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오직 내게 이 두 가지 일을 행하지 마옵소서 그리하시면 내가 주의 얼굴을 피하여 숨지 아니하오리니
21.곧 주의 손을 내게 대지 마시오며 주의 위엄으로 나를 두렵게 하지 마실 것이니이다
22.그리하시고 주는 나를 부르소서 내가 대답하리이다 혹 내가 말씀하게 하옵시고 주는 내게 대답하옵소서
23.나의 죄악이 얼마나 많으니이까 나의 허물과 죄를 내게 알게 하옵소서
24.주께서 어찌하여 얼굴을 가리시고 나를 주의 원수로 여기시나이까
25.주께서 어찌하여 날리는 낙엽을 놀라게 하시며 마른 검불을 뒤쫓으시나이까
26.주께서 나를 대적하사 괴로운 일들을 기록하시며 내가 젊었을 때에 지은 죄를 내가 받게 하시오며
27.내 발을 차꼬에 채우시며 나의 모든 길을 살피사 내 발자취를 점검하시나이다
28.나는 썩은 물건의 낡아짐 같으며 좀 먹은 의복 같으니이다
<설교>
욥이 재앙을 겪으며 알아가게 되는 것은 ‘하나님은 이런 분이다’가 아니라 ‘하나님은 내가 알고 있던 분이 아니었다’입니다. 자신이 알고 있던 하나님이 부정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자신이 알고 있던 하나님이 하나님이 아니었음을 알게 되면서 ‘그러면 하나님은 누구신가?’에 대한 열망은 더욱 커지게 됩니다. 욥이 재앙으로 인해서 그러한 열망을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흔히‘사람 일은 알 수가 없다’라고 말합니다. 사람의 뜻과 계획대로 된 것이 세상일이 아니고 오늘의 평안이 내일에는 고통으로 뒤바뀌기도 하는 것이 사람 사는 세상의 현실이기에 나오는 말입니다. 이것은 그리스도인에게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사람 일은 알 수가 없습니다. 욥은 그것을 몸소 겪고 있고 우리는 욥을 통해서 그러한 삶의 이치를 다시금 확인하게 됩니다.
하지만 신자는 ‘알 수 없다’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에 하나님이 개입하시고 하나님의 뜻이 있는 길로 인도된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렇다면 신자는 사람 일을 알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알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비록 욥처럼 재앙의 이유와 하나님의 의도에 대해서는 모른다 해도 재앙의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일은 계속되고 있으며 우리를 하나님께로 끌어가신다는 사실입니다.
그런 점에서 욥의 재앙도 단지 견딜 수 없는 인간의 불행으로만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재앙의 고통 가운데서도 하나님을 생각하고 하나님을 말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고 그렇게 행하시는 분이 하나님이심을 보게 됩니다.
23-25절을 보면 욥이 “나의 죄악이 얼마나 많으니이까 나의 허물과 죄를 내게 알게 하옵소서 주께서 어찌하여 얼굴을 가리시고 나를 주의 원수로 여기시나이까 주께서 어찌하여 날리는 낙엽을 놀라게 하시며 마른 검불을 뒤쫓으시나이까”라고 말합니다.
욥은 자신의 고통 자리에서 하나님께 항변합니다. 만약 욥을 두고 흔히 ‘인내의 사람’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욥이 모든 고통을 견디고 인내하면서 하나님을 전혀 원망하지 않았다면 욥기는 우리에게 말 그대로 어떤 고난도 견디지 못할 것이 없다는 교훈을 주면서 ‘인내’라는 것만 생각하게 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욥은 지극히 인간적인 모습을 드러냅니다. 하지만 친구들의 눈에는 욥의 그러한 말들이 하나님을 저주하는 것처럼 들렸고 따라서 욥이 신앙적으로 문제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더욱 굳히게 했을 뿐입니다.
그래서 욥의 말을 들은 엘리바스가 다시 등장하여 “참으로 네가 하나님 경외하는 일을 그만두어 하나님 앞에 묵도하기를 그치게 하는구나 네 죄악이 네 입을 가르치나니 네가 간사한 자의 혀를 좋아하는구나”(욥 15:4,5)는 말을 하게 됩니다.
