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3.너희는 잠잠하고 나를 버려두어 말하게 하라 무슨 일이 닥치든지 내가 당하리라
14.내가 어찌하여 내 살을 내 이로 물고 내 생명을 내 손에 두겠느냐
15.그가 나를 죽이시리니 내가 희망이 없노라 그러나 그의 앞에서 내 행위를 아뢰리라
16.경건하지 않은 자는 그 앞에 이르지 못하나니 이것이 나의 구원이 되리라
17.너희들은 내 말을 분명히 들으라 내가 너희 귀에 알려 줄 것이 있느니라
18.보라 내가 내 사정을 진술하였거니와 내가 정의롭다 함을 얻을 줄 아노라
19.나와 변론할 자가 누구이랴 그러면 내가 잠잠하고 기운이 끊어지리라
<설교>
하나님의 사랑은 예수님의 십자가 죽으심으로 확증되었습니다. 다시 말해서 세상에 오신 예수님을 사람들이 붙들어 십자가에 못 박아 죽인 그 일로 인해서 하나님의 사랑이 세상에 드러나게 된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세상이 예수님을 죽인 것을 잘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세상은 악을 드러내었을 뿐이고 하나님은 세상이 드러낸 악을 이용하여 하나님의 사랑의 속성을 증거하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만약 세상이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이신 메시아로 알아보고 환영하고 대접을 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즉 십자가 사건 자체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것입니다. 그런 생각도 할 수 있지만, 그것은 인간의 허구적 상상일 뿐 불가능한 일입니다. 왜냐하면,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다’는 성경 말씀대로 세상은 근본적으로 악하고 따라서 필연코 십자가 사건은 발생하게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십자가로 인해서 드러난 것은 세상에 선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하늘의 의로 오신 예수님을 죽였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하늘의 의를 알아보지 못했고 의를 의로 인정하지 않았음을 뜻합니다.
그런데도 세상은 나름대로 선이 존재한다고 믿고 선을 행하며 살자고 합니다. 하지만 세상에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선은 인간의 합의로 만들어 낸 질서고 규칙일 뿐입니다. 사람들이 서로 인정해주는 선일 뿐 하나님으로부터는 인정받을 수 없는 거짓 선인 것입니다. 그리고 세상의 거짓 선으로 자신의 악함을 가리고 의인인 척, 착한 척 내숭을 떨며 살아가는 것이 우리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그러면 기독교인에게 상식처럼 자리하고 있는 ‘하나님은 죄를 지은 자는 벌을 주시고 선을 행한 자는 복을 주신다’는 말을 생각해 보십시오. 이 말이 허구라는 것은 인간은 선을 행할 수 없다는 것으로 증명됩니다.
그러므로 욥의 친구들이 욥의 재앙을 죄로 인한 것으로 판단하면서 회개하면 재앙도 해결될 것이라는 논리를 펴는 것 또한 하나님을 알지 못한 자의 무지이고 허구적 말일 뿐입니다. 그래서 욥은 이들에게 “너희는 거짓말을 지어내는 자요 다 쓸모 없는 의원이니라”(4절)는 말을 한 것입니다.
시 37:27절을 보면 “악에서 떠나 선을 행하라 그리하면 영원히 살리니”라고 말하고, 롬 13:3절에서도 “다스리는 자들은 선한 일에 대하여 두려움이 되지 않고 악한 일에 대하여 되나니 네가 권세를 두려워하지 아니하려느냐 선을 행하라 그리하면 그에게 칭찬을 받으리라”는 말을 합니다.
하나님은 분명히 선을 행하는 자에게 주시는 것이 있습니다. 선을 행하면 복을 받는다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세상이 인정하는 선이 아니라 하나님이 인정하시는 선을 행하는 것입니다. 욥의 친구들이 이것을 알았다면 욥의 재앙을 죄의 시각에서 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비록 자신들이 욥에 비해 평안한 것은 사실이지만 자신들 역시 죄에 머물러 살아가는 악인임을 알았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욥의 이야기를 이렇게 생각해 보십시오. 만약 욥의 재앙이 없었다면 욥 친구들의 무지가 드러났을까요? 그리고 욥 역시 하나님에 대해 무지하다는 것이 드러났을까요? 결국 욥의 재앙은 감추어져 있던 인간의 어리석음과 무지를 끄집어내어 폭로시키는 미끼로 사용된 것입니다.
