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스의 삶

하나님이 모든 사람을 순종하지 아니하는 가운데 가두어 두심은 모든 사람에게 긍휼을 베풀려 하심이로다(로마서 11:32)

나는 날마다 죽노라(로마서 15:31)

◈신윤식 목사(은석교회)/욥기

(43강) 나의 증인

Hebrew 2023. 6. 15. 19:15

<본문>

18.땅아 내 피를 가리지 말라 나의 부르짖음이 쉴 자리를 잡지 못하게 하라 

19.지금 나의 증인이 하늘에 계시고 나의 중보자가 높은 데 계시니라 

20.나의 친구는 나를 조롱하고 내 눈은 하나님을 향하여 눈물을 흘리니 

21.사람과 하나님 사이에와 인자와 그 이웃 사이에 중재하시기를 원하노니 

22.수년이 지나면 나는 돌아오지 못할 길로 갈 것임이니라 

 

 

<설교>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세상은 하나님의 원칙과 원리에 의해 관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경에 등장하는 개인의 삶도 과거에 존재했던 개인의 인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어제나 오늘이나 동일하신 하나님이 우리에게 어떤 원리와 원칙을 가지고 관여하시는가를 보여주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이 말은 우리가 우리의 인생을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 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아담과 하와가 존재했던 땅이고, 그 땅에서는 에덴동산에서 선악과를 먹음으로 죽음의 존재가 된 사건이 있었고 가인에 의해서 아벨이 피 흘려 죽은 사건이 있었고 무엇보다 하나님의 아들로 오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아 죽인 사건이 있었던 땅에 우리가 존재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게 성경에 등장하는 모든 사건들이 있었던 땅에 우리를 존재하게 하신 분이 하나님이십니다. 

 

 

우리가 배우고 있는 욥의 이야기도 결국은 하나님이 욥이라는 한 개인에게 관여하심으로 발생한 세상에 있었던 사건 중에서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욥기를 보면서 직시해야 할 한 가지 사실은 욥에게 관여하신 하나님이 우리에게도 관여하시고 일하신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욥을 사용하셔서 하나님의 일을 이루시는 것이라면 우리도 하나님의 일을 위해 사용하시겠다는 원칙과 취지를 가지고 우리에게 관여하신다는 뜻이 됩니다. 이러한 원칙과 원리 앞에서 내 뜻과 내가 원하는 인생은 통용될 수 없는 삭제대상일 뿐이라는 것이 명백한 사실로 다가와져야 합니다. 하나님의 일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우리의 존재 의미라면 결국 주어지는 사건들 속에서 억울하다고 항변 할 수 없는 것 또한 우리의 입장일 수밖에 없습니다.

 

 

18절을 보면 “땅아 내 피를 가리지 말라 나의 부르짖음이 쉴 자리를 잡지 못하게 하라”고 말합니다. 

 

 

땅을 향하여 내 피를 가리지 말라고 하는 것은 땅에 흘린 자신의 피가 있다는 뜻입니다. 억울하게 해를 당한 것을 피 흘린 것으로 말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욥은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욥은 억울함에 대한 자기의 부르짖음이 쉴 자리를 잡지 못하게 하라는 것으로 자신의 고난과 모욕이 덮여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러한 말에서 드러나는 욥의 마음은 어떤 것일까요?

 

 

외적 표현으로만 생각하면 단순히 하나님께 자기의 억울함을 호소하는 것으로 보일 것입니다. 하지만 19절의 “지금 나의 증인이 하늘에 계시고 나의 중보자가 높은 데 계시니라”는 내용을 보면 단지 자기 억울함을 호소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나의 증인이 하늘에 계신다는 것은 하나님이 증인이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7절에서는 하나님이 자신을 피로하게 하시고 온 집안을 패망하게 하셨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자신을 시들게 하고 진노하심으로 찢고 적대시하고 이를 갈고 원수가 되어 날카로운 눈초리로 자신을 보신다고 말함으로써 마치 하나님에 대해 분노하고 반발하는 것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을 나의 증인으로 말하고 중보자라고 하면서 마치 하나님에 대한 마음이 바뀐 것처럼 말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먼저 하나님을 ‘나의 증인’으로 말하는 의미를 생각해 보필요가 있습니다. 욥은 자신의 재앙이 하나님이 관여하신 사건으로 바라봅니다. 그리고 그것은 욥 친구들의 생각처럼 죄에 대한 심판이 아니라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하나님은 욥을 조롱하는 이들에게 증인이 되시는 것입니다. 

