 어떤 행함으로도 의롭게 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신자가 자신을, 그리고 인간을 이러한 이해의 시각으로 바라본다면 자신에게 주어진 삶에 대한 혼란과 당황함은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삶으로 인해 혼란과 당황함이 있다면 그것은 원하고 기대하는 결과와는 전혀 다른 결과가 주어졌기 때문입니다.
욥의 혼란과 당황함도 이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온전하고 정직하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의 최선을 다한 신앙의 삶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예기치 않은 재앙으로 인해 혼란이 있게 된 것입니다.
욥의 친구들은 욥의 재앙을 죄의 결과로 보고 있습니다. 욥에게 범죄가 있다고 판단했기에 재앙에게 부당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범죄로 인한 당연한 결과이고 해결책은 회개에 있다고 생각하고 계속 회개를 촉구한 것입니다. 그리고 세 번째로 등장한 소발 역시 엘리바스나 빌닷과 다르지 않은 의견을 내어 놓습니다.
10,11절에서 소발은 “하나님이 두루 다니시며 사람을 잡아 가두시고 재판을 여시면 누가 능히 막을소냐 하나님은 허망한 사람을 아시나니 악한 일은 상관하지 않으시는 듯하나 다 보시느니라”는 말을 합니다.
소발은 하나님이 인간의 죄를 모두 보시는 분이시며 죄에 대해 재판하시고 심판하시는 것을 막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 사실 소발의 말대로 하나님은 인간의 죄를 모두 보시는 분이시고 재판을 하신다면 누구도 막을 수도 피할 수도 없습니다. 그렇게 보면 하나님에 대한 소발의 말은 틀렸다고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소발은 하나님에 대한 자기 지식을 욥이 처한 상황에 맞추어 얘기합니다. 인간의 죄를 아시는 하나님, 그리고 죄에 대해 심판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욥의 재앙에 적용시킴으로써 큰 재앙 겪는 것을 죄가 크기 때문으로 규정하는 것입니다.
많은 교회가 천국에서 받는 상이 각기 다르다고 말합니다. 믿음을 실천한 정도에 따라 상이 많고 적음으로 나눠진다는 주장입니다. 이러한 상급차등론의 시각은 상의 차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심판의 차등으로까지 이어져야 옳습니다. 상에 차이가 있다면 심판에도 차이가 있는 것이 이치적으로 맞기 때문입니다.
믿음의 실천, 즉 행함에 차이가 있다면 죄를 행하는 것에도 차이를 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죄에 차이가 있다면 죄의 값, 즉 심판도 차등이 있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런데 심판에 차등이 있다는 말은 하지 않습니다. 지옥에서 받는 심판에 가벼운 것이 있고 무거운 것이 있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된다고 생각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천국의 상에 차등이 있다는 것은 도대체 무슨 논리인지 모르겠습니다.
욥의 친구들이 자신들을 죄가 전혀 없는 존재로 생각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죄가 있다 해도 욥보다는 가벼운 죄라는 것이 그들의 말입니다. 이 또한 욥의 형편과 자신들의 형편을 비교하면서 내린 결론입니다. 욥이 당하는 재앙에 비해서 자신들은 평안하기 때문에 조가 있다 해도 욥보다는 적다고 인식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소발이 생각하는 하나님입니다.
13,14절에서는 “만일 네가 마음을 바로 정하고 주를 향하여 손을 들 때에 네 손에 죄악이 있거든 멀리 버리라 불의가 네 장막에 있지 못하게 하라”고 말합니다.
소발은 욥이 마음을 바로 정하고 주를 향하여 손을 들면 자기의 죄악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죄악을 멀리 버리고 불의가 욥의 장막에 있지 않도록 조치를 취할 것을 권면하기도 합니다.
