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스의 삶

하나님이 모든 사람을 순종하지 아니하는 가운데 가두어 두심은 모든 사람에게 긍휼을 베풀려 하심이로다(로마서 11:32)

나는 날마다 죽노라(로마서 15:31)

◈신윤식 목사(은석교회)/욥기

(41강) 재난을 주는 위로자

Hebrew 2023. 6. 15. 19:12

<본문>

1.욥이 대답하여 이르되 

2.이런 말은 내가 많이 들었나니 너희는 다 재난을 주는 위로자들이로구나 

3.헛된 말이 어찌 끝이 있으랴 네가 무엇에 자극을 받아 이같이 대답하는가 

4.나도 너희처럼 말할 수 있나니 가령 너희 마음이 내 마음 자리에 있다 하자 나도 그럴 듯한 말로 너희를 치며 너희를 향하여 머리를 흔들 수 있느니라 

5.그래도 입으로 너희를 강하게 하며 입술의 위로로 너희의 근심을 풀었으리라

 

 

<설교>

욥과 친구들의 대화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은 그들의 말에서 특별히 잘못되었다고 할 수 있는 내용을 찾아보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지금의 교회에서도 흔하게 들 수 있는 수준의 대화라는 점이 욥기에 대한 이해를 더욱 어렵게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욥의 친구들은 하나같이 욥에게‘회개’를 촉구합니다. 회개하기만 하면 하나님이 은혜와 사랑을 부어주셔서 모든 고통에서 해방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기존의 교회가 가르치는 내용과 다르지 않습니다. 때문에 기존 교회의 이해로 욥기를 보게 되면 친구들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는 욥이 오히려 완고한 자로 비칠 수밖에 없습니다. 

 

 

욥과 친구들의 다른 점은 욥은 모든 것을 잃어버린 고통 가운데서 하나님을 경험하고 있고, 친구들은 고통이 없는 배부른 자로 하나님에 대해 말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들이 회개를 말하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참된 회개의 경험이 없는 자들이 마치 자기 주머니에 있는 것을 꺼내주듯 회개를 말한 것입니다. 

 

 

이런 친구들에 대해 욥은 “이런 말은 내가 많이 들었나니 너희는 다 재난을 주는 위로자들이로구나 헛된 말이 어찌 끝이 있으랴 네가 무엇에 자극을 받아 이같이 대답하는가”(2,3절)라고 말합니다.

 

 

친구들을 재난을 주는 위로자로 지칭하는 것은 친구들의 말이 욥에게 오히려 고통이 되었음을 시사합니다. 친구들은 욥을 위로하기 위해 말한 것이지만 욥의 고난을 이해하지 못한 그들로부터 주어질 위로는 처음부터 기대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욥은 재앙을 통해서 고난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을 경험합니다. 우리를 지켜주시고 편안하게 살도록 도와주는 하나님이 아니라 반대로 고통으로 끌어가시는 하나님을 경험한 것입니다. 따라서 욥에 대한 위로는 욥과 같은 고통을 경험하고 고통을 이해하는 자만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기에 누구도 욥에게 위로자로 다가갈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서 인간이나 세상 것으로는 위로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렇게 보면 오늘날 교회가 교인들을 위로하겠다는 명목으로 복과 평안, 형통을 말하는 것은 욥의 친구들처럼 고난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을 전혀 알지 못하고 경험도 하지 못한 가운데서 듣기 좋은 말을 남발하는 것일 뿐입니다. 즉 헛된 말이라는 것입니다.

 

 

욥의 재앙으로 확인되는 것은 인간의 신앙생활이 하나님 앞에서 어떤 효력을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 문제로 욥은 당황했던 것입니다. 욥이 알고 있던 하나님은 인간의 신앙생활을 보시고 그에 따라 복을 주시는 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생각을 흔들고 무너뜨려 버린 것이 재앙입니다. 죄와 상관없이 주어진 재앙에서 신앙이 세상에서의 평안을 지켜주고 보장해 주는 효력이 되지 못함을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말씀드린 것처럼 고난을 경험하지 못한 욥의 친구들은 여전히 인간의 신앙 행동이 현재의 고통과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효력이 된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래서 회개를 촉구했지만 그들의 말은 위로가 되지 못하고 오히려 욥을 고통스럽게 했을 뿐입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교회가 신앙을 평안과 형통의 효력이 있는 것으로 강조하고, 바른 신앙생활의 실천을 가르치는 것은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의 고난을 이해하지 못하고 알지 못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은 예수님의 고난을 말하면서도 고난에는 참여하지 않고 구경꾼으로만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자기 평안을 위해 십자가에 죽으신 예수님을 이용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입니다.