 

 

가령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무너뜨리시고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가는 고통을 겪게 하십니다. 이스라엘의 상황은 누가 봐도 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습니다. 심판이 아니라면 그처럼 큰 고통을 겪게 하실 이유가 없다고 생각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포로 되게 하기 전에 이미 돌아오게 할 뜻을 갖고 계셨습니다. 포로 생활을 통하여 신앙이 나아지면 돌아오게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상태와 무관하게 돌아오게 하시겠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포로 되게 하신 것을 죄에 대한 심판으로 얘기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은 바벨론의 위협에 대해 다른 강대국이 애굽과의 조약을 통해 스스로를 지키고자 했습니다. 세상과 동일하게 보이는 것을 힘으로 의지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것을 잃게 하시고 포로 되게 하신 것으로 보이는 것을 힘으로 믿고 의지하는 것이 허망하다는 것을 배우게 하시는 것입니다. 

 

 

욥의 경우도 이런 시각에서 볼 필요가 있습니다. 하나님이 자신을 망하게 하고 원수같이 대하시고 찢고 시들게 하신다는 모든 말들도 하나님에 대한 불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일을 위해 자신에게 관여하시고 마음대로 사용하신다는 의미의 말로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욥이 겪는 모든 일이 심판이 아니라 욥을 사용하셔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시는 하나님의 일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하나님을 ‘나의 증인’으로 부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땅아 내 피를 가리지 말라 나의 부르짖음이 쉴 자리를 잡지 못하게 하라”(18절)는 말도 억울함을 하나님께 호소한다기보다는 자기의 재앙을 하나님의 심판으로 규정하는 친구와의 관계에서 말하는 억울함으로 이해할 서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20절에서 “나의 친구는 나를 조롱하고 내 눈은 하나님을 향하여 눈물을 흘리니”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일하심을 알지 못한 친구들의 조롱 속에서 결국 욥이 눈을 둘 것은 하나님뿐임을 호소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하나님이 욥의 증인으로 나타나신다면 욥의 억울함을 무엇으로 보이시겠습니까? 욥에게 갑절의 재물을 주시는 것이 억울함의 증거일까요? 하나님이 욥을 찾아오셔서 말씀하시는 것, 그리고 욥이 회개하게 되는 것, 이것이 욥의 재앙이 죄에 대한 심판이 아니라는 증거이고 따라서 욥에 대한 친구의 조롱이 잘못되었음을 드러내는 것이 됩니다.

 

 

이스라엘이 바벨론으로 끌려갔을 때 하나님은 그곳에 에스겔 선지자가 있게 하셨습니다. 이스라엘을 여전히 하나님의 말씀 아래 붙들고 계심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것으로도 이스라엘의 패망은 단순한 심판이 아니라 새로운 이스라엘을 세우시기 위한 하나님의 뜻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사랑할 자를 사랑하시고 미워할 자를 미워하십니다. 이것이 선택이라는 원칙으로 일하시는 하나님입니다. 욥이 재앙을 겪는다 해도 그는 하나님의 사랑 아래 있습니다. 그 말은 그 어떤 재앙을 겪는다 해도 그것이 실패의 인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다만 하나님이 어떤 뜻을 가지시고 인생에 개입하시고 관여하시는 것일 뿐입니다. 이 믿음 위에서 신자는 어떤 상황에서도 당당해질 수 있는 것입니다. 