이것을 보면 소발은 신앙의 주체를 인간에게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죄를 보는 것도 욥의 노력에 달린 문제로 생각하고 죄를 던져 버리는 것도 욥의 결단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그래서 죄악이 있거든 멀리 버림으로 불의가 장막에 있지 못하게 하라는 말을 합니다. 이것이 소발의 인간중심적 사고이고 이러한 사고에 의해서 재앙을 죄의 결과로 보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십자가에 대한 이야기, 즉 복음을 접하게 되면 갈등이 있게 됩니다. 기존의 자기중심적 사고와 복음이 부딪힘으로써 갈등이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복음이 승리함으로써 갈등이 극복되고 전혀 새로운 낯선 체계의 신앙 세계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 하나님이 베푸시는 은혜입니다.
따라서 은혜의 세계에는 당연히 차등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복은 인간이 행한 의의 결과가 아니라 예수님이 행하신 의로 인한 것이기 때문이고, 모든 인간은 십자가 앞에서 심판의 존재로만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신앙세계를 알았다면 욥의 재앙을 죄의 결과로 몰아붙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모든 인간에게 당연한 것이 재앙인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소발이 인간의 삶을 인간중심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것은 15-18절의 내용에서 여실히 드러납니다.
“그리하면 네가 반드시 흠 없는 얼굴을 들게 되고 굳게 서서 두려움이 없으리니 곧 네 환난을 잊을 것이라 네가 기억할지라도 물이 흘러감 같을 것이며 네 생명의 날이 대낮보다 밝으리니 어둠이 있다 할지라도 아침과 같이 될 것이요 네가 희망이 있으므로 안전할 것이며 두루 살펴보고 평안히 쉬리라”는 말에서 드러나는 소발의 하나님은 어떤 신입니까?
간단하게 말해서 인간이 자기 죄악을 버리고 불의를 없게 하면 하나님은 그것을 기쁘게 보시고 환난을 잊게 하시며 어둠과 같은 삶을 아침처럼 환하게 만들어 주신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사탄의 말입니다.
‘이렇게 하면 이렇게 된다’는 마치 수학공식과 같은 계산적인 논리로 원인과 결과를 인간에게 두는 것이 신앙이 아닌 종교의 세계입니다. 따라서 소발의 하나님은 언약에 따라 그리스도를 보내심으로 인간을 저주에 붙들어 놓는 죄를 용서하시고 자유하게 하셔서 행함의 여부와 상관없이 생명의 은혜를 누리게 하시는 하나님이 아닌 것입니다.
소발이 죄악을 멀리 버리고 불의가 장막에 있지 못하게 하라고 하지만, 그것은 죄와 불의가 인간의 행함으로 규정될 때만 가능합니다. 인간의 행함이 선과 불의로 나눠지는 것이라면 선을 행하고 불의를 멀리 하면 됩니다. 그렇게 되면 불의를 멀리 하고 선을 행하는 것으로 의에 이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의는 고전 2:12절의 “우리가 세상의 영을 받지 아니하고 오직 하나님으로부터 온 영을 받았으니 이는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로 주신 것들을 알게 하려 하심이라”는 내용을 근거로 생각해 본다면 하나님이 은혜로 주신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이 은혜로 주신 것을 알지 못하면 은혜로 주신 것을 받기 위해서 뭔가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그리고 하나님으로부터 받지 못하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행함이 없기 때문으로 규정하게 되고, 욥처럼 고통의 환경이 주어지면 범죄 했기 때문으로 판단합니다. 하지만 그러한 생각 자체가 곧 불의입니다. 하나님이 은혜로 주신 것을 외면하기 때문입니다.
소발이 11절에서 허망한 사람에 대한 말을 하는데 아마 소발의 눈에는 자기 죄를 보지 않고 회개하지 않는 욥이 어리석은 허망한 사람으로 보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진짜 허망한 것은 하나님이 은혜로 주신 것을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은혜로 주신 것을 보지 못하고 원하는 것을 받기 위해 소위 신앙의 삶에 고군분투 하는 그가 허망한 사람인 것입니다.
