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7.나무는 희망이 있나니 찍힐지라도 다시 움이 나서 연한 가지가 끊이지 아니하며
8.그 뿌리가 땅에서 늙고 줄기가 흙에서 죽을지라도
9.물 기운에 움이 돋고 가지가 뻗어서 새로 심은 것과 같거니와
10.장정이라도 죽으면 소멸되나니 인생이 숨을 거두면 그가 어디 있느냐
11.물이 바다에서 줄어들고 강물이 잦아서 마름 같이
12.사람이 누우면 다시 일어나지 못하고 하늘이 없어지기까지 눈을 뜨지 못하며 잠을 깨지 못하느니라
13.주는 나를 스올에 감추시며 주의 진노를 돌이키실 때까지 나를 숨기시고 나를 위하여 규례를 정하시고 나를 기억하옵소서
14.장정이라도 죽으면 어찌 다시 살리이까 나는 나의 모든 고난의 날 동안을 참으면서 풀려나기를 기다리겠나이다
15.주께서는 나를 부르시겠고 나는 대답하겠나이다 주께서는 주의 손으로 지으신 것을 기다리시겠나이다
16.그러하온데 이제 주께서 나의 걸음을 세시오니 나의 죄를 감찰하지 아니하시나이까
17.주는 내 허물을 주머니에 봉하시고 내 죄악을 싸매시나이다
<설교>
대개의 기독교인들은 자기 믿음을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찾아내어 보충하고 고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자신의 믿음이 하나님이 원하지 않는 모습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자리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이 원하시고 기뻐하시는 인간으로 존재하고 싶어 하는 마음은 좋다고 할 수 있지만 과연 하나님이 원하시고 기뻐하시는 인간이 누군가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정립되어 있는지가 문제입니다.
만약 하나님이 원하시는 인간이 누군가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기 신앙을 점검하고 고치고자 한다면 그 모든 노력은 헛된 것일 수밖에 없는 것이고 오히려 그것이 하나님이 원하지 않는 인간일 수 있다는 생각도 해야 할 것입니다.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자라는 평을 받았던 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합니까? 고난 받기 전 신앙생활에 철저했던 욥은 하나님이 기뻐하시고 원하시는 인간이었을까요 아닐까요.
아마 여러분의 기준과 시각에서는 욥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신앙인으로 생각될 것입니다. 그리고 기독교인들이 되고자 하는 신앙인도 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신앙생활에 완벽하고 자식과 재물의 복을 누리는 것이야 말로 가장 이상적인 신앙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욥의 고난을 우리의 시각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것이 욥의 심정이기도 합니다.
38장에서 하나님이 욥을 찾아와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이 욥을 찾아오셨다는 것은 욥이 하나님의 관리 아래 있었다는 것이고 그것으로 욥은 복의 세계에 있었다는 뜻이 됩니다. 욥의 고난과 무관하게 복의 사람으로 존재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친구들은 자신들의 기준에 의해 욥을 저주 받은 자로 간주합니다. 이것으로 세상은 복을 복으로 알아보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 됩니다.
복을 복으로 알아보지 못하는 것은 욥도 다르지 않습니다. 욥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벗어나고 싶어 합니다. 그래서 꽃처럼 자라다가 시들고 그림자 같이 지나가버릴 인생일 뿐인 자신을 주께서 눈여겨보시느냐고 호소합니다.
그리고“장정이라도 죽으면 소멸되나니 인생이 숨을 거두면 그가 어디 있느냐”(10절), “사람이 누우면 다시 일어나지 못하고 하늘이 없어지기까지 눈을 뜨지 못하며 잠을 깨지 못하느니라”는 말로 하나님 앞에서 쓸모없는 나약한 존재일 뿐임을 강조합니다.
욥의 말에 잘못된 것이 있습니까? 욥의 말대로 인간은 죽으면 소멸되고 누우면 다시 일어나지 못할 존재일 뿐입니다. 이런 점에서 욥 친구들의 하나님에 대한 말도 특별히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욥의 고난을 무작정 저주로 몰아붙이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하겠지만 우리 역시 누군가가 욥과 같은 고난을 겪으면 그의 신앙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가를 의구심을 갖게 된다는 점에서 욥의 친구들이나 우리들, 그리고 욥 또한 특별히 하나님에 대한 지식에서 다른 점을 찾아 보기 힘들다 할 것입니다.