이것을 보면 친구들은 ‘신자는 어떤 경우에도 하나님에 대해 의심하는 말을 하거나 반항하는 말을 해서는 안된다’는 신앙의 틀을 갖고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지금의 대다수 기독교인의 생각이기도 합니다. 하나님에 대해 불손한 말을 하는 것 자체를 신앙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인간의 무능을 깨닫지 못한, 고통의 자리에 있지 않은 사람의 여유일 뿐입니다.
욥도 자식과 재산을 잃었을 때까지만 해도 “내가 모태에서 알몸으로 나왔사온즉 또한 알몸이 그리로 돌아가올지라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욥 1:21)라고 말하면서 자기의 모든 일에 범죄 하지 않고 하나님을 원망하지 않았습니다.
과연 ‘악에서 떠난 자더라’는 칭송을 들을만한 면모를 보여주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계속되는 재앙으로 인해서 욥의 내면에 감추어져 있는 인간적인 모습이 드러나면서 인간의 무능이 여실히 드러나게 됩니다. 욥은 재앙으로 인해서 그렇게 자기를 보게 되고 한 발 한 발 하나님께로 이끌려 가는 것입니다.
20, 21절을 보면 욥이 하나님께 “오직 내게 이 두 가지 일을 행하지 마옵소서 그리하시면 내가 주의 얼굴을 피하여 숨지 아니하오리니 곧 주의 손을 내게 대지 마시오며 주의 위엄으로 나를 두렵게 하지 마실 것이니이다”라고 호소합니다.
욥이 하나님께 호소하듯 말하는 두 가지 일은 주의 손을 자신에게 대지 않는 것이고, 주의 위엄으로 두렵게 하지 않으시는 것입니다. 욥은 왜 이 두 가지 일을 하나님께 구하는 것일까요? 둘 중의 하나만이라도 ‘지금의 재앙에서 벗어나게 해달라’고 기도하는 것이 인간적이지 않을까요?
중요한 것은 하나님은 욥의 이러한 말을 다 듣고 계신다는 것입니다. 더군다나 모든 상황이 욥으로 하여금 이러한 요구의 말을 하도록 만들었음을 생각해 보면 욥으로 하여금 그런 말이 나오도록 하신 분이 하나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에 욥에게 일하시는 하나님이심을 생각해 본다면 우리도 ‘하나님이 누구신가?’에 대한 물음에 대해 ‘모르겠다’라고 답할 수밖에 없습니다.
22절에서 욥은 “그리하시고 주는 나를 부르소서 내가 대답하리이다 혹 내가 말씀하게 하옵시고 주는 내게 대답하옵소서”라고 말합니다.
욥이 구한 두 가지의 일의 의미는 하나님 앞에 존재할 수 있도록만 해달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래야 하나님을 만나게 되는 기회도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욥은 하나님이 자신을 부르시기를 원합니다. 하나님이 부르시면 대답을 하고 주가 욥에게 대답하는 것으로 하나님과의 대화를 갈망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과의 대화가 있다면 재앙에 대한 하나님의 이유도 알게 될 것을 기대하는 심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욥은 여전히 인간이 얼마나 무지한 존재인가에 대해 알지 못합니다. 하나님이 자신을 부르시면 대답하겠다고 말하지만 정작 욥에게 하나님이 말씀하셨을 때 그는 단 하나도 대답할 수 없었습니다. 그렇게 욥은 인간의 무능과 무지를 경험하는 길에 있습니다.
욥은 재앙을 통해서 자신이 알지 못했던 생소한 하나님을 경험해 갑니다. 그리고 우리 역시 욥의 재앙에서 지금껏 우리가 알지 못했던 생소한 하나님을 보게 됩니다. 그런데 생소한 하나님에 관해서 설명할 지혜가 없습니다.
그런데도 우리가 하나님을 믿는다고 할 수 있을까요? 이것을 생각하면 우리의 믿음은 성경의 내용을 그 의미를 모르고 깊은 생각도 상실된 채 무조건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는다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맹목적인 믿음인 것입니다.