 

 

욥 11:14-17절에 보면 “네 손에 죄악이 있거든 멀리 버리라 불의가 네 장막에 있지 못하게 하라 그리하면 네가 반드시 흠 없는 얼굴을 들게 되고 굳게 서서 두려움이 없으리니 곧 네 환난을 잊을 것이라 네가 기억할지라도 물이 흘러감 같을 것이며 네 생명의 날이 대낮보다 밝으리니 어둠이 있다 할지라도 아침과 같이 될 것이요”라고 말합니다.

 

 

소발의 이 말은 고통에 있는 자에게는 위로와 희망의 말로 들릴 수 있습니다. 죄악만 멀리 버리면 환난이 사라지고 어둠이 있다 해도 아침 같이 된다는 희망을 주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교회를 찾는 거의 모든 사람이 이런 위로의 말을 듣고 싶어 합니다. 소위 예수를 믿으면 잘된다는 말을 믿고 싶어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악에서 떠난 자의 삶을 살았던 욥에게는 아무런 의미도 없는 헛된 말이었을 뿐입니다. 재앙을 통해서 욥이 경험하는 하나님은 죄만 멀리하면 환난이 없는 형통과 복을 누리게 해주는 분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는 죄입니다. 사람들은 고생하는 인생의 위로와 보상을 돈과 성공으로 생각하지만, 돈과 성공이 주어졌다 해도 죄의 문제는 절대 해결될 수 없습니다. 죄는 다만 그리스도 안에서만 해결될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예수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해 가시고 예수 안에 있게 하셔서 그 피의 효력으로 말미암아 죄 없는 자로 여기시는 것입니다. 

 

 

따라서 예수 안에 있는 신자는 죄와 무관합니다. 항상 죄를 지으며 살아가지만, 죄가 신자를 사망으로 끌어가지 못합니다. 그러한 신자가 죄를 지으면 벌을 받고 회개하면 복 받는다는 말이 타당할까요? 그것이 바로 십자가에서의 예수님의 고난을 알지 못한 무지한 자의 자기중심적 논리일 뿐입니다.

 

 

고난이 없이 배부른 자였을 뿐인 친구들의 말이 그처럼 자기중심적인 논리였을 뿐이기에 욥은 “나도 너희처럼 말할 수 있나니 가령 너희 마음이 내 마음 자리에 있다 하자 나도 그럴 듯한 말로 너희를 치며 너희를 향하여 머리를 흔들 수 있느니라”(4절)는 말로 반박하는 것입니다.

 

 

‘너희 마음이 내 마음자리에 있다 하자’는 말은 ‘친구들의 마음과 욥의 마음이 같다’면 라는 뜻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욥도 친구들과 같은 마음으로 말한다면 그럴듯한 말로 친구들을 치고 조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 욥의 마음에는 단지 친구들을 치고자 하는 것보다는 자신의 인생에 고난을 집어넣으신 하나님을 알고자 하는 것으로만 가득할 뿐입니다.

 

 

그러면 고난을 경험하는 욥에게 위로가 되는 것은 무엇일까요? 고난이 애매한 것이 아니라 고난으로 인해 욥이 산다는 것을 알았을 때일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은 신앙생활 잘하는 자에게 복을 주시는 분이 아니라 자기 백성을 의의 길로 인도하시기 위해 고난을 집어넣으신다는 것을 아는 것이 위로가 되는 것입니다.

 

 

지금 여러분께 위로가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아니, 무엇으로 위로받고 싶습니까? 우리가 세상 것으로 위로받고 싶은 마음을 부인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하나님이 우리가 원하는 것으로 위로받게 하지 않을 뿐입니다. 하나님의 위로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넘치기 때문입니다. 

