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스의 삶

하나님이 모든 사람을 순종하지 아니하는 가운데 가두어 두심은 모든 사람에게 긍휼을 베풀려 하심이로다(로마서 11:32)

나는 날마다 죽노라(로마서 15:31)

◈신윤식 목사(은석교회)/욥기

(30강) 나도 안다

Hebrew 2023. 5. 17. 19:27

<본문>

1.욥이 대답하여 이르되 

2.너희만 참으로 백성이로구나 너희가 죽으면 지혜도 죽겠구나 

3.나도 너희 같이 생각이 있어 너희만 못하지 아니하니 그같은 일을 누가 알지 못하겠느냐 

4.하나님께 불러 아뢰어 들으심을 입은 내가 이웃에게 웃음거리가 되었으니 의롭고 온전한 자가 조롱거리가 되었구나 

5.평안한 자의 마음은 재앙을 멸시하나 재앙이 실족하는 자를 기다리는구나 

6.강도의 장막은 형통하고 하나님을 진노하게 하는 자는 평안하니 하나님이 그의 손에 후히 주심이니라 

 

 

<설교>

욥의 친구들이 욥이 처한 상황에 대해 충고하는데 그 중심은 죄에 대해 회개하라는 것이고 욥은 그 말에 대해 반박합니다. 욥의 친구들은 나름대로 자신들이 알고 있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동원하여 욥을 충고하고 설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친구들이 말하는 하나님에 대한 내용이 참으로 수준이 낮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하나님과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세상도 알고 있고 말하는 수준으로 만들어 버리는 것입니다.

 

 

친구들은 욥의 재앙 원인이 죄에 있다고 보고 회개하면 재앙이 사라지고 다시 복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것이 친구들이 생각하는 하나님이고 하나님이 행하시는 일입니다. 그러면 세상이 이러한 신에 대해 생소하다고 생각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생소하기는커녕 아주 익숙한 신에 대한 내용입니다. ‘악하게 살면 벌 받고 착하게 살면 복 받는다’는 것이 세상에 구축되어 있는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불교용어인데 현대에 와서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인과응보(因果應報)입니다. 원래는 과거 또는 전생의 인연을 따라 내생에 그에 합당한 보답을 받게 됨을 의미하는 불교에서 가르치는 내용이 현대에 유입되어 일상용어로 자리하게 된 것입니다. 

 

 

인과응보(因果應報)는 불교철학의 핵심 사상 중 하나인 윤회의 작동 원리이자 그것의 원동력이 된다고 할 수 있는 덕(업보)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는 불교윤리의 기본이 되는 사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사상이 욥 친구들이 말하는 재앙에 대한 시각과 다르다고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우리가 또 한 가지 생각해야 하는 것은 욥 친구들이 바라보는 욥의 재앙에 대한 시각이 지금의 기독교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선하게 살면 복 받고 악하게 살면 벌 받는다’는 사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현대의 기독교가 하나님과 하나님에 대한 이야기를 세상과 일치된 신지식으로 전락시켜 버린 현실입니다. 

 

 

만약 세상이 욥과 그의 친구들의 이야기를 듣는다면 아마 친구들의 말이 일리가 있다고 편들 것입니다. ‘착하게 살아야 복 받는다’는 세상 이론, 지식에 부합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욥은 “너희만 참으로 백성이로구나 너희가 죽으면 지혜도 죽겠구나 나도 너희 같이 생각이 있어 너희만 못하지 아니하니 그 같은 일을 누가 알지 못하겠느냐”(2,3절)라고 말하면서 반박합니다.

 

 

욥의 말의 의미는 ‘너희만 하나님을 안다고 생각하느냐’는 것입니다. 사실 소발을 비롯해서 엘리바스와 빌닷이 말하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은 하나님을 믿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수준입니다. 

