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욥이 대답하여 이르되
2.오늘도 내게 반항하는 마음과 근심이 있나니 내가 받는 재앙이 탄식보다 무거움이라
3.내가 어찌하면 하나님을 발견하고 그의 처소에 나아가랴
4.어찌하면 그 앞에서 내가 호소하며 변론할 말을 내 입에 채우고
5.내게 대답하시는 말씀을 내가 알며 내게 이르시는 것을 내가 깨달으랴
6.그가 큰 권능을 가지시고 나와 더불어 다투시겠느냐 아니로다 도리어 내 말을 들으시리라
7.거기서는 정직한 자가 그와 변론할 수 있은즉 내가 심판자에게서 영원히 벗어나리라
8.그런데 내가 앞으로 가도 그가 아니 계시고 뒤로 가도 보이지 아니하며
9.그가 왼쪽에서 일하시나 내가 만날 수 없고 그가 오른쪽으로 돌이키시나 뵈올 수 없구나
<설교>
엘리바스의 세 번째 충고를 들으면 하나님에 대한 지식으로 빈틈이 없을뿐더러 참된 신앙인의 신앙 고백이라 해도 부족함이 없을 정도입니다. “네가 의로운들 전능자에게 무슨 기쁨이 있겠으며 네 행위가 온전한들 그에게 무슨 이익이 되겠느냐”(3절)는 말이나 “네 보화를 티끌로 여기고 오빌의 금을 계곡의 돌로 여기라 그리하면 전능자가 네 보화가 되시며 네게 고귀한 은이 되시리니”(24,25절)라는 말은 반박할 틈이 없을 정도로 완벽한 말로 들리기도 합니다.
여기에 “너는 하나님과 화목하고 평안하라 그리하면 복이 네게 임하리라”(21절),“사람들이 너를 낮추거든 너는 교만했노라고 말하라 하나님은 겸손한 자를 구원하시리라”(29절)는 말을 더해 보십시오. 이러한 말에 욥이 무슨 반박을 하겠습니까? 반박보다는 욥이 엘리바스의 모든 말을 수긍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으로 우리의 생각도 기울어질 것입니다.
그만큼 엘리바스의 말은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엘리바스는 자신의 말에 담긴 의미를 알지 못한 채 욥의 마음을 움직이고 설득하기 위한 의도로 지식을 동원하는 것뿐입니다. 하지만 욥은 여전히 친구의 충고를 따르지 않습니다. 친구들은 욥의 재앙이 죄의 결과라고 단정하고 충고하지만 욥은 재앙을 받아야 할 죄를 짓지 않았다는 입장이기 때문입니다.
욥이 “오늘도 내게 반항하는 마음과 근심이 있나니 내가 받는 재앙이 탄식보다 무거움이라”(2절)고 말합니다.
반항하는 마음이 있다는 것은 자신의 겪는 일에 대한 억울한 심정을 토로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향한 탄식이기도 하고 원망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어찌되었건 욥이 하나님에 대한 이러한 자세를 취한다는 것은 신앙에 대한 우리의 정서와는 맞지 않다고 할 것입니다. 우리에게 하나님은 어떤 경우에도 원망과 불평의 마음을 가져서도 안되는 분으로 존재하고 그렇게 인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어떤 이유로든 하나님에 대한 불평과 원망이 있는 것 자체를 신앙이 아닌 불순한 자세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만약 욥과 그 친구들의 대화를 듣고 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누구의 편을 들고 누구의 손을 들어줄 것 같습니까? 모르긴 해도 욥 친구들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욥은 뚜렷한 이유나 증거가 없이 자신의 옳음, 죄 없음만 주장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죄 없음을 주장하는 것은 교만으로 비춰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욥기를 보면서 누가 옳은가 하는 것은 우리의 논점 밖으로 밀쳐놔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욥을 이끌어 가시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보여주시는 것으로 무엇을 알게 하시는가에 있기 때문입니다.