 

 

고후 1:5절에 보면 “그리스도의 고난이 우리에게 넘친 것 같이 우리가 받는 위로도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넘치는도다”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그리스도의 고난을 외면하거나 고난이 없는 인생을 추구한다면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넘치는 위로와도 상관이 없게 됩니다. 그리고 여전히 고난이 없는 항상 추구하던 대로의 평안과 형통의 위로를 받기 위해 죄를 멀리하는 율법 방식의 신앙생활로 하나님을 기쁘게 하고자 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세상에서의 자기 존재에 신경 쓰면 살아감으로써 그리스도로 넘치는 위로를 상실하게 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그리스도가 위로가 되지 못한다면 그 이유는 세상에서 지금보다 더 나은 존재가 되고 싶고 그것을 위로받고 싶어 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나님은 이런 우리를 그리스도 안으로 부르셔서 우리가 그토록 추구했던 세상으로부터 받고자 했던 위로가 헛된 가짜라는 것을 알게 하십니다. 그리고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넘치는 위로를 알게 하시는 것입니다. 

 

 

욥의 친구들은 세상의 위로를 주려고 했지만 고난 속에 있는 욥에게는 재난을 주는 위로자들이었을 뿐입니다. 장차 욥에게 주어질 위로는 하나님입니다. 하나님을 만나고 하나님을 알게 되면서 회개하게 되었을 때 그것이 욥에게는 위로로 자리하는 것입니다. 고난의 내막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늘 자기 인생에 만족하지 못한 자로 살아갑니다. 그것이 죄가 됨을 알게 하시고 모든 죄를 대신 지고 죽으신 예수님을 보게 하십니다. 그리고 그리스로 넘치는 위로가 있게 하시는 것이 하나님이 주시는 평화입니다.

 

Chapter 41

  

Miserable Comforters

  

Then Job answered and said,

I have heard many such things: miserable comforters are ye all.

Shall vain words have an end? or what emboldeneth thee that thou answerest?

I also could speak as ye do: if your soul were in my soul's stead, I could heap up words against you, and shake mine head at you.

But I would strengthen you with my mouth, and the moving of my lips should asswage your grief. (Job 16:1-5 KJV)

  

(Sermon)

  

What we find from the conversation between Job and his friends is that there is nothing wrong in their words, which makes us have a difficulty to understand the Book of Job because they sound like what we can usually hear in modern Christianity. 

  

All of his friends urge Job to repent, saying if he repents, God will free him from all the pains in God’s grace and love, which is a point that is similar to what we hear in churches now. In this aspect, Job would rather look like a person with stubbornness, not hearing his friends. 

  

The difference between Job and his friends is that Job is experiencing God while having lost all and his friends are talking about God while having all. Thus, although they are saying ‘repentance’, they are saying it to Job as if they, having no experience of repentance, gave him one dollar out of their wallets of full of money. 

  

To such, Job is saying, “I have heard many such things: miserable comforters are ye all. Shall vain words have an end? or what emboldeneth thee that thou answerest?” in Verses 2 and 3.

  

He calls them miserable comforters because their words were painful to him. Even though they tried to comfort him, there was nothing for them to comfort him from the beginning since they didn’t understand Job’s afflictions. 

  

Job is experiencing God, who is guiding him through the afflictions. The God is not the One protecting him or comforting him but rather leading him to pain. Thus, we can conclude that no one can be a comforter for Job unless one has the experience that Job has. In other words, no one can comfort him with anything from the world or men.

  

In this sense, preachers are saying blessing, peace and success in the name of comforts at the podium but what they are saying isn’t anything but sounds good to hear and nothing more or nothing less since they have no experience of Job and are ignorant of God, leading Job with pain. That is to say, words in vain. 

  

We can learn from Job’s experience that our life of faith can’t be verified by what we do before God, which makes him confounded. Job thought God would bless men according to what they do. Yet, God destroys all his ideas of ‘God’ by the afflictions. He is finding that whatever he does for his life of faith does nothing to keep him in peace through all the afflictions, given regardless of his life. 