 

 

11장의 소발의 말 또한 어찌 보면 뻔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러한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답이 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것 때문에 욥은 자신의 재앙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해 힘들어 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알고 있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으로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욥은 이어서 “하나님께 불러 아뢰어 들으심을 입은 내가 이웃에게 웃음거리가 되었으니 의롭고 온전한 자가 조롱거리가 되었구나 평안한 자의 마음은 재앙을 멸시하나 재앙이 실족하는 자를 기다리는구나”(4,5절)라고 말합니다. 

 

 

하나님께 불러 아뢰어 들으심을 입었다는 것은 하나님께 기도할 때 하나님이 기도를 들으셨다는 뜻입니다. 그러한 욥이 이웃에게 웃음거리가 되었다는 것은 재앙으로 인해서 하나님이 욥의 기도를 듣지 않으시고 버리신 것처럼 여겨졌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사실 누구라도 욥이 겪는 처지를 보면서 하나님이 욥의 기도를 들으시고 욥에게 함께 하신다고 생각하기가 난처할 것입니다. 우리도 예외는 아닙니다. 하나님의 복이 세상적인 것이 아니라 하늘의 것이라고 말하지만 욥과 같은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복을 받아 누린다고 말하기는 힘듭니다.

 

 

여러분이 생각지도 않는 고통을 겪는다고 생각해 보십시오. 욥처럼 모든 재산을 하루아침에 잃어버릴 수도 있고 심각한 병이 드러나서 입원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여러분께 함께 신앙생활 하던 교인이 찾아와서 ‘우리의 복은 하늘에 있으니까 낙심하지 말고 기도하세요’라고 말한다면 어떤 생각이 들까요?

 

 

하늘의 것이 복이라는 것은 성경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지식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지식이 현실의 모든 문제를 이기고 극복하게 하는 힘이 되지는 못합니다. 이것이 지식의 한계입니다. 우리가 평소에는 복음을 안다고 하지만 현실의 문제에 부딪히면 알고 있던 복음의 내용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 드러나는 이유가 그것입니다. 그래서 복음을 안다는 것이 자랑이 될 수 없는 것입니다. 이것이 여러분의 경험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가 복음을 알고 하나님을 믿는다 해도 변하지 않는 사실은 본질은 재앙이 당연한 저주의 존재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평안이라는 환경이 이 사실을 잊게 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신앙생활을 잘하고 하나님께 열심히 기도해서 하나님이 평안이라는 복을 주셨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욥의 친구들도 그러한 생각으로 자신들의 신앙이 욥보다 우월하다고 여긴 것입니다. 욥은 이것을 두고 5절에서 “평안한 자의 마음은 재앙을 멸시하나”라고 말합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현재의 평안을 자신이 신앙생활을 잘한 결과로 여기고 마치 재앙과 상관없는 것처럼 생각하는 것이 재앙을 멸시하는 것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보면 욥 친구들은 물론이고 재앙을 겪기 전의 욥이나 우리 모두가 재앙을 멸시하는 자에 해당된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우리에게 당연한 것은 평안이 아니라 재앙임을 생각하십시오. 사람은 모두가 진노의 자식이며 저주의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날마다 죄 가운데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평안의 복을 달라고 하는 것이 과연 옳은지를 생각해 보십시오. 그럼에도 평안이 있다면 그것은 하나님이 우리의 본질대로 우리를 상대하시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대로 상대하시고 일하신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됩니다.

 

 

욥 11:13,14절에서 소발이 “만일 네가 마음을 바로 정하고 주를 향하여 손을 들 때에 네 손에 죄악이 있거든 멀리 버리라 불의가 네 장막에 있지 못하게 하라”는 말을 합니다.

