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0.주께서 나를 젖과 같이 쏟으셨으며 엉긴 젖처럼 엉기게 하지 아니하셨나이까
11.피부와 살을 내게 입히시며 뼈와 힘줄로 나를 엮으시고
12.생명과 은혜를 내게 주시고 나를 보살피심으로 내 영을 지키셨나이다
13.그러한데 주께서 이것들을 마음에 품으셨나이다 이 뜻이 주께 있는 줄을 내가 아나이다
14.내가 범죄하면 주께서 나를 죄인으로 인정하시고 내 죄악을 사하지 아니하시나이다
15.내가 악하면 화가 있을 것이오며 내가 의로울지라도 머리를 들지 못하는 것은 내 속에 부끄러움이 가득하고 내 환난을 내 눈이 보기 때문이니이다
16.내가 머리를 높이 들면 주께서 젊은 사자처럼 나를 사냥하시며 내게 주의 놀라움을 다시 나타내시나이다
17.주께서 자주자주 증거하는 자를 바꾸어 나를 치시며 나를 향하여 진노를 더하시니 군대가 번갈아서 치는 것 같으니이다
<설교>
신자가 진리로 자유하지 못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자기 행동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자기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생각이 자기 행동을 판단하고 추궁하고 자책하게 하면서 부족한 것이 있다면 좀 더 나은 실천으로 보강하여 신자답게 되어야 한다는 강박에 붙들리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도하지 않고 성경 보지 않으면 신자가 아닌 것 같은 조바심을 갖게 되고 신자로 산다는 안위를 얻기 위해 기도하고 성경을 보는 일도 허다하다 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자유하지 못하는 전형적인 종교인의 모습임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면 자기 행동에 문제가 없고 부족함이 없다고 할 정도로 완벽한 사람이라면 어떨까요? 현재로 완벽하니까 더 나은 존재가 되어야 한다는 강박에 붙들리지 않아도 되기에 자유 한다고 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이것을 욥을 통해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욥 또한 자유가 없었던 사람입니다. 다만 욥은 행위의 부족을 채우기 위해 힘썼다기보다는 자신의 행위를 자기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자유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재앙을 겪으면서 하나님이 자신의 신앙행위를 아무 가치가 없는 것으로 취급하는 것처럼 느껴지고, 그로 인해 혼란스러워하는 것들 하나하나가 자기로부터 자유하지 못한 실상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이 하나님께로 나아갈 때 자신을 죽음의 존재로 보는 것은 참으로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죽음의 존재로부터 나올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고 죽음의 존재가 가질 수 있는 것 또한 없다는 사실에 신자는 익숙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진리가 자유하게 한다는 것은 진리가 우리에게 죽음을 보게 하고 죽음을 봄으로써 가장 크고 가치 있는 것이 그리스도라는 사실에 머물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자신의 모든 것이 비워지는 상태를 뜻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욥은 자기 행위를 포기하지 않음으로써 재앙을 납득하지도 받아들이지도 못했던 것이고 하나님에 대해서도 온유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욥의 친구들이 욥을 설득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논리는 재앙이 욥의 죄로 인해 왔다는 것입니다. 무슨 죄를 범했는지는 모르지만 죄를 범했기에 그 대가로 재앙이 주어졌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회개할 것을 설득하지만 그들은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이 범죄 하지 않는 인간 되는 것에 있지 않음을 모른다는 것이 결정적 오류입니다. 결국 드러나는 것은 욥도 욥의 친구들도 하나님의 원수이고 죽음의 존재라는 사실입니다.
12-13절을 보면 욥이 “생명과 은혜를 내게 주시고 나를 보살피심으로 내 영을 지키셨나이다 그러한데 주께서 이것들을 마음에 품으셨나이다 이 뜻이 주께 있는 줄을 내가 아나이다”라고 말합니다.
욥은 하나님이 자신에게 생명과 은혜를 주시고 자신을 보살피심으로 영을 지키셨다고 말합니다. 이것만 보면 욥은 하나님을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 말들은 대개의 기독교인의 입에서 흘러나오는 통상적인 발언에 지나지 않습니다. 생명과 은혜를 하나님이 주심으로 자신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면 자신이 하나님의 것임이 인정되어야 하고, 하나님의 것이라면 ‘왜 이렇게 하십니까?’라는 말 자체가 성립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지금 욥은 하나님이 생명과 은혜를 주시고 보살피시고 지켜주셨으면서 왜 재앙을 마음에 품으시고 자신에게 행하시는가를 묻고 있습니다. 이것을 보면 욥은 생명과 은혜를 주시고 보살피시는 이유가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욥은 자신이 살아왔던 신앙생활만 생각할 뿐 인간이 근본적으로 저주의 존재이고 하나님의 원수라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합니다. 신앙에 인간이 개입하고 책임질 수 있는 부분이 전혀 없음을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이 생명과 은혜를 주셨다는 말이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 의미가 없는 것입니다.