욥의 친구가 옳든 욥이 옳든 어느 한쪽의 옳음이 우리의 신앙에 줄 수 있는 가르침이 무엇일까요?‘욥이 옳으니까 욥처럼 하라’는 결론을 내린다면‘무엇이 욥처럼 하는 것일까요?’여기에 대해 우리가 찾을 수 있는 가르침은 없습니다. 그래서 ‘누가 옳으냐?’는 것은 우리의 논점 밖으로 밀쳐놔야 한다고 말씀드린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욥기를 보는 내내 ‘뭘 어떻게 하란 것인가?’라는 의문과 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무의미한 고민에 사로잡힐 것입니다.
사실 욥기를 보면서 ‘이것이 신앙이다’고 말할 수 있는 분명한 답을 얻기가 쉽지 않습니다. 다만 공감할 수 있는 것은 재앙이라는 상황에서 드러나는 욥의 혼란과 당황, 그리고 탄식과 원망입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욥이 참된 신앙인이었다면 그 모든 것까지 인내하고 극복했어야 하지 않느냐’라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신앙인다움’이라는 우리의 잣대입니다.
욥도 자신이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답을 가지고 친구들에게 반박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의 재앙을 하나님의 징벌로 몰아붙이는 친구들에게 반발은 하면서도 하나님의 일하심에 대한 이유를 알지 못해 본인도 고통스러워하는 것입니다.
욥의 이러한 심정은“내가 어찌하면 하나님을 발견하고 그의 처소에 나아가랴 어찌하면 그 앞에서 내가 호소하며 변론할 말을 내 입에 채우고 내게 대답하시는 말씀을 내가 알며 내게 이르시는 것을 내가 깨달으랴”(3-5절)는 말에서도 엿볼 수 있습니다.
욥은 하나님이 어디에 계신지 알고 그 곳에 갈 수만 있으면 당장 찾아가서 자기 문제에 대한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싶어 합니다. 하나님은 자신의 억울함과 정당함을 아실 것으로 생각한 것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어디에서도 만 날수도 발견할 수도 없습니다.
“그런데 내가 앞으로 가도 그가 아니 계시고 뒤로 가도 보이지 아니하며 그가 왼쪽에서 일하시나 내가 만날 수 없고 그가 오른쪽으로 돌이키시나 뵈올 수 없구나”(8-9절)는 말도 이러한 욥의 심정을 담고 있다고 할 것입니다.
욥이 말한 하나님을 발견하지 못하고 만나지도 못한다는 것은 욥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에게 동일한 문제입니다. 누구도 하나님을 볼 수 없고 만날 수 없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한계라면 우리는 하나님을 만나지도 발견하지도 못한 채 무작정, 맹목적으로, 관념으로만 믿어야 하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것이 기독교 신앙의 전부라면 우리의 신앙은 형식으로만 유지된 채 저마다 자기의 하나님을 하나님으로 주장하게 될 것입니다. 물론 그것이 지금의 기독교 현실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말씀을 통해서 하나님을 알아가게 되고 말씀 안에서 하나님을 만납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러한 만남보다는 좀 더 실제적인 만남을 원합니다, 신비스럽고 놀라운 일을 경험하는 것으로 하나님의 존재를 확인하고 싶어 합니다. 이러한 사람이 그 기대대로 뭔가를 경험했다고 해서 달라지는 것이 있을까요? 하나님을 아는 자로 사는 것보다는 아마 평생을 자기 경험에서 헤어나지 못할 것입니다.
욥이 말하는 반항하는 마음이나 근심, 원망, 이것을 하나님을 신앙하지 않고 대적하는 것으로만 규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욥의 모든 상태가 하나님의 간섭에 의한 것임을 염두에 둔다면 하나님은 욥이 겪는 모든 것을 통해서 배우게 하고자 하는 것이 있음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욥 42:3절을 보면 “무지한 말로 이치를 가리는 자가 누구니이까 나는 깨닫지도 못한 일을 말하였고 스스로 알 수도 없고 헤아리기도 어려운 일을 말하였나이다”라고 말합니다.
욥은 자신의 모든 말이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 깨닫지 못한 자의 무지한 말이었음을 알게 됩니다. 즉 욥이 배우게 된 것은 자신은 무지한 자일뿐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주신 문제를 풀지 못하고 답을 알지도 못해서 힘들어 했던 것을 생각하면서 자신의 나약함에 눈을 뜨게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신앙의 내용으로 자리한다면‘하나님이 기뻐하실 일을 하자’라는 말을 감히 하지 못할 것입니다.