 

 

마 6:30절에 보면 “오늘 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던져지는 들풀도 하나님이 이렇게 입히시거든 하물며 너희일까보냐 믿음이 작은 자들아”라고 말씀합니다. 

 

 

하나님이 입히시고 돌보시는 대상이라면 아궁이에 던지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일반적 생각이고 하나님을 향한 기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하나님이 나를 사랑하신다면 형통한 삶이 되게 하실 것이라는 나만의 어리석은 환상에 젖어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내일 아궁이에 던질 들풀이라도 오늘은 입히십니다. 이 말을 바꾸어 말하면 비록 내일에 아궁이로 던져져도 그는 하나님이 입히시고 돌보신 관계에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사랑하는 자를 아궁이에 던지지 않으신다는 것만 생각하기 때문에 오늘의 고통과 어려움에서 신자로서의 당당함을 잃어버리고 고개를 숙이게 되는 것입니다.

 

 

욥이 완벽하다고 할 수 있는 신앙생활을 실천하고 있을 때는 자신이 자신을 책임지는 방식이었을 것입니다.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하나님이 책임지고 계시는 삶의 방식을 몰랐던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고난의 길로 가게 되면서 비로소 자신이 책임질 수 없음을 배우게 된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앙 속에서도 욥은 하나님이 붙드시는 관계에 있었던 것이고, 친구들은 욥을 조롱하는 것으로 하나님을 알지 못했음을 스스로 드러내는 것이 됩니다.

 

 

신자는 자신의 삶에 하나님이 관여하고 계심을 믿으며 하늘의 하나님을 바라보는 사람입니다. 어떤 상황에서라도 하나님의 사랑 안에 있음을 믿기에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가 되는 것으로 믿음을 증명하려고도 하지 않습니다. 실패로 보이는 길을 간다 해도 하나님이 동행하심을 믿기 때문입니다. 

 

Chapter 43

  

My Witness

  

O earth, cover not thou my blood, and let my cry have no place.

Also now, behold, my witness is in heaven, and my record is on high.

My friends scorn me: but mine eye poureth out tears unto God.

O that one might plead for a man with God, as a man pleadeth for his neighbour!

When a few years are come, then I shall go the way whence I shall not return. (Job 16:18-22 KJV)

  

(Sermon)

  

The world, created by God, is governed according to His principles and fundamentals. Thus, we shouldn’t forget all the lives of the people in the Bible didn’t end in the past but still show us how God is reigning us with His unchanging fundamentals and principles. It means that we are not living our lives. 

  

The world in which we are living is the same place where Adam and Eve lived, falling in sin by eating of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This is where Abel was slain by Cain, and most of all it is where Jesus, the Son of God, was crucified. It is God, who let us live in the place where all the events in the Bible were taken. 

  

The story of Job, we are learning now, is also one of the events in the Bible that took place God intervening an individual. Therefore, what we ought to notice while meditating the Book of Job is that God, who led job, is leading us as well. 

  

Since God fulfilled His will through Job, He is intervening us to do His work with His principles and intents. We should remember our wills and wishes are only to be deleted before the truth stated above. As our life is used for the work of God, we shouldn’t forget that there is nothing unfair in things given to us. 

  

In Verse 18, it says, “O earth, cover not thou my blood, and let my cry have no place.”

  

Job is saying, ‘O earth, cover not thou my blood’, meaning there is his blood on earth. Thinking that ‘his blood’ means things unfairly done to him, we can see that he is pouring out his heart of mortification. Also, by ‘and let my cry have no place’, he is saying he doesn’t want his afflictions and humiliation to be covered. What is the mind of Job that the verse reveals? 

  

Ostensibly, he is imploring to God of his feeling of affront. Yet, taking a look at Verse 19, “Also now, behold, my witness is in heaven, and my record is on high”, we find it’s more than that. 