 

 

그런데 재앙이 있기 전의 욥의 신앙은 이미 죄를 멀리 버리고 불의가 장막에 있지 못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수준이었습니다. 이것은 말씀드리지 않아도 잘 아실 것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앙을 겪고 있기 때문에 욥에게 소발의 말은 현실과 맞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렇게 보면 욥에게 있어서 친구들의 말은 단지 듣기 싫은 잔소리가 아니라 현실의 경험과는 무관한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나열하는 수준이었을 뿐입니다. 그래서 ‘나도 너희와 같은 생각이 있어 너희만 못하지 아니하다’는 말을 하는 것입니다. 너희가 말하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현실은 다르다는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복음에 대한 지식이 제아무리 뛰어나다고 해도 그것으로 현실의 모든 문제를 신앙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일하심은 언제나 우리의 예상이나 기대와 어긋나기 때문입니다. 물론 복음에 대한 지식, 앎이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복음의 지식이 있다고 해서 신앙생활을 잘하게 되는 것은 아닌 것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은 어려움을 겪는 누군가를 만났을 때 ‘기도하세요’라든가 ‘하나님이 신앙을 연단하시려고 주신 고난이니까 인내하세요’라는 등의 말을 쉽게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욥 친구들처럼 평안 가운데 있는 자의 여유에서 나오는 동정심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6절을 보면 “강도의 장막은 형통하고 하나님을 진노하게 하는 자는 평안하니 하나님이 그의 손에 후히 주심이니라”고 말합니다.

 

 

이것이 욥이 눈 뜨게 된 현실입니다. 죄악을 멀리 하면 환난을 잊게 된다는 소발의 말이 사실이라면 강도의 장막은 형통하지 않아야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도 강도의 장막이 형통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에 불만을 갖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또한 자신을 강도가 아닌 의인의 자리에 두고 있는 생각일 뿐입니다. 이처럼 우리의 생각은 항상 자기중심으로 흘러갑니다. 복음을 안다고 해도 다르지 않습니다. 이것을 하나님이 주시는 현실에서 계속 경험해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Chapter 30

  

I Know As Well

  

And Job answered and said,

No doubt but ye are the people, and wisdom shall die with you.

But I have understanding as well as you; I am not inferior to you: yea, who knoweth not such things as these?

I am as one mocked of his neighbour, who calleth upon God, and he answereth him: the just upright man is laughed to scorn.

He that is ready to slip with his feet is as a lamp despised in the thought of him that is at ease.

The tabernacles of robbers prosper, and they that provoke God are secure; into whose hand God bringeth abundantly. (Job 12:1-6 KJV)

  

(Sermon)

  

The advice of Job’s friends centers ‘repentance’, against which Job is. They try to persuade him with their best knowledge of God, but what they are saying is not far from what the world says of God, which is problematic here.

  

They are saying his afflictions will disappear and he will receive blessings if he repents in the mind that the cause of his afflictions is his sin. This is their understanding of God. Would it sound strange to the world? No. It would rather sound familiar to the world because ‘if you do good, you will receive blessings, and if you do evil, you will be punished’ is prevalent in the world. 

  

There is a Buddhism phrase, ‘retributive justice’, which is widely used in the modern society. It means that past or past life affects after life according to it’s merits. 

  

Since ‘retributive justice’ is rooted into karma, the operating system of samsara (the eternal cycle of birth), it is the basis of ethics of Buddhism. Then, can you say it is different from what Job’s friends are saying? 

  

One thing we should also think of is their view of Job’s afflictions is not far from what the modern Christianity says, “if you do good, you will receive blessings, and if you do evil, you will be punished.” It tells us how mingled the modern Christianity is with the world. 

  

If the world were to hear what they are saying, it would think they are reasonable because their words fit to its idea, ‘dong good brings blessings.’ Yet, Job opposes to them by saying, “No doubt but ye are the people, and wisdom shall die with you. But I have understanding as well as you; I am not inferior to you: yea, who knoweth not such things as these?” 

  

He insinuates, “do you think you are the only ones who know God?” In fact, the knowledge of Zophar, Bildad and Eliphaz is common among those who claim to believe in God. 

  

We can say the words of Zophar in Chapter 11 are too obvious. The thing is that such knowledge of God is not a key to solve the problem Job is facing. That’s why Job is having a hard time. There is no way for him to understand what God is doing to him. 

