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욥이 대답하여 이르되
2.너희가 내 마음을 괴롭히며 말로 나를 짓부수기를 어느 때까지 하겠느냐
3.너희가 열 번이나 나를 학대하고도 부끄러워 아니하는구나
4.비록 내게 허물이 있다 할지라도 그 허물이 내게만 있느냐
5.너희가 참으로 나를 향하여 자만하며 내게 수치스러운 행위가 있다고 증언하려면 하려니와
6.하나님이 나를 억울하게 하시고 자기 그물로 나를 에워싸신 줄을 알아야 할지니라
7.내가 폭행을 당한다고 부르짖으나 응답이 없고 도움을 간구하였으나 정의가 없구나
8.그가 내 길을 막아 지나가지 못하게 하시고 내 앞길에 어둠을 두셨으며
9.나의 영광을 거두어가시며 나의 관모를 머리에서 벗기시고
10.사면으로 나를 헐으시니 나는 죽었구나 내 희망을 나무 뽑듯 뽑으시고
11.나를 향하여 진노하시고 원수 같이 보시는구나
12.그 군대가 일제히 나아와서 길을 돋우고 나를 치며 내 장막을 둘러 진을 쳤구나
<설교>
욥의 친구들은 착한 일을 하거나 죄를 지으면 그 결과가 자신에게로 돌아온다고 생각합니다. 하나님을 항상 사람의 행동을 감시하면서 선과 악의 실천 여부에 따라 상과 벌을 주시는 분으로 아는 것입니다. 이들의 생각은 분명 잘못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세상의 역사가 인과응보라는 법칙에 의해 유지되고 있지 않음을 생각해 봐도 욥 친구들의 생각은 지극히 인간의 종교성에 의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친구들의 주장에 대해 욥은 자신의 무고를 주장하면서 고난은 죄와 상관없이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졌음을 말합니다. 물론 욥의 친구들이 욥의 말을 받아들일 리가 없습니다. 무고한 자에게 재앙을 내리시는 하나님을 그들로서는 이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세 친구가 번갈아가며 나름대로의 논리를 전개하면서 욥이 알고 있는 하나님에 대해 비난을 하는 것입니다.
사실 욥이 말하는 하나님은 일반적이지도 보편적이지도 않습니다. 욥의 친구들만이 아니라 누구라도 받아들일 수 없는 하나님을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 점에서 본문의 내용도 전혀 일반적이지 않는 하나님에 대한 주장인 것입니다.
이제 우리의 고민은 욥이 주장하는 하나님이 우리가 믿고 알고 있는 하나님과 동일한가를 따져보는 것입니다. 만약 동일하지 않다면 우리 역시 세 친구들의 잘못된 생각에 머물러 있을 뿐이라는 결론을 내려야 할 것입니다.
6,7절을 보면 “하나님이 나를 억울하게 하시고 자기 그물로 나를 에워싸신 줄을 알아야 할지니라 내가 폭행을 당한다고 부르짖으나 응답이 없고 도움을 간구하였으나 정의가 없구나”라고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하나님은 자기 백성의 억울함을 풀어주시고 폭행을 당하고 부르짖을 때 응답하셔서 도와주시고 지키시며 폭행한 자에게 보복해 주는 분입니다. 그 일을 위해서 신이 존재한다고 믿는 것이고, 수시로 신의 도움을 받기 위해서 정성을 바치고 신의 눈 밖에 나지 않도록 잘 섬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욥의 하나님은 죄와 무관하게 자기백성을 억울하게 하시고 폭행을 당한다고 부르짖어도 응답하지 않으시고 도와주지도 않습니다. 이런 욥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기에 자신들의 지식을 총동원하여 반발하며 비난하는 것입니다.
11절을 보면 “나를 향하여 진노하시고 원수 같이 보시는구나”라고 말합니다. 하나님이 자신을 원수처럼 다루시며 원수에게 하시듯 진노하신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욥의 말을 들으면서 하나님이 왜 욥에게 그렇게 행하시는지 의문이 생길 것입니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욥의 재앙이 단지 하나님과 욥의 관계에서만 발생한 일이 아니란 점을 생각해야 합니다.