  

Yet, as spoken earlier, his friends, having no experience of Job’s, thought that what they do for the life of faith could solve the problem of current conditions, so they urged him to repent, which turned out to be nothing but the pain to Job’s heart.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true to say that preachers’ preaching the Bible that the life of faith can bring us peaceful life and success by emphasizing on moral life is the result of the ignorance of the agony of Jesus Christ on the cross. In other words, even though we talk about the sufferings of Jesus, we are not participants but onlookers, remaining that we use his agony for our comfortable life. 

  

In Job 11:14-17, it says, “If iniquity be in thine hand, put it far away, and let not wickedness dwell in thy tabernacles. For then shalt thou lift up thy face without spot; yea, thou shalt be stedfast, and shalt not fear: Because thou shalt forget thy misery, and remember it as waters that pass away: And thine age shall be clearer than the noonday: thou shalt shine forth, thou shalt be as the morning.”

  

The words of Zophar above might sound like words of comfort and hope for those who are in sufferings because he says if one puts one’s iniquity, there will be no fear and one’s day will be as bright as the morning. Most would want to hear such from the podium, ‘if you believe in God, all will go well for you.’ 

  

Yet, such is meaningless to Job, having lived eschewing evil because the very God, he is experiencing, is far from what Zophar said.

  

The fundamental matter of men is sin. People think their comfort and reward in hardships is money and success, but even if they were given money and success, sin wouldn’t be solved for it can only be solved in Christ. That’s why God is leading His people to Christ and consider them sinless by the effectiveness of the blood of Him.

 

Therefore, believers in Christ have nothing to do with sin. Sin can’t claim death to them although they have sinful nature. If so, would it make sense that if one sins, one will be punished and if one repents, one will be blessed as a believer? This kind of idea is nothing but a self-centered though of one’s ignorance who lives for oneself.

  

That’s why Job oppose to his friends, who are merely self-centered, living for themselves by saying in Verse 4, “I also could speak as ye do: if your soul were in my soul's stead, I could heap up words against you, and shake mine head at you.”

  

‘if your soul were in my soul's stead’ means ‘if I were in your shoes.’ Job says that he would be mocking them with some sugar-coated words if he were in their shoes. However, he is now in full of mind that he would like to know the God, who put him in the hardships instead of attacking them in words.

 

Now, what would be that Job can be comforted? It would be the time when he finds out the fact that ‘the afflictions’ he had was not from the middle of nowhere but to make him live. In other words, the knowledge would be the comfort for Job that God is not the One who blesses those who do good on the life of faith but puts His people into sufferings for the path of righteousness.

  

What is it that you are comforted? Let me paraphrase it. What can comfort you? No one can deny that we want to be comforted by worldly things. Yet, the thing is that God doesn’t let us comforted that way. It is because the comfort of God is overflowing from Christ.

 

In 1st Corinthians 1:5, it says, “For as the sufferings of Christ abound in us, so our consolation also aboundeth by Christ.”

 

Thus, one’s ignorance of His sufferings or pursuit of life without sufferings would have nothing to do with the consolation by Christ. Furthermore, one will insist on a life living for worldly comforts and success by legalistic ideas, eschewing evil, assuming one is pleasing God. 

 

However, we mustn’t forget that the full of consolation of Christ is absent in such life. If we aren’t comforted by Christ, it is because we would like to be better beings in the world and be comforted for that purpose. God calls such people like us into Christ, letting us know the comfort we were pursuing hard was mirage and the consolation by Christ is real.

 

Although Job’s friends tried to give Job the worldly comforts, they were merely miserable comforters to him. God is the true Comforter, who will be given to Job later in the Book. As he meets God and finds who He is, he comes to repent, which comforts him truly because he understands the meaning of all the afflictions he received.

  

We are living, not satisfied with what we are given. God opens our eyes to see such life is sin and lift us to look up to Jesus Christ, who died on the cross. Furthermore, it is the peace of God that we are comforted by Christ fully!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3강) 나의 증인  (0) 2023.06.15
(42강) 다른 하나님  (0) 2023.06.15
(40강) 악인의 운명  (0) 2023.05.17
(39강) 권위 주장  (0) 2023.05.17
(38강) 이해의 차이  (0) 202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