  

He continues to say in Verses 4 and 5, “I am as one mocked of his neighbour, who calleth upon God, and he answereth him: the just upright man is laughed to scorn. He that is ready to slip with his feet is as a lamp despised in the thought of him that is at ease.” 

  

He says God answers his prayer, but now he is mocked by his friends, thinking God has forsaken him. 

  

As a matter of fact, if one sees his situations, one can hardly tell God hears his prayer and is with him. We can’t either. We say the blessings God gives are not of God, but we can’t say Job is in the blessings. 

  

Imagine you are in an unexpected pain. It could be the loss of all possessions or hospitalized for a severe illness. Then, if someone comes to you, saying, “our blessings are in heaven, so don’t faint and just pray to God”, what would you feel?

  

We all know our blessings are in heaven, but the knowledge can’t overcome our problems in reality. This is the limit of knowledge. That’s why our acts are far different from our words when we are in hardships even though we say we know the gospel. Thus, we can’t boast our knowledge of the gospel, which should be our conduct.

  

Although we know the gospel and believe in God, one thing that is true is that we deserve to perish, but our comfortable environment makes us forget about it. Furthermore, we might think God gave us peace and comforts as we prayed to God and lived a good life for God. Job’s friends also thought they were superior to Job in that aspect, which Job is against by saying in Verse 5, “He that is ready to slip with his feet is as a lamp despised in the thought of him that is at ease.”

  

As I have told you, ‘an idea that the comfortable life one is experiencing is the result of one’s life in faith and one has nothing to do with afflictions’ is actually to despise afflictions. In this sense, it is true that not only Job’s friends and Job but we also belong to the category of ‘despising afflictions.’

  

Don’t forget that what we deserve is not comforts but afflictions. It is because all men are sons of wrath and under the curse. Consider if it’s right that we ask God for blessings since we are living in sin. Nevertheless, if we are in comforts, it means that God doesn’t treat us according to what we are but His will. 

  

Zophar says in Job 11:13-14, “If thou prepare thine heart, and stretch out thine hands toward him; If iniquity be in thine hand, put it far away, and let not wickedness dwell in thy tabernacles.” 

  

Yet, before the afflictions, Job’s life was like Zophar’s words, which is needless to say, but Job is experiencing the disasters despite that. Thus, his words of Zophar to Job are not realistic at all.

 

In this sense, the words of Job’s friends are something Job wouldn’t want to hear but words enumerated things of God in vain, having nothing to do with reality. That’s why Job disagrees with them by saying, ‘I’m not inferior to you.’ He implies that their words and knowledge of God is wrong. 

  

This is what we are experiencing in our daily life. Even if our knowledge of the Bible is superb, we can’t solve our problems in life with it. It is because the work of God doesn’t match our expectation. No doubt the knowledge of the gospel could be helpful for problems in life, but it doesn’t make our life perfect in faith. 

  

Thus, what we need to remember when we meet people in adversity is that we shouldn’t say, “pray to God”, or “be patient with it because God has given it to you for your faith refinement” because we might say that from sympathy of those who are simply not in afflictions like Job’s friends. 

  

In Verse 6, it says, “The tabernacles of robbers prosper, and they that provoke God are secure; into whose hand God bringeth abundantly.” 

  

This is the reality Job realized. If the words of Zophar were true, the tabernacles of robbers shouldn’t prosper. Yet, we can also see many robbers flourishing. Besides, we might complain about it. However, it is that we put our position on the righteous, not that of robbers. Likewise, our thoughts are always moving self-centered. Knowing the gospel doesn’t make us any different from that, which we need to continue to experience in various situations of our life given by God!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강) 법과 관계  (0) 2023.05.17
(31강) 지혜와 지혜  (0) 2023.05.17
(29강) 소발의 하나님  (0) 2023.05.15
(28강) 소발의 등장  (0) 2023.05.15
(27강) 욥의 하나님5  (0) 2023.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