분명한 것은 욥의 재앙은 욥의 생활이 문제가 되어서 주어진 것이 아니란 것입니다. 욥기는 이것을 분명히 전제하기 위해서 욥이라는 인간과 그의 신앙을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소개하고 시작합니다. 하지만 인간에게는 감추어진 악한 속성이 있었고 그것이 재앙으로 인해서 낱낱이 드러나는 것입니다.
욥은 재앙을 받는 자신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아니, 인정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친구들보다 낫고, 누구도 따라오지 못할 철저한 신앙생활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욥은 왜 그렇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는 없이 자신이 자신을 책임지는 인생을 살았을 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체가 하나님이시며 하나님께 사로잡힌 인생인 것을 모른 것입니다. 그리고 욥과 같은 무지의 상태에서 나름대로 신앙생활을 해보겠다고 설치는 것이 지금의 기독교인 것입니다.
14-15절을 보면 “내가 범죄하면 주께서 나를 죄인으로 인정하시고 내 죄악을 사하지 아니하시나이다 내가 악하면 화가 있을 것이오며 내가 의로울지라도 머리를 들지 못하는 것은 내 속에 부끄러움이 가득하고 내 환난을 내 눈이 보기 때문이니이다”라고 말합니다.
욥은 자신이 범죄 했다면 하나님이 죄악을 사하시지 않고 화를 내리시는 것이 맞다고 말합니다. 하나님은 죄를 심판하는 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의롭다 할지라도 머리를 들지 못할 정도로 부끄럽다는 것이 욥의 심정입니다. 왜냐하면 자신이 환난을 겪고 있는데 어떻게 의롭다며 머리를 들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이것을 보면 욥에게는 내가 원하는 나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신앙생활도 하나님을 경외하며 죄에서 떠난 나로 존재하기 위한 것이었고 사람들 앞에서 부끄러움이 없는 나로 존재하고자 함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해서 하나님을 위한 신앙생활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바울은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갈 2:20)고 말합니다.
바울이 그리스도를 만난 후에 그의 삶은 그리스도에게 묻혀 버렸습니다. 자기를 위한 인생은 사라지고 그리스도를 위한 인생만 남은 것입니다. 이것을 두고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다고 말한 것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복음을 전하면서 매를 맞고 옥에 갇히는 고난을 겪어도 부끄럽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자존심을 위한 인생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에서 보면 욥이 비록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삶을 살았다 해도 하나님께 사로잡혀 산다는 하나님과의 관계 문제에는 무지했고, 하나님이 개입하시고 일하시는 것이 하나님께 붙들린 인생이라는 점에도 무지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인생을 사는 것 외에는 생각하지 않은 것입니다.
하나님이 욥에게 왜 재앙이 있는지 말씀하지 않으신 것처럼 우리 또한 어떤 삶에 대해서도 하나님께 설명을 들을 수 없습니다. 또한 하나님은 우리가 겪는 일에 대해 설명해 주지도 않습니다. 그래서 미래에 대해 답답할 수 있고 불안감이 있을 수도 있으며 욥과 같은 혼란을 겪어야 할 때도 있을 것입니다.
다만 분명한 것은 하나님께 붙들려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책임지는 인생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의 인생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고자 하시고 남기고자 하시는 것으로 채워질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붙들어야 할 희망입니다. 여러분이 원하는 것에 희망을 두지 마시고 하나님의 일하심에 희망을 두시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하나님께 사로잡혀 살아가는 신자입니다.
21,22절에서 욥은 “내가 돌아오지 못할 땅 곧 어둡고 죽음의 그늘진 땅으로 가기 전에 그리하옵소서 땅은 어두워서 흑암 같고 죽음의 그늘이 져서 아무 구별이 없고 광명도 흑암 같으니이다”라는 말을 합니다.
죽음의 세계에 들어가면 모든 것이 어둠이기 때문에 자신의 재앙으로 타인과 비교되지 않을 것을 생각한 것입니다. 이처럼 욥이 끝까지 붙들고자 하는 것은 부끄럽지 않은 자로 남는 것이고 이것이 우리의 인간성입니다.
이러한 우리에게 오셔서 부끄러움의 길로 가신 분이 예수님이시고 예수님이 오심으로 모든 인간의 악함이 증명된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악한 우리를 생명에 있게 하시겠다는 뜻을 가지고 일하시기 때문에 신자는 하나님께 사로잡힌 인생이라는 것으로 감사하는 것입니다.
Chapter 27
God of Job 5
Hast thou not poured me out as milk, and curdled me like cheese?
Thou hast clothed me with skin and flesh, and hast fenced me with bones and sinews.
Thou hast granted me life and favour, and thy visitation hath preserved my spirit.
And these things hast thou hid in thine heart: I know that this is with thee.
If I sin, then thou markest me, and thou wilt not acquit me from mine iniquity.
If I be wicked, woe unto me; and if I be righteous, yet will I not lift up my head. I am full of confusion; therefore see thou mine affliction;
For it increaseth. Thou huntest me as a fierce lion: and again thou shewest thyself marvellous upon me.