소발의 말대로 욥이 과연 허망한 사람일까요? 욥이 고통을 겪는 현실에서는 그렇게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욥은 하나님이 붙들고 계십니다. 그리고 하나님을 아는 욥으로 세우시기 위해 일하십니다. 이것만으로 욥은 허망한 사람이 아니라 오히려 그 인생에 빛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자기에 대한 이해로 자리하는 그 사람이 신자입니다.
바울은 자신을 이해했기에 ‘날마다 죽노라’는 말을 하게 됩니다. 날마다 죽으나 그리스도의 용서로 다시 사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것이 하나님이 주신 은총의 자리이며 이 자리로 부름 받은 그가 복의 사람입니다.
Chapter 29
God of Zophar
(Sermon)
Men can never invade any arena of the work of God, which means that men can neither do nor understand the work of God. Men are self-centered beings. Thus, men, judging right only what they think is right and accepting it, are never able to judge right what God is doing, which makes them not understand the work of God.
In Matthews 5:44-45, it says, “But I say unto you, Love your enemies, bless them that curse you, do good to them that hate you, and pray for them which despitefully use you, and persecute you; That ye may be the children of your Father which is in heaven: for he maketh his sun to rise on the evil and on the good, and sendeth rain on the just and on the unjust.”
Would you seek God for the life of loving your enemies? Even if you would, would you say you would purely love your enemies in the purpose of your life?
Those who claim to believe in God can’t help expecting some rewards of faith from God. Even if one would solely like to live according to the Word of God and strive for it, one can’t say, “I don’t want any rewards.” Thus, there is no one who is willing to accept anything without pursuing oneself.
In Genesis 18:25, it says, “That be far from thee to do after this manner, to slay the righteous with the wicked: and that the righteous should be as the wicked, that be far from thee: Shall not the Judge of all the earth do right?”
Abraham thought it was not fair for God to judge the righteous when God told him He would judge Sodom and Gomorrah. In his opinion, it was not God’s righteousness.
Yet, in God’s opinion, there was no one righteous. Not only Sodom and Gomorrah, but there is none righteous in the world. It is the God’s proclamation that there is no one righteous regardless of acts, which means there is no act that can make one righteous.
If believers view themselves as well as the world like this, I believe there is no vexation or confusion about any situation given in life because if there is something that makes us confounded or confused, it is because we got what we didn’t want to get.
Those of Job’s are not far from it either. He got the unexpected afflictions even though he lived his life, perfect and upright.
His friends see his afflictions as the result of his sin. They don’t think it’s unfair because they assume he has sinned. They even think he deserves to receive what he got due to his sin, urging him to repent for solution. Zophar, the third appearance as Job’s friend, also says something similar to the previous two friends, Eliphaz and Bildad.
In Verses 10 and 11, it says, “If he cut off, and shut up, or gather together, then who can hinder him? For he knoweth vain men: he seeth wickedness also; will he not then consider it?”
Zophar says God sees all sins of men and no one can stop God from judging sin. It is true that there is no one to interrupt God for His judgement. In this sense, we can’t say what Zophar says is totally wrong.
However, he says his knowledge of God, orbiting Job’s situations. He applies his knowledge of God, knowing and judging men’s sin, into Job’s afflictions, insinuating Job’s sin is great.
Many preachers say there are different rewards in heaven, arguing that the rewards are determined by how one lived on earth. Yet, if it were so, it should be that the differentiation of judgement is the same as that of rewards because it is logical to say that if there is a difference in rewards, there must be a difference in judgement.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actice of faith, there should be a difference in acts of sin.
Yet, no one says there is a difference in judgement because it is non-sense to say there are lighter punishment and heavier punishment in hell. Nevertheless, I don’t understand why they are saying there are levels of rewards in heaven.