예수님이 세상에 오셨을 때의 모습은 세상이 생각하는 하나님 아들답다고 할 수 있는 조건들이 없었습니다. 예수님은 복으로 오셨습니다. 그런데 세상이 볼 때 예수님은 복이 아니라 저주 받은 자였을 뿐입니다. 그것이 예수님의 십자가입니다. 그리고 제자들을 포함하여 예수님을 따랐던 모든 자들이 십자가에서 멀어졌습니다. 십자가와 연관되기를 싫어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온통 저주의 흔적으로만 가득한 것 같은 십자가가 실상은 생명이고 복이라는 사실을 누가 알겠습니까? 욥의 고난에 대한 친구들의 반응이 그러한 세상을 대변하는 것입니다.
욥은 13절에서 “주는 나를 스올에 감추시며 주의 진노를 돌이키실 때까지 나를 숨기시고 나를 위하여 규례를 정하시고 나를 기억하옵소서”라고 말합니다.
스올은 음부를 가리키는 말로 죽은 자들이 가는 죽은 자의 세계입니다. 따라서 스올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는 가고 싶지 않은 장소입니다. 그런데 욥은 자신을 죽은 자의 세계에 감춰달라고 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모습이 산자들의 세상에서는 희망이 없다고 생각해서 차라리 죽은 자들의 세상인 스올을 원한 것일까요? 아니면 죽은 자들의 세상으로 가면 모든 문제가 해결 될 것이라고 생각했을까요?
인생의 문제로 힘들어 하는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살 바에야 차라리 죽어 버리는 것 낫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죽어 버리면 땅의 위에서 겪는 힘든 문제로부터 해방될 것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하나님이 온 우주 만물을 다스리신다는 것을 알지 못한 무지입니다.
스올이 죽은 자의 세계라면 산 자들이 살아간다고 생각하는 세상 또한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가 몸담고 살아가는 세상도 죽은 자의 세계입니다. 즉 하나님의 저주 아래 있는 것입니다. 저주의 세상을 하나님이 간직하고 계시는 것은 누가 진짜 죽은 자의 세계로 들어갈 자인가를 드러내기 위함입니다.
세상은 하나님의 언약 아래 보존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언약을 무시하고 자기들의 힘으로 산다고 생각하고 힘을 자랑합니다. 신을 섬기고 복을 받는 것도 자기 하기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죽은 자의 속성인 것이고 이들이 영원한 스올에 갇힐 자라는 것이 드러나는 것입니다. 결국 우리가 스올에 갇힐 자인 것입니다. 그런데 죽음의 세계로 예수님이 오셨고 예수님으로 인해서 죽음의 세계가 산 자들의 세계로 새롭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자신을 저주의 존재로 보는 사람들이 깨닫게 되는 복입니다.
욥이 자신을 스올에 감추어 달라고 하면서도 나를 기억해 달라고 합니다. 하나님의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기를 희망하는 것입니다. 앞에서는 하나님이 자신을 내버려두기를 원하고 있으면서도 스올에 감추어지더라도 하나님께 기억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하나님의 기억에서 지워지는 것을 하나님과의 영원한 단절로 알았다는 것이고 결국 나를 기억해 달라는 것은 스올에 감추어지기를 바랄 정도의 절망에서도 하나님에 대한 의지는 포기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욥의 의지가 그만큼 강하다는 것이 아니라 욥에 대한 하나님의 의지가 강하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하나님의 강하신 의지로 욥을 붙들고 계신다는 것이 욥에게 희망이 되는 것처럼 늘 세상에서 저주의 모습만 드러내는 우리의 유일한 희망도 하나님이 강하신 의지로 우리를 붙드시고 이끌어 가신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강하신 의지에 붙들려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하나님의 의지로 하시는 모든 일에 실패는 없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우리에 대한 하나님의 뜻은 실패하지 않고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고 그것으로 신자는 완성의 세계에 속해 있는 것입니다.