1장으로 돌아가 생각하면 욥의 재앙은 사탄이 여호와께 욥의 신앙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시작합니다. 욥이 까닭 없이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문에 대한 답으로 사탄이 욥을 치도록 허락하신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단지 욥의 신앙을 확인하는 의미로만 주어진 재앙은 아닙니다. 욥의 재앙을 통해서 사탄과 동일한 생각을 가진 자가 등장하게 되고 욥의 재앙은 그들과의 충돌과 함께 하나님이 누구신가를 드러내는 현장이 되는 것입니다. 즉 욥을 억울하게 하시고 원수같이 대하심으로써 세상의 잘못된 신앙관을 폭로하시는 것입니다.
나를 도와주는 하나님만 생각했던 사람들에게 하나님이 억울하게 하심에도 불구하고 은혜를 고백하고 감사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런데 억울하다고 생각되는 어떤 일에서도 나에게는 억울하다고 할 수 있는 일이 없음을 고백하며 변함없이 하나님의 은혜를 고백한다면 그것은 성령의 인도로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신자는 자신의 믿음이 이러한 내용으로 채워져 있는가를 확인하고 또 확인하면서 어떤 하나님을 마음에 두고 있는가를 묻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리 또한 욥의 친구들과 동일한 시각에서 하나님을 생각했고 나를 도와주고 지켜주고 나의 부르짖음에 응답하시는 하나님을 원한 것 또한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에서 욥의 억울함은 예수님의 억울함으로 일치됩니다. 욥이 예수님을 안 것도 아니고 예수님처럼 죄 없는 의인인 것도 아니지만 어쨌든 하나님을 경외하여 악에서 떠난 자로 소개한 욥에게 재앙이 있게 하시고 억울하게 하심으로써 세상과 충돌하게 하신 그 일이 예수님에게서도 드러난 것입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오심은 까닭 없이 신을 믿지 않는다는 세상의 종교관과 충돌되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이 가신 억울한 고난의 길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자기 백성을 찾으시는 것으로 드러난다는 것을 확인하게 됩니다.
하나님이 억울하게 하심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신뢰하고 여전히 하나님의 은혜가 나를 나 되게 한다는 믿음을 유지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에서는 나올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것을 참된 믿음이라고 말한다면 우리는 믿음에 대한 우리의 의지와 가능성을 내려놓고 온전히 성령의 인도하심만 구해야 합니다. 이러한 신자가 예수님이 당하신 억울한 죽음의 이유가 자신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예수님의 고난에 동참하고자 할 것입니다.
만약 욥에게 재앙이 없었다면 세 친구와 같은 사탄적 속성의 종교관이 도출되는 기회를 얻지 못했을 것입니다. 하나님이 아닌 하나님을 생각하면서 믿음의 길을 잘 가고 있다고 착각하는 것이 전부였을 뿐입니다.
예수님의 오심 또한 다르지 않습니다. 대개는 예수님의 오심을 구원에만 의미를 두지만 중요한 것은 예수님을 세상이 대적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십자가에 죽으신 예수님을 조롱했습니다. 하나님의 아들이면서도 자신을 구원하지 못하는 나약함을 조롱한 것입니다.
이러한 것이 뭔가 하면 신자는 복을 받아야 하고 성공해야 한다는 자기의 결과론을 가지고 예수님의 고난을 해석하는 것은 것입니다. 때문에 이들에게는 하나님의 아들이 십자가에 죽으시는 것은 이해도 용납도 되지 않는 일이었습니다. 그렇게 예수님을 억울하게 하시고 고난의 길로 가게 하심으로써 하나님의 백성과 백성 아닌 자가 나뉘게 된 것입니다.
하나님을 찾는 사람들이 억울함을 느끼는 것은 본인은 하나님을 섬겼다고 생각하는데 고난을 겪을 때입니다. 그런 경우 사람들은 하나님이 공평하지 않다고 불평합니다. 본인이 하나님을 섬겼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러한 불평이 있게 된다는 것을 모르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을 섬겼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하나님을 섬긴 것이 아니라 이용하는 것이었을 뿐임을 눈치 채지 못한 것입니다.