Thou renewest thy witnesses against me, and increasest thine indignation upon me; changes and war are against me. (Job 10:10-17 KJV)
(Sermon)
One of the reasons why christians are not free with the truth is an idea that they have to be responsible for what they do, which makes them obsessed with a thought that they have to be decent christians by judging themselves and improving their practice.
Thus, they feel anxious whenever they don’t pray or read the Bible. Consequently, they pray or read the Bible to be comforted, all of which shows what religious people look like, not free.
Then, what about one who is perfect, not having any problem nor lacking in behavior? Can we say one is free because one is not obsessed with the thought that one should be better? We can find the answer from Job.
The answer is ‘no’ because Job was the one without freedom. Yet, it is not that he was trying to make up what he was lacking but he was not free because he thought his works were his own, which means that he felt God wouldn’t count his life of faith, confounding him through the afflictions.
Therefore, we can say that believers see themselves dead at the presence of God because there is nothing good out of ‘dead’ and they should keep that in mind.
Thus, ‘the truth shall make you free’ means that the truth makes believers see themselves dead, realizing Christ is the only One valuable with self-denial. Yet, Job wouldn’t give up on his works, causing him not to accept the afflictions and complain against God.
Job’s friends are now persuading him, reasoning that the afflictions come from his sin. Although they don’t know what he sinned, they are saying his sufferings are the result of his sin, urging him to repent. Yet, they are ignorant that God is not pleased with one who wouldn’t sin. After all, what is revealed is that Job and his friends are the enemies of God and dead before God.
In Verses 12 and 13, it says, “Thou hast granted me life and favour, and thy visitation hath preserved my spirit. And these things hast thou hid in thine heart: I know that this is with thee.”
Job says God has given him life and preserved his spirit. Taking a look at him with this, he seems to know God well. Yet, what he says here is not much different from what christians in modern Christianity say, not more than perfunctory because he shouldn’t have said, ‘why me, God?’ if he had truly thought he was in the grace of God, giving him life.
However, he is rather asking God why God gave him the afflictions since He had given him grace and life. From his words, we can learn that Job thought God gave him life and grace for his sake.
He was only thinking of his life of faith, not the fact that he was the cursed one and the enemy of God. He doesn’t know there is nothing he can do about faith. That’s why what he said in Verses 12 and 13 is meaningless.
One thing clear is that his afflictions are not caused by the problem he had in his life. In order for the Book of Job to make sure this fact, it states that he was perfect in his life of faith at the beginning. Yet, there was our wicked sinful mature, being revealed through the afflictions.
Job wouldn’t accept himself in the afflictions. More precisely speaking, he didn’t want to because he had the life of faith better than anyone else including the three friends. Yet, we can say that he merely lived his life while responsible for himself without knowing the reason why. He had no sense that the subject of his life was God, being held by God. Christians in modern Christianity are not far from Job.
In Verses 14 and 15, it says, “If I sin, then thou markest me, and thou wilt not acquit me from mine iniquity. If I be wicked, woe unto me; and if I be righteous, yet will I not lift up my head. I am full of confusion; therefore see thou mine affliction.”
He is saying if he sins, it is correct that God punishes him because God judges sin. Yet, he is also saying even though he is righteous, he is too ashamed to lift up his head because he is in the afflictions.
In this sense, there is what he wants Job is in him. His life of faith was for what he wanted he was, revering God and eschewing evil. In short, it wasn’t for God.
Paul says in Galatians 2:20, “I am crucified with Christ: neverthless I live; yet not I, but Christ liveth in me: and the life which I now live in the flesh I live by the faith of the Son of God, who loved me, and gave himself for me.”
After he met Christ, he was buried with Christ. The life for himself was gone and the life for Christ was left for him, which he describes Christ lives in him. That’s why he wasn’t ashamed although he was beaten and put into prison while preaching the gospel because the life was not for him.
In this sense, even though Job was revering God and eschewing evil, he had nothing to do with the relationship with God, being captured by God and the work of God, intervening his life. He only had the life he wanted to have.
As God didn’t tell him why He gave him the afflictions, God doesn’t to us either, making us frustrated time to time like Job.
Yet, what is for sure is that we are held by God and God is responsible for us, which is why our lives will be filled with what God wants to give us. This is what we ought to hold on to. We ought not to hold on to what we want but the work of God, captured by God.
In Verses 21 and 22, Job says, “Before I go whence I shall not return, even to the land of darkness and the shadow of death; A land of darkness, as darkness itself; and of the shadow of death, without any order, and where the light is as darkness.”
He thinks he can’t be compared to others if he dies, which is what Job wants to hold on to until the end, not ashamed, which is also in us by our nature.
Jesus is the One who walked on the way of shame for such sinners like us, by which our wickedness is exposed. As God is working in His will that He keeps us in life, believers are to be thankful for the life, captured by Him!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강) 소발의 하나님 (0) | 2023.05.15 |
---|---|
(28강) 소발의 등장 (0) | 2023.05.15 |
(26강) 욥의 하나님4 (0) | 2023.05.15 |
(25강) 욥의 하나님3 (0) | 2023.05.15 |
(24강) 욥의 하나님2 (0)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