16,17절의 “그러하온데 이제 주께서 나의 걸음을 세시오니 나의 죄를 감찰하지 아니하시나이까 주는 내 허물을 주머니에 봉하시고 내 죄악을 싸매시나이다”는 말에 담긴 의미는 하나님의 은총으로 산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욥은 조금씩 하나님의 은총의 세계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욥을 고난과 원망과 절망으로 밀어 넣어서 하나님을 아는 일에 좀 더 깊이가 있도록 인도해 가십니다. 고난이 없이 하나님을 경외하고 악에서 떠난 자라는 칭송을 받는 자리에서는 알 수 없는 하나님을 알게 하시는 것입니다.
욥은 고난을 통해서 자신의 한계를 보게 됩니다. 한계를 봄으로써 하나님이 아니면 안되는 것을 깨닫습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예수님이 못 박혀 죽으시는 고난 또한 우리의 한계와 나약함을 드러내는 것이 됩니다. 십자가를 피해서 도망치는 제지들의 모습이 바로 우늘 우리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십자가에서 흘리신 예수님의 피가 죽은 자들에게는 희망인 것이고 자신의 죽음 상태를 알게 되는 것이 곧 하나님의 은총인 것입니다.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면 악에서 떠난 자라는 칭송을 받는 것은 욥 자신의 힘으로도 가능했던 일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은총을 알아가면서 자신의 죄를 보게 되고 회개하는 욥은 욥 스스로도 가능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그런 인간됨에 욕심내지도 않았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기독교인이 추구하는 자신의 모습은 칭송 받고 인정받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자신의 힘과 노력으로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자신의 죄를 보고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보게 되면서 회개하고 감사하게 되는 것은 하나님으로만 가능할 뿐입니다. 하나님으로만 가능한 사람, 그가 바로 신자입니다.
Chapter 37
Hide Me In The Grave
For there is hope of a tree, if it be cut down, that it will sprout again, and that the tender branch thereof will not cease.
Though the root thereof wax old in the earth, and the stock thereof die in the ground;
Yet through the scent of water it will bud, and bring forth boughs like a plant.
But man dieth, and wasteth away: yea, man giveth up the ghost, and where is he?
As the waters fail from the sea, and the flood decayeth and drieth up:
So man lieth down, and riseth not: till the heavens be no more, they shall not awake, nor be raised out of their sleep.
O that thou wouldest hide me in the grave, that thou wouldest keep me secret, until thy wrath be past, that thou wouldest appoint me a set time, and remember me!
If a man die, shall he live again? all the days of my appointed time will I wait, till my change come.
Thou shalt call, and I will answer thee: thou wilt have a desire to the work of thine hands.
For now thou numberest my steps: dost thou not watch over my sin?
My transgression is sealed up in a bag, and thou sewest up mine iniquity. (Job 14:7-17 KJV)
(Sermon)
Most christians think they need to check out their faith and find out what’s lacking and make up for it. It is because they think God is not satisfied with their life of faith. Although it is good that they want to be what God wants them to be, it is problematic that they don’t know with whom God is pleased.
If they make sure their faith and improve it without knowing what the will of God is, all the efforts made will be in vain and they would rather end up being whom God is displeased with.
What should we think of Job, revering God and eschewing evil? Do you think before the afflictions, Job was whom God was pleased or displeased with?
You might think God was pleased with Job in your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may not be wrong to say that christians want to be like Job because many think it is idealistic that one has a perfect life of faith and receives blessings of children and possessions. That’s why we struggle to understand the Book of Job in our common sense and it is the frustration of Job as well.
In Chapter 38, God appears to Job, speaking to him. That God comes to Job means he is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by which Job is in the world of blessing. He is a man with blessing regardless of his afflictions. Yet, his friends consider him cursed in their point of view, telling us that the world can’t recognize the true blessing.
However, Job is not different from his friends because he doesn’t recognize the true blessing either. He wants to get out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That’s why he is complaining why God is watching over the one who is ephemeral like a flower and shadow.