만약 자신이 하나님을 이용하는 것이었을 뿐임을 안다면 어떻게 달라질까요? 자신을 복 받아야 할 자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저주의 존재로 보게 됩니다. 저주의 존재로 보게 될 때 현재의 모든 것은 넘치는 은혜가 되기에 불평이 아닌 감사가 있게 됩니다. 그리고 모든 것을 하나님의 선하심으로 보게 되는 것입니다.
신자가 믿음에 대해 이러한 시각을 갖게 된다면 자신이 하나님을 믿었고, 믿음으로 선한 일을 했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이 의미 없고 무가치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자신이 어떻게 살았던 그것과 상관없이 하나님은 하나님의 뜻을 이루시기 위해 일하시는 분이라는 것에 눈을 뜨게 된다면, 나를 억울하게 하시는 것도 그 속에서 그리스도를 증거 하라는 하나님의 뜻으로 보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억울하게 죽임을 당하신 예수님의 십자가에 앞에서 할 말이 없게 됩니다. 입을 다물 수밖에 없습니다. 억울하다는 말도 할 수 없고 하나님을 믿었는데 왜 힘들게 합니까? 라는 불평 또한 할 수 없게 됩니다. 내가 조건으로 내세우는 모든 것이 다만 냄새나는 쓰레기일 뿐이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욥을 통해서 전혀 생소한 신앙세계를 보게 됩니다. 억울하게 하시고 그물로 나를 에워싸고 길을 막아 지나가지 못하게 하시고 내 앞길에 어둠을 두시는 이해할 수 없는 이상한 하나님보다는 열심히 신앙생활하면 복을 주시는 하나님이 더 친근하게 다가옵니다. 그런데 그것이 하나님을 우상화 하는 것임을 알게 되면서 내가 살기 위해 하나님을 찾는 신앙을 부인하게 되는 것이 은혜입니다.
우리에게 현실은 내가 잘살고 못살고의 문제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가 부활하셨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가 부활한다는 것입니다. 부활이라는 엄청난 은총 안에 있는 신자에게 억울한 일은 없습니다. 이것이 세상이 이해할 수 없는 낯선 세계입니다. 낯선 세계가 우리의 현실임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Chapter 47
Doing Me Wrong
Then Job answered and said,
How long will ye vex my soul, and break me in pieces with words?
These ten times have ye reproached me: ye are not ashamed that ye make yourselves strange to me.
And be it indeed that I have erred, mine error remaineth with myself.
If indeed ye will magnify yourselves against me, and plead against me my reproach:
Know now that God hath overthrown me, and hath compassed me with his net.
Behold, I cry out of wrong, but I am not heard: I cry aloud, but there is no judgment.
He hath fenced up my way that I cannot pass, and he hath set darkness in my paths.
He hath stripped me of my glory, and taken the crown from my head.
He hath destroyed me on every side, and I am gone: and mine hope hath he removed like a tree.
He hath also kindled his wrath against me, and he counteth me unto him as one of his enemies.
His troops come together, and raise up their way against me, and encamp round about my tabernacle. (Job 19:1-12 KJV)
(Sermon)
Job’s friends believe that all good things or bad things one has done will return to one, thinking that God rewards or punishes people according to their behaviors for God as monitoring them. Their idea of God is obviously wrong. We can even find out they are wrong by taking a look at things in the world not going as the punitive justice. Their thoughts are of men’s superstitious minds.
To such, Job keeps claiming his innocence, implying his afflictions have nothing to do with his sins, given by God. Of course, they wouldn’t accept his words because they don’t think God works that way. That’s why the three friends take a turn to criticize his idea of God in their logic.
In fact, the God Job is talking about is neither general nor universal because it is not acceptable by anyone. In this sense, today’s passage is not of the general God, either.
Now, what we need to make sure is if the God we believe in is the same God Job is claiming. If not, we have to conclude that we are not different from Job’s friends.
In Verses 6 and 7, it says, “then know that God has wronged me and drawn his net around me. “Though I cry, 'I've been wronged!' I get no response; though I call for help, there is no justice.”
The God generally understood by people is the one who solves problems wrongly done to his people, and helps them when they cry out, and give back to those who harmed them. People believe in God for that purpose and they show God their zeal and devotion not to lose such benefits.