재앙이 없었다면 욥은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고 악에서 떠난 자라는 인정을 받으며 ‘하나님을 경외하니까 하나님이 복 주셨다’라는 칭송과 함께 편안한 삶을 살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욥 또한 신앙생활과 무관하게 하나님을 알지 못했다는 것이 재앙으로 인해 드러난 것입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일입니다.
13~14절을 보면 “너희는 잠잠하고 나를 버려두어 말하게 하라 무슨 일이 닥치든지 내가 당하리라 내가 어찌하여 내 살을 내 이로 물고 내 생명을 내 손에 두겠느냐”라고 말합니다.
욥은 친구들의 말이 답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설사 친구들이 재앙으로 고통을 겪는 욥을 동정하고 걱정해서 속히 재앙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의 충고고 권면이었다 해도 욥의 생각에는 자기의 문제를 제대로 보지 못한 무지의 말이었을 뿐입니다. 그래서 쓸모없는 의원이라고 하기도 하고 잠잠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욥의 심정은 자신이 무슨 일을 당한다 해도, 설사 죽는다 해도 하나님이 왜 이렇게 하시는지를 알고 싶다는 것입니다. 만약 재앙이 아니었다면 욥이 이런 심정으로까지 하나님의 일하심을 알고 싶어 했겠습니까? ‘나 신앙생활 잘한다’는 것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고, 마치 하나님을 잘 믿고 잘 아는 것처럼 착각하고 살았을 것입니다. 그렇게 보면 재앙은 욥에게 많은 것을 경험하게 하는 기회로 다가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욥은 15절에서 다시 “그가 나를 죽이시리니 내가 희망이 없노라 그러나 그의 앞에서 내 행위를 아뢰리라”고 말합니다.
욥은 재앙을 겪으면서 하나님이 자신을 죽이기로 작정하셨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자신에게는 아무 희망이 없다고 토로합니다. 이런 심정이라면 사실 하나님을 믿어야 할 이유도 사라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살기 위해서, 평안을 위해서, 복을 위해서 하나님을 믿는 것이라면 하나님을 믿고 신뢰할 이유가 모두 사라져 버린 것입니다.
그런데도 욥은 ‘그의 앞에서 내 행위를 아뢰리라’고 말합니다. 내 행위를 아뢴다는 것은 하나님을 떠나지 않겠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복과 평안이 아니라 죽이신다 해도 하나님을 떠나지 않고 신뢰하겠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나님에 대한 욥의 마음은 강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욥을 재앙에 붙들어 놓으시는 하나님의 일을 알 수 없어서 답답한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을 알고 싶어 하는 열망이 욥의 심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재앙이 욥을 이런 열망으로 끌어가는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알고 싶어 하는 것은 단순히 성경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고 싶은 차원인 경우가 많습니다. 욥과 같은 열망이 아닌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생각지도 않은 힘든 일에 부딪히고 그로 인해 나의 믿음 없음이 드러나는 것을 보게 되고, 또 한편으로 하나님이 왜 이렇게 하시는지에 대해 알고 싶은 열망을 경험하게 된다면 재앙은 유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는 재앙이 욥을 어떤 유익으로 끌어가는가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16절을 보면 “경건하지 않은 자는 그 앞에 이르지 못하나니 이것이 나의 구원이 되리라”고 말합니다.