Furthermore, he is saying he is weak and useless before God in Verse 10, “But man dieth, and wasteth away: yea, man giveth up the ghost, and where is he?”
Is there something wrong in his words? As he says, men are nothing but ones who can’t get up again in death. In this sense, the words of his friends have nothing wrong either.
They might seem wrong to push their friends, Job, too much to a corner, but seeing Job in the affliction, we all must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afflictions come from a sin matter in our knowledge of God.
When Jesus came to the world, He had nothing that made Him look like the Son of God in their knowledge of God. He came as our blessing, but He was nothing but a cursed one to the world’s point of view. That is the cross, and all, including His disciples, abandoned the cross. They didn’t want to be linked with the cross at all. Who would ever have thought that the cross, a sign of curse and death, was the life and blessing? The words of Job’s friends on Job’s afflictions go parallel with the world toward the cross of Christ.
Job says in Verse 13, “O that thou wouldest hide me in the grave, that thou wouldest keep me secret, until thy wrath be past, that thou wouldest appoint me a set time, and remember me!”
‘The grave’ means the world of the dead. Thus, people don’t want to go there. Yet, Job is asking God to hide him there. Is it that he would rather be in the world of the dead because he believes his situations don’t fit in the world of the living? Or does he think his problem would be solved if he were there?
Those who are having a difficult time in life often say, ‘I would rather die’, thinking death can get them out of the trouble they are facing. Yet, this is the ignorance that God controls all the universe, including life and death.
If the grave is the world of the dead, the world of the living is the same. The world, in which we are physically living, is the world of the dead as well. That is the cursed place in God’s point of view. God keeps the place to reveal who would enter the real world of the dead.
The world is maintained by the covenant of God. Nonetheless, people ignore the covenant and try to gain power to be superior to others. They think believing in God and blessing is up to what they do.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dead, exposing the fact that they will belong to the grave, which means we all belong there. Yet, Jesus came to the world of the dead, turning it to the world of the living. This is the blessing for those who see themselves cursed.
Job is asking God to remember him while asking to hide him in the grave. He doesn’t want to be forgotten by God. Even though he asked God to leave him alone, why is he asking God to remember him even if he is hidden in the grave? His words tell us that he knows being forgotten by God is the eternal disconnection from God and he can never abandon the relationship with God in his desperate situation that he wants to hide in the grave.
It doesn’t mean he has a strong willingness toward God but God is willing to be with Job. It speaks to us that God is holding people like us who live in the world showing the cursed as He is holding Job in His omnipotent will.
When we are held in God’s will, it is more than enough because there is no failure. Thus, His will be done and believers already belong to the world of perfection.
In Verses 16 and 17, it says, “For now thou numberest my steps: dost thou not watch over my sin? My transgression is sealed up in a bag, and thou sewest up mine iniquity.”, meaning that he lives in the grace of God. He comes to see the world of the grace little by little.
God leads him to the knowledge of God in depth as pushing him to the afflictions and complaints and despair. This is what he couldn’t have known of God in where he was praised by others as one revering God and eschewing evil.
Job sees his limitation in his afflictions. He realizes he is nothing without God. In this sense, the cross where Christ was crucified shows us our limitation and weakness. His disciples, fleeing from the cross, are who we are. Therefore, the blood of Jesus on the cross is the hope for the dead and knowing one’s deadness is the grace of God.
It was possible for Job to be commended by people as one perfect, upright, revering God and eschewing evil by himself. But, knowing the grace of God and repenting to God is not possible to Job himself. He wouldn’t have wanted to be the one anyway.
What christians want is to be praised and acknowledged by others for their life of faith and that is possible by themselves. However, it is only possible by God for one to see oneself in one’s sinful nature in Christ and repent and give thanksgiving to God. Believers are those possible only by God!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강) 권위 주장 (0) | 2023.05.17 |
---|---|
(38강) 이해의 차이 (0) | 2023.05.17 |
(36강) 홀로 있게 (0) | 2023.05.17 |
(35강) 두 가지 일 (0) | 2023.05.17 |
(34강) 구원이 되리라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