Yet, the God of Job overthrows His people regardless of their sin, and doesn’t hear their crying out in hardships. His friends, opposing to Job as much as they can, wouldn’t understand his words of the God.
In Verse 11, it says, “He hath also kindled his wrath against me, and he counteth me unto him as one of his enemies”, meaning God treats him like an enemy, showing him God’s wrath.
Hearing his words, you might be wondering why God is doing such. To understand this, we ought to remember his afflictions are not just given between God and Job.
Going back to Chapter 1, it begins with Satan’s question to God of Job, saying there must be a reason for Job to revere God. And God allowed Satan to hit Job.
Yet, God didn’t only allow him to hit Job to make sure his faith. Through the afflictions, God brings people who have the same mind of Satan, giving a way to conflict, revealing who God is. In other words, God exposes the world’s superstitious mind as putting Job in the situations and treating him like an enemy.
It is impossible that people in the religious mind can praise God, who overthrows His people, in such conditions like Job’s. If one confesses the grace of God even then, it is only possible by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Thus, believers need to ask themselves if they are living in such confession because it is true that our idea of God was not far from that of Job’s friends and still wants the God who works for our welfare.
In this comprehension, his seemingly unfair situation fits that of Jesus. It’s neither that Job knows Jesus nor he is righteous like Him, but we can learn that Job’s being overthrown, who was at the beginning introduced as one revering God and eschewing evil, happened to Jesus.
Thus, the coming of Jesus conflicts with the mind of people, ‘there must be a calculation to believe in God.’ In spite of that, we can see there are people who would like to participate the way of Jesus, agony.
A confession, ‘I am that I am by the grace of God’, in faith even though one is overthrown by God can’t be of the human nature. Since such is from the true faith, we must seek for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while putting aside our own will and possibility of faith. Only then, can we understand the ones who crucified Jesus are ourselves, willing to walk on the way of Jesus.
If Job hadn’t had the afflictions, there would never have been a chance to see the satanic character from his friends, superstitious mind. There would have been an illusion that one lives well in faith while thinking of believing in man-made god.
In the case of the coming of Jesus, there is no difference. Although many would focus on salvation for His coming, the thing is that the world was against Him and despised Him dying on the cross for His weakness, not being able to save Himself, claiming the Son of Go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people would judge Jesus by their own standard that they must be happy and guaranteed for their own welfare. That’s why no one would accept the situation that the Son of God died on the cross as the weak. However, in so doing, God divides who are people of God and who aren’t.
Those who are seeking for God feel unfair when they have difficulties even though they think they are doing their best for God in worship. Then, they complain against God for the wrong doings, not knowing the complaint is from themselves that they thought they did something for God. In other words, they aren’t aware that they were using God for their own sake.
What if they knew they tried to use God for their own sake? They would see themselves as the ones who don’t deserve to receive blessings but curse. Then, all things given to them come as the blessings in thanksgiving, leading them to the goodness of God.
When a believer has such understanding, one comes to know whatever one thought has done for God is valueless. When one opens one’s eyes to see God working for His will regardless of what one does, one even finds unfair situations as an opportunities to proclaim Christ.
That’s why we come to be speechless at the cross of Jesus Christ, who was overthrown to death. There is no resentment or complaint such as ‘why me?’ or ‘unfair.’ It is because we learn that all of our rationales of complaining are all filthy.
We are given an opportunity to see the very strange world of faith through Job. We would rather prefer God who rewards us according to our devotion and zeal than the strange and incomprehensible God who wrongs, blocks and puts us in darkness. However, it is the grace of God that we come to deny ourselves who seek for God for our own sake, nothing but idolizing God.
Our reality is not that we live happy or unhappy but Jesus arose among the dead and we will be resurrected. There can’t be anything wrongly done to us who are in such miraculous grace of His resurrection. This is the strange realm that this world can never comprehend. I earnestly pray that we come to believe that such strange world is our reality!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9강) 그를 보리니 (0) | 2023.06.15 |
---|---|
(48강) 조롱과 멸시 (0) | 2023.06.15 |
(46강) 악인의 운명 (0) | 2023.06.15 |
(44강) 담보물 (0) | 2023.06.15 |
(43강) 나의 증인 (0) | 2023.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