하나님이 기뻐하실 일을 하는 것은 고사하고 항상 진노를 쌓고 있는 자신의 실상, 한계에 눈을 뜨면서 비로소 자신과 무관하게 하나님의 은혜로 존재하고 살아왔음을 알아야 합니다. 이것이 하나님을 발견하고 만나는 경험입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삶에서 자신의 무능, 한계, 악함, 절망 등등을 확인한다면 그 모습 그대로 하나님을 찾는 것이 최선입니다. 자신의 실상을 아는 것에 자기 부인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보면 욥에게 세 친구의 등장은 욥을 돕기 위한 것이 아니라 더 깊은 절망과 원망으로 밀어 넣기 위한 하나님의 조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실패의 자리로 데려가시는 것이 하나님의 일인 것입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신앙의 틀에서 자신을 판단해 보십시오. 과연 신앙에 성공한 적이 있었습니까? 아닐 것입니다. 우리는 늘 실패자일 뿐입니다. 우리 속에 자리하고 있는 불만과 욕망이 우리가 실패자라는 확고한 증거물입니다.
여러분께 말씀드릴 것은 실패자의 자리에서 여러분을 붙들고 있는 그리스도를 보시라는 것입니다. 믿음에 성공하신 예수님이 여러분을 붙들고 있습니다. 그 때문에 우리가 비록 실패자이긴 하지만 성공자로 여김 받는 것입니다. 이것이 예수 그리스도 안이라는 신비의 세계입니다.
삶에서 실패하는 자신을 보게 되고, 실패의 자리에서 십자가에서 피 흘려죽으신 그리스도를 보게 된다면 하나님의 크신 은총을 누리는 것입니다. 비록 삶은 힘들고 지친다 해도 가야할 길만큼은 확고하고 확실해질 것입니다. 예수님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을 알게 되고 알아가는 그 하나의 진리가 우리의 평생에 빛으로 활동하는 것입니다.
Chapter 55
My Bitter Complaint
Then Job answered and said,
Even to day is my complaint bitter: my stroke is heavier than my groaning.
Oh that I knew where I might find him! that I might come even to his seat!
I would order my cause before him, and fill my mouth with arguments.
I would know the words which he would answer me, and understand what he would say unto me.
Will he plead against me with his great power? No; but he would put strength in me.
There the righteous might dispute with him; so should I be delivered for ever from my judge.
Behold, I go forward, but he is not there; and backward, but I cannot perceive him:
On the left hand, where he doth work, but I cannot behold him: he hideth himself on the right hand, that I cannot see him. (Job 23:1-9 KJV)
(Sermon)
When hearing the third time of Eliphaz’s advice to Job, we find that he sounds like a true believer with deep knowledge of God such as 22:3, “Is it any pleasure to the Almighty, that thou art righteous? or is it gain to him, that thou makest thy ways perfect?”, or 22:24-25, “Then shalt thou lay up gold as dust, and the gold of Ophir as the stones of the brooks. Yea, the Almighty shall be thy defence, and thou shalt have plenty of silver.”
Besides, he even says in Verse 21, “Acquaint now thyself with him, and be at peace: thereby good shall come unto thee”, or Verse 29, “When men are cast down, then thou shalt say, There is lifting up; and he shall save the humble person.” How do you think Job could oppose to his words? We would rather think he should accept them.
His words are based on the knowledge of God. But the thing is that he is saying them without knowing the meaning, just persuading Job to repent. Yet, Job isn’t still listening to him because whereas Job’s friends assume his afflictions are caused by his sins, Job keeps his position that the afflictions aren’t of his sins at all.
Job says in Verse 2, “Even to day is my complaint bitter: my stroke is heavier than my groaning.”
He is saying it from the feeling of unfairness in his experience. It could also be seen as resentment and groaning against God. We might think his attitude toward God in his words isn’t what we know faith is because we believe we mustn’t resent or complain against God in any situations. In other words, we conclude that having resentment and complaint against God itself is of unbelief.