이러한 맹목적 믿음의 틀에 욥기를 집어 놓고 사람들의 입맛에 맞는 그럴듯한 해석을 만들어 낸 것이 ‘욥이 재앙을 겪으면서도 참고 인내하여 하나님으로부터 갑절의 축복을 받았다’는 말입니다. 욥의 원망과 불평과 반항과 혼란에 대해서는 욥의 이야기에 전혀 등장하지 않고 없는 것처럼 치부해 버리는 것이 성경에 대한 현대인의 태도인 것입니다.
우리는 욥에게서 하나님을 만나고 하나님을 알고자 하는 열망을 보게 됩니다.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열망일 것입니다. 그가 하나님께 구한 두 가지의 일에 예전의 평안을 찾는 것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이 하나님을 알고자 하는 욥의 마음을 생각하게 합니다.
시 42:1-2절에 보면 “하나님이여 사슴이 시냇물을 찾기에 갈급함 같이 내 영혼이 주를 찾기에 갈급하니이다 내 영혼이 하나님 곧 살아 계시는 하나님을 갈망하나니 내가 어느 때에 나아가서 하나님의 얼굴을 뵈올까”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시가 이스라엘이 바벨론에 망하고 많은 백성이 바벨론에 포로 된 상황임을 생각해 보면 죽음을 방불한 위기 상황이 저자로 하여금 하나님에 대해 갈급함을 경험하게 했음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일은 현재 상황만으로 섣불리 속단하고나 예상할 수 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욥의 이야기를 보면서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은 고난이 고통으로만 끝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고난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을 향한 갈급함을 경험하게 할 것이고, 우리의 믿음 없음과 무지를 실감하게 하면서 하나님이 붙드심과 인도하심을 신뢰하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고난으로 배우게 되는 희망입니다.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것을 곰곰이 생각해 보십시오.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이 신자라면 비록 역함과 무지함으로 흔들리고 주저앉을 것 같다 할지라도 주께서 붙드시고 주의 동행을 신뢰하게 할 것입니다. 허락되고 주어지는 인생에서 이것을 알아가기 바랍니다.
Chapter 35
Two Things
Only do not two things unto me: then will I not hide myself from thee.
Withdraw thine hand far from me: and let not thy dread make me afraid.
Then call thou, and I will answer: or let me speak, and answer thou me.
How many are mine iniquities and sins? make me to know my transgression and my sin.
Wherefore hidest thou thy face, and holdest me for thine enemy?
Wilt thou break a leaf driven to and fro? and wilt thou pursue the dry stubble?
For thou writest bitter things against me, and makest me to possess the iniquities of my youth.
Thou puttest my feet also in the stocks, and lookest narrowly unto all my paths; thou settest a print upon the heels of my feet.
And he, as a rotten thing, consumeth, as a garment that is moth eaten. (Job 13:20-28 KJV)
(Sermon)
What Job is getting to know as he is experiencing the afflictions is not ‘this is who God is’, but ‘the God I thought I knew was not God.’ He denies himself of what he thought was God. As he is going through the situations, he is getting more and more desire to know, ‘then, who is God?’ This can be the result of the afflictions so far.
We often hear, ‘there is no saying of what will happen in human events’, meaning that things are not going as planned such as today’s comfort turned to tomorrow’s pain. It can also be applied to christians. No one knows what will happen. This is what Job is having and we can make sure the truth through him as well.
Yet, believers don’t just end with ‘I can’t know anything’, but will find out the will of God, leading them in His guidance. In this sense, believers can say, ‘I can say what will happen.’ That is, even though they don’t know the intention of God and reason of all afflictions like Job, they know the fact that the will of God is being fulfilled and leading them in His way even in hardships of life for good.
Thus, the afflictions of Job come to us as not only unbearable disasters but also things that can teach us who God is and what the work of God is.
In Verses 23 to 25, it says, “How many are mine iniquities and sins? make me to know my transgression and my sin. Wherefore hidest thou thy face, and holdest me for thine enemy? Wilt thou break a leaf driven to and fro? and wilt thou pursue the dry stubble?”