경건하지 않은 자는 하나님 앞에 설 수 없습니다. 그러면 욥은 지금 자신이 하나님 앞에 경건하다고 생각했을까요? 재앙으로 인해서 하나님을 원망하고 반항하는 모습이 모두 드러났습니다. 재앙이 있기 전에는 당연히 ‘하나님 앞에 경건하다’고 생각했겠지만, 재앙을 겪으면서 도무지 경건하다 할 수 없는 자신의 실체를 보게 된 것이 욥입니다. 욥은 그것이 자신에게 구원이 되리라는 것을 알게 된 것입니다.
이것을 생각하면 욥에게 재앙은 재앙이 아니라 도리어 축복이며 은혜입니다. 물론 재앙 자체가 축복이고 은혜라는 뜻이 아니라 재앙을 도구 삼아 욥을 참된 축복과 은혜의 자리로 인도하신 것입니다.
선을 행할 수 없는 인간은 하나님 앞에 경건한 자로 설 수 없고 그것은 곧 영원한 사망을 뜻합니다. 그렇게 인간은 사망에 속한 자일 뿐인데도 불구하고 어설픈 선을 말하면서 하나님의 선에서 떠난 자기의 실체를 망각하고 복과 은혜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나님은 우리를 십자가의 은혜를 훼손하는 길로 끌어가시면서 우리의 경건치 못함을 보게 하십니다. 그리고 하나님 앞에 경건한 자로 설 수 없는 우리를 거룩하게 하신 십자가에서 사랑을 보게 하시는 것이 하나님의 뜻임을 조금이나마 알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입니다.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것은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음을 알고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힘으로 그리스도께 연합된 관계를 말합니다. 그렇게 그리스도께 연합되었기에 세상이 추구하는 복의 길로 가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가신 길로 가기를 소원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예수 안에서 무엇을 보십니까? 예수 안에서 보이는 것이 세상의 복이라면 그것은 거짓입니다. 예수 안에서 보게 되는 것은 이미 주어진 생명의 복이기 때문입니다.
Chapter 34
He Also Shall Be My Salvation
Hold your peace, let me alone, that I may speak, and let come on me what will.
Wherefore do I take my flesh in my teeth, and put my life in mine hand?
Though he slay me, yet will I trust in him: but I will maintain mine own ways before him.
He also shall be my salvation: for an hypocrite shall not come before him.
Hear diligently my speech, and my declaration with your ears.
Behold now, I have ordered my cause; I know that I shall be justified.
Who is he that will plead with me? for now, if I hold my tongue, I shall give up the ghost. (Job 13:13-19 KJV)
(Sermon)
The love of God is manifested by Christ crucified on the cross. In other words, the love of God was revealed to the world as people took and crucified Jesus, who came to the world.
It doesn’t mean that they did a good job to crucify Him because the world merely showed its wickedness and God used it to testify His love.
Then, what if the world had recognized Jesus as the Messiah, the Son of God, and welcomed Him? That is, what if the world hadn’t crucified Jesus? It could be asked, but the question is a fictional imagination and no more than that because the world is fundamentally evil according to a verse of the Bible, “there is none righteous, no not one”, so the crucifixion was inevitable.
Thus, what is revealed through the crucifixion is that there is no good in the world because people killed Jesus, the righteousness of heaven, which means that people didn’t recognize the righteousness of heaven and didn’t acknowledge it as righteousness.
Nevertheless, people believe there is good in the world and try to do good. Yet, what they think is ‘good’ is merely man-made order and norms for their convenience. It is acknowledged only by people, but it is fabricated good to God. And it is how we live, pretending innocent and righteous while embellishing us with the fake good.
Then, think of a statement, ‘God punishes those who have done evil and blesses those who have done good’, which is widely accepted as a common sense in modern Christianity. The statement is proven wrong, vouched by the fact that men can’t do good.
Therefore, the words of Job’s friends, assuming that Job’s affliction was because of his sin and the solution is his repenting, were in vain and the words of the ignorant. That’s why Job said in Verse 4, “But ye are forgers of lies, ye are all physicians of no value.”