Suppose you are listening to the conversation between Job and his friends. Which side would you stand for? It would probably be his friends’ side because Job just insists on himself without reasoning or evidence. The claim of his innocence would only sound nothing but his pride.
However, we shouldn’t judge who is right in the meditation of the Book of Job because it is to let us know who God is, teaching us by leading Job.
Whether Job’s friends are right or he is right, what is it that we can learn? Is it, ‘Job is right, so we should do what he does’? Then, what is it that he does? There is nothing we can learn. That’s why I have told you to put aside your judgmental mind. Otherwise, while reading the Book of Job, we would continually be wondering over by a question, ‘what does it say we should do?’
In fact, it is not easy for us to learn, ‘this is what faith is’ in the Book of Job. The only things we can understand in our common sense are his being confused, bewildered, lamentation and resentment. Furthermore, we might have a mind that he should have been patient until the end if he were a true believer, which is our standard of what faith ought to be.
Job doesn’t oppose to his friends with knowing what he should do either. He is in trouble not knowing why God is doing all to him while refusing his friends, accusing him of his sins for the afflictions.
We can see how he feels in Verses 3 to 5, “Oh that I knew where I might find him! that I might come even to his seat! I would order my cause before him, and fill my mouth with arguments. I would know the words which he would answer me, and understand what he would say unto me.”
He says he would like to hear God if he could come to Him, thinking that God would know his feeling of the unfairness. Yet, he can’t find God anywhere.
Verses 8 and 9 also tell us the same thing, “Behold, I go forward, but he is not there; and backward, but I cannot perceive him: On the left hand, where he doth work, but I cannot behold him: he hideth himself on the right hand, that I cannot see him.”
It is true that no one can find or meet God, including Job. If it is our limitation, do we have to believe in God only in our idealism?
No. If it were all about Christianity, all christians would be perfunctory, claiming all different ideas of God. Of course, it is true that this is what the modern Christianity is about.
We meet and get to know who God is through the Word of God. Yet, people would prefer something tangible and visible to such knowledge from the Bible. They want to have special experiences. Even if one experienced something special, what would happen to one? One would probably be caught by one’s experience rather than live as one knowing God.
We don’t have to conclude that his complaint, worries or resentment against God is of his unbelief because we can learn the will of God through his experiences since God is the One, putting him in the situations.
In Job 42:3, it says, “Who is he that hideth counsel without knowledge? therefore have I uttered that I understood not; things too wonderful for me, which I knew not.”
There, Job finds that all that he uttered were of his ignorance of God. That is, what he has come to learn is his ignorance. It can be said that he has come to open his eyes to see his weakness, looking back to himself, not knowing the will of God. If this is what faith is about, we can’t dare to say, ‘let us do such and such to please God.’
We should realize that we have only lived by the grace of God as we come to see our sinful nature, just piling up the wrath of God rather than pleasing God. This is the experience of finding and meeting God. When we come to know our inability, limitation, wickedness and despair, it is the good news that we come to God as we are because knowing our weakness is self-denial.
In this sense, the appearance of his three friends in the Book of Job is not to help Job but to push him into deeper despair and complaint in the will of God. That is, the work of God is to bring him to the seat of failure.
Judge yourselves even in your frame of faith. Have you ever been successful? I doubt you have. We all have always been in failure. Our dissatisfaction and desire are the immovable proofs of it.
What I would like to tell you is to look at Christ, who is holding you in your seat of failure. The One in the success of faith is holding you, by which we are deemed in success although in failure. This is the mystery of ‘in Christ.’
It is to experience the grace of God if one comes to see oneself in failure of faith and look up to Christ, shedding His blood on the cross, in the seat of one’s failure. Then, even if one’s life is hard and exhausting, one will surely know where to go in life. It is because one knows Christ. The truth of knowing Him and growing in the knowledge of Him is the light that shines the way of our whole life!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7강) 정하지 않은 때 (1) | 2023.06.15 |
---|---|
(56강) 순금 같이 (0) | 2023.06.15 |
(54강) 네가 의로운들 (0) | 2023.06.15 |
(53강) 남겨둔 악인 (0) | 2023.06.15 |
(52강) 악인의 번성 (0) | 2023.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