Job is protesting against God in his sufferings. The Book of Job would end up giving us a lesson ‘be patient’ if Job had endured all the difficulties and sufferings like many say Job is the man with patience.
However, Job is showing us his impatience. Such words sounded like cursing God to his friends, leading them to making their conclusion Job has a problem in his life of faith with sin.
That’s why Eliphaz takes his turn again to say in 15:4 to 5, “Yea, thou castest off fear, and restrainest prayer before God. For thy mouth uttereth thine iniquity, and thou choosest the tongue of the crafty” after he heard Job.
Here, we can learn that his friends have a strong idea, ‘a believer must neither complain nor doubt against God no matter what.’ This is what most christians think as well, considering any disrespectful words are of unbelief. Yet, this idea merely reveals the ignorance of man’s inability and it is of a leisurely manner, with no afflictions.
Job, too, neither sinned in his lips nor resented God when he lost his possessions and children, saying, “And said, Naked came I out of my mother's womb, and naked shall I return thither: the LORD gave, and the LORD hath taken away; blessed be the name of the LORD.”
He was a man of perfect life of faith according to a phrase, saying, ‘eschewing evil.’ But, in the continuation of his afflictions, he is beginning to show what’s inside, his inability to believe in God. He is being led to God as he is seeing himself.
In Verses 20 and 21, he is imploring God, saying, “Only do not two things unto me: then will I not hide myself from thee. Withdraw thine hand far from me: and let not thy dread make me afraid.”
As he says, the two things are ‘withdrawing the hand of God from him and not making him afraid of God.’ Why is he asking God the two? Wouldn’t it be more reasonable to ask God to save him from the pain even at least one out of the two?
The thing is, God hears him. Moreover, we can conclude that he had to say such in the condition God had provided him. Thinking of the work of God to Job, we can also answer, ‘I don’t know’, for the question, ‘who is God?’
In Verse 22, it says, “Then call thou, and I will answer: or let me speak, and answer thou me.”
The meaning of the two things he asks is that he only wants to exist before God because only then, can he have a chance to meet God. That’s why he wants God to call him out. Job yearns for God to answer if God calls him. It could be that he might find out why he is having such hard time if he meets God.
Yet, he still doesn’t know the ignorance of man. He says he will answer if God calls him, but when God has actually called him, he couldn’t have answered God at all. Through such, he is getting to know man’s incapability and ignorance.
He is finding God, whom he didn’t know, through the afflictions. We also see the unfamiliar God in his afflictions, but there is no wisdom in us to explain who the God is.
Then, can we say we believe in God? Taking a deep consideration of it, it could be true that we believe that the Bible is the Word of God without knowing the meaning. We are blind in faith.
What preachers interpret the Book of Job in ‘the blind faith’ is ‘Job was eventually blessed twice after he had endured all the difficulties in the afflictions.’ They are saying it, disregarding his resentment, complaints, rebellion and confusion.
We can see the desire to know God from Job, which we can’t experience. It is his pure heart to want to know God since he is not asking God to recover back to his past condition.
In Psalm 42:1-2, it says, “As the hart panteth after the water brooks, so panteth my soul after thee, O God. My soul thirsteth for God, for the living God: when shall I come and appear before God?”
His psalm tells us that the author is eagerly willing to know God in the critical situations after Israel had been destroyed by Babylon. That’s why we can neither expect nor conclude things with what we know now.
Yet, what we can learn from the story of Job is that affliction doesn’t end with pain only. It makes us long for the knowledge of God and reveals our unbelief and ignorance, realizing that God is holding and leading us in His will. This is the hope we can learn from affliction.
Ponder deeply upon the fact that we are in Christ. We will find that we come more to trust in the Lord, who is with us even if we feel like faltering and falling down by our incapability and ignorance. I hope you can learn this truth in all that is given to us!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7강) 스올에 감추시며 (0) | 2023.05.17 |
---|---|
(36강) 홀로 있게 (0) | 2023.05.17 |
(34강) 구원이 되리라 (0) | 2023.05.17 |
(33강) 쓸모없는 의원 (0) | 2023.05.17 |
(32강) 법과 관계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