  

‘My witness is in heaven’ means God is his witness. Yet, he said in Verse 7 that God made him weary and all his company desolate. He continued to say that God filled him with wrinkles, tore him in wrath, antagonized him, sharpened His eyes upon him as if he sounded like furious and rebellious against God. Then, why is he saying that God is his witness and advocate?

  

First, we need to think of why he says God is his witness. Job sees his afflictions as an event occuring by God’s intervention, and knows it’s not God’s judgement for his sin unlike what his friends say. In this sense, God is his witness to those who mock him. 

  

For instance, God destroys the people of Israel and lets them captured by Babylon. In their point of view, there is nothing else they could think of the situations other than God’s judgement because of their sin. There is no other reason they think of God doing that to them. 

  

Yet, God already had His plan to make them return from their captivity before sending away to Babylon. It was not that God would let them return if they improve their life of faith in Babylon, but He would do it regardless of their condition. Thus, we can’t say their captivity is the judgement of God for their sin. 

  

Israel tried to protect themselves by allying with Egypt against Babylon, depending on what is visible like the world does it, but God teaches them their depending on Egypt, visible, is in vain by taking all they had and letting them captured.

  

We need to ponder the story of Job in the same angle. All that Job said sounding like rebelling and complaining again God should be understood that he is being used for the purpose of the work of God, not merely expressing his dissatisfaction. Then, all that he is experiencing is not the judgement of God for his sin but fulfilling His will through Job. That’s why he says God is his witness. 

 

In this sense, ‘O earth, cover not thou my blood, and let my cry have no place’ can be understood not that he is complaining against God but that he is saying that it is not fair for his friends to conclude his afflictions are of his sin. 

 

Verse 20 vouches for that, saying, “My friends scorn me: but mine eye poureth out tears unto God.” In the ridicule of his friends, who don’t know the work of God, Job cries out that God is the only One, whom he can look up to.

 

Then, how would God prove Job is unfairly treated by his friends as his witness? Is it that God doubled his possessions? It is that God visited and spoke to him and he came to repent, revealing that his experience of the afflictions is not God’s judgement and his friends’ mocking him is wrong.

 

When the Israelites were captured to Babylon, God let Prophet Ezekiel there, telling us that God is still holding them under the Word of God. Looking at Ezekiel, we can learn God has His plan to make them new in His will, not judging them to an end.

 

God loves whom He loves and hates whom He hates. It is God, working according to His principle, called predestination. Even though Job is going through the afflictions, he is under the love of God, which means that no matter what he experiences, it is not the failure of his life but God is working through him to fulfill His will by His intervening his life. On such faith, all believers can be confident in any circumstances.

  

In Matthew 6:30, it says, “Wherefore, if God so clothe the grass of the field, which to day is, and to morrow is cast into the oven, shall he not much more clothe you, O ye of little faith?”

 

We think if God cares one, one shouldn’t be cast into fire, implying that if God loves us, He should make us rich and successful, which is our merely wild imagination. 

 

Yet, God clothes the grass of the field, cast into fire next day. In other words, even if one is cast into fire next day, one is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However, since we are caught by our own thought that God ought not to forsake the loved ones into oven, we become weary, losing the confidence as believers in the pain and difficulties.

 

When Job was told perfect, eschewing evil, it was probably that he was trying to be responsible for himself, not knowing such life that God is the One responsible for him. Yet, after he had lost all that he had, he came to learn that he can’t be responsible for himself. Thus, we can say that he is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all the afflictions and his friends are revealing themselves ignorant of God.

 

Believers are those who believe God intervenes them while looking up to God in heaven. They never try to prove their faith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earthly life since they know they are always in God’s love no matter what situations they are in. It is because they know God is with them when they walk through a path that seems a failure!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강) 악인의 운명  (0) 2023.06.15
(44강) 담보물  (0) 2023.06.15
(42강) 다른 하나님  (0) 2023.06.15
(41강) 재난을 주는 위로자  (0) 2023.06.15
(40강) 악인의 운명  (0) 202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