In Psalm 37:27, it says, “Depart from evil, and do good; and dwell for evermore”, and in Romans 13:3, it says, “For rulers are not a terror to good works, but to the evil. Wilt thou then not be afraid of the power? do that which is good, and thou shalt have praise of the same.”
God surely gives something to those who do good. It is also true that if one does good, one will be blessed, but the thing is that the good is not what the world says but what God acknowledges. If Job’s friends had known it, they wouldn’t have viewed Job in his sin because they would have known they were living in sin as well even though they weren’t in afflictions.
Then, take a look at the story of Job this way. If there had been no Job’s affliction, would we have seen the ignorance of Job’s friends? In addition, what about Job’s ignorance? In the end, the affliction is used as a tool to expose the foolishness and ignorance of Job and his friends.
Without the afflictions, he would have lived a comfortable life while praised as one perfect and upright and eschewing evil by people, saying, “he is blessed because he fears God.” Yet, the fact that he didn’t know God is revealed by the afflictions. This is the work of God.
In Verses 13 and 14, he says, “Hold your peace, let me alone, that I may speak, and let come on me what will. Wherefore do I take my flesh in my teeth, and put my life in mine hand?”
He knows the words of his friends are not the answers for his inquiry. Even if they sympathized with him and tried to comfort him and advise him to get him out of the situations, Job knows they are ignorant, not seeing what his problem is. That’s why he calls them useless physicians.
In his mind, he eagerly wants to know why God is doing all these to him in no matter what happens to him, including death. Without the afflictions he is experiencing, do you think he would have wanted to know the work of God so badly like that? No. He would just have lived in the illusion that he thinks he knows and believes in God, having no problem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In this aspect, the afflictions brought him opportunities to experience many things for good.
In Verse 15, Job says, “Though he slay me, yet will I trust in him: but I will maintain mine own ways before him.”
He believes God decided to kill him, so he says he has no hope. It could be said that there would be no reason to believe in God in such mind.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in God if believing in God is for earthly life, comforts or blessings.
Nonetheless, Job says, “but I will maintain mine own ways before him.” It could be understood that he will not leave God, implying that he will trust in God even if God would kill him.
This is how passionate he is for God. Despite that, he is frustrated because he can’t understand why God is still holding him in such afflictions.
In our case, when we would like to know God, it might be nothing more than curiosity of some Bible understandings, not as much as Job would like to know God. Yet, when we encounter hardships unexpectedly and see ourselves in disbelief, and if we would eagerly want to know why God does such things, we can say afflictions are beneficial. Likewise, we are now seeing what benefits God is leading Job to.
In Verse 16, it says, “He also shall be my salvation: for an hypocrite shall not come before him.”
The ungodly can’t stand before God. If so, would Job think he is godly before God? He has seen himself, complaining and resenting against God in the afflictions. Before he went into the situations, he would have thought of himself godly, but now he can’t, which he thinks can be his salvation.
In this sense, the afflictions are not afflictions but blessings and grace. Of course, I’m not saying afflictions themselves are blessings and grace, but they are leading him to the seat of blessings and grace.
Men, incapable of doing good, can’t stand righteous before God, which means the eternal destruction. Yet, they pursue so-called good and talk about blessings and grace, disregarding who they are, out of God’s good.
However, God is opening our eyes to see ourselves unrighteous on the path where we are ignoring the grace of the cross. And right there, He lets us look up to the love of God at the cross, making us holy, by which we come to know the will of God even a bit.
Christians are those in Christ. One’s being in Christ means that one knows one can’t do good alone, crucified with Christ and unified to Him. Thus, one pursues the way of Christ, not that of the world.
What do we see in Jesus Christ? If we see blessings the world pursues, it is false. Why? It is because what we see in Christ is the life, the blessing we have already been given!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강) 홀로 있게 (0) | 2023.05.17 |
---|---|
(35강) 두 가지 일 (0) | 2023.05.17 |
(33강) 쓸모없는 의원 (0) | 2023.05.17 |
(32강) 법과 관계 (0) | 2023.05.17 |
(31강) 지혜와 지혜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