I don’t think Job’s friends think themselves sinless. Yet, at least, they must think they are lighter sinners than Job is, concluding it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m and Job. Since they have no afflictions Job has, they think they are lighter sinners. This is what Zophar thinks of God.
In Verses 13 and 14, it says, “If thou prepare thine heart, and stretch out thine hands toward him; If iniquity be in thine hand, put it far away, and let not wickedness dwell in thy tabernacles.”
Zophar says if Job prepares his heart and raises his hands toward God, he will see his sin. He even advises him to put his sin away lest there is iniquity in his tabernacle.
Taking a look at his words, we can find that Zophar puts the subject of faith in men. He thinks knowing and discarding sin is up to Job’s determination. That’s why he says to Job to put away his sin and let his sin not dwell in his tent. This is Zophar’s men-centered thoughts, causing him to Job’s pain as the result of his sin.
Therefore, there is always a conflict in the encounter of the gospel, the story of the cross. The gospel produces friction with self-centered minds. Furthermore, it is the grace of God that He lets us enter a strange world of faith as the gospel wins over the conflict.
Thus, there is no differentiation in the world of grace because the blessing is not of the result of men’s righteousness but the righteousness of the Lord, and the cross reveals all men’s wickedness. If Zophar had known it, he wouldn’t have said what he said to Job because he would have known all men deserve all the afflictions.
Verses 15 thru 18 continue to tell us Zophar’s point of view on life in men-centered.
“For then shalt thou lift up thy face without spot; yea, thou shalt be stedfast, and shalt not fear: Because thou shalt forget thy misery, and remember it as waters that pass away: And thine age shall be clearer than the noonday: thou shalt shine forth, thou shalt be as the morning. And thou shalt be secure, because there is hope; yea, thou shalt dig about thee, and thou shalt take thy rest in safety.” What kind of God is he talking about?
To make a long story short, if one forsakes one’s sin, God will see it pleasant and make one forget one’s misery and make one’s dark life a bright morning life. This is Satan’s saying.
‘If you do such, such will happen to you’ is the world of religion, centering human logic. Thus, God Zophar is saying is not God, who sent Christ according to His covenant to forgive sin and free people and bestow the grace of life regardless of acts.
He says to throw sin away and let no iniquity be in tabernacle, but it is only possible when sin is defined as men’s acts. If good and evil were divided in men’s doing, it would be fine to do good and not to do evil. If so, men could be righteous by doing good while forsaking evil.
However, unrighteousness is defined as the ignorance of what God has given in His grace according to 1st Corinthians 2:12, “Now we have received, not the spirit of the world, but the spirit which is of God; that we might know the things that are freely given to us of God.”
There is a tendency that if one doesn’t know what God has given in His grace, one thinks one should do something to receive it. Besides, if one doesn’t receive it, one concludes one hasn’t pleased God enough, and if one receives afflictions, one thinks it is because of one’s sin. Yet, such thoughts are unrighteousness itself because they neglect what God has given in grace.
Zophar says vain men in Verse 11, thinking Job is a vain man, not looking at his own sin. But, true vain men are those who can’t see what God has given in His grace. They are striving to get what they want in so-called life of faith while ignoring the grace of God.
Do you think Job is indeed a vain man as Zophar said? He could be seen like that in his reality. Yet, God is holding him and moving him to the knowledge of God. Only with that truth, can we say that he is never a vain man but his life is in the light. It is the true believer who has this in mind.
Paul said, “I die daily”, because he knew himself. He knew he would live daily by the forgiveness of Christ although he would die daily. This is the seat of the grace God has given, and blessed are those who are called to the very place!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강) 지혜와 지혜 (0) | 2023.05.17 |
---|---|
(30강) 나도 안다 (0) | 2023.05.17 |
(28강) 소발의 등장 (0) | 2023.05.15 |
(27강) 욥의 하나님5 (0) | 2023.05.15 |
(26강) 욥의 하나님4 (0)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