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데만 사람 엘리바스가 대답하여 이르되
2.사람이 어찌 하나님께 유익하게 하겠느냐 지혜로운 자도 자기에게 유익할 따름이니라
3.네가 의로운들 전능자에게 무슨 기쁨이 있겠으며 네 행위가 온전한들 그에게 무슨 이익이 되겠느냐
4.하나님이 너를 책망하시며 너를 심문하심이 너의 경건함 때문이냐
5.네 악이 크지 아니하냐 네 죄악이 끝이 없느니라
6.까닭 없이 형제를 볼모로 잡으며 헐벗은 자의 의복을 벗기며
7.목마른 자에게 물을 마시게 하지 아니하며 주린 자에게 음식을 주지 아니하였구나
8.권세 있는 자는 토지를 얻고 존귀한 자는 거기에서 사는구나
9.너는 과부를 빈손으로 돌려보내며 고아의 팔을 꺾는구나
10.그러므로 올무들이 너를 둘러 있고 두려움이 갑자기 너를 엄습하며
11.어둠이 너로 하여금 보지 못하게 하고 홍수가 너를 덮느니라
<설교>
하나님이 세상을 다스리신다는 것이 기독교의 기본 생각이고 믿음이지만 정작 하나님이 나를 다스리시고 간섭하신다는 자각 가운데 생활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것이 믿음과 삶의 괴리라고 할 수 있는데 별 문제 없는 일상생활에서는 하나님의 다스림은 잊고 살다가 정작 힘든 문제가 발생하면 ‘하나님이 왜 이렇게 하실까?’라는 한탄을 하는 것입니다.
어쨌든 이것은 현실을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생각한다는 뜻일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경우 하나님에 대한 오해가 있다면 그것은 현실 문제에 대한 오해로 이어집니다. 가령 하나님의 사랑을 오해하면 그 사랑을 현실의 평안으로 해석하기 때문에 전혀 예상하지 못한 고통이라는 현실에 부딪혔을 때 하나님에 대한 이해에 왜곡이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욥 친구들에게서 목격할 수 있습니다.
욥 친구들은 재앙이라는 욥의 현실을 죄의 시각에서 해석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에 무거운 재앙이 주어진 것은 죄가 아니면 해석될 수 없다는 것이 그들의 시각입니다. 이것이 욥 친구 모두의 공통적 시각이기에 고통의 현실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회개를 제안한 것 역시 친구 모두의 의견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욥은 친구들의 제안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자신에게서 재앙을 받아야 할 죄를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현실 자체가 친구들의 주장을 반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욥은 악인일지라도 번성하고 평안하게 살다가 죽는 것이 현실임을 말합니다. 욥의 재앙이 죄 때문이라면 죄를 행한 모든 악인은 욥처럼 재앙을 받아야 한다는 합리적 논리로 재앙에 대한 친구들의 판단이 잘못되었음을 주장합니다.
이제 친구들은 욥의 반박에 답을 해야 합니다. 욥의 말대로 악인들이 재앙은커녕 번성과 평안을 누리는 현실에 대한 해석이 있어야 합니다. 재앙의 원인을 죄로 말하는 것은 번성과 평안을 복으로 해석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욥은 악인이 번성과 평안을 누리는 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가를 묻는 것입니다.
욥의 말에 엘리바스가 다시 세 번째로 등장하여 반박하며 비난하는 것이 22장입니다. 그런데 엘리바스는 욥이 반박했던 악인의 현실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자기 말만합니다. 아마 반박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엘리바스가 성경적 지식이 부족해서가 아닙니다. 문제는 하나님에 대한 인식의 오류입니다. 하나님의 일하심과 신자의 복을 땅의 번성, 평안으로 해석하는 시각에서는 욥이 말한 악인의 현실이 설명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도 우리를 당황하게 하는 것은 엘리바스의 말이 지극히 성경적이며 참된 신앙인의 신앙고백처럼 들린다는 것입니다. 22장을 엘리바스가 아니라 여러분이 알지 못하는 어떤 신앙인의 말이라고 생각해 보십시오. 아마 신앙 좋은 신자의 신앙고백처럼 들릴 것입니다. 그런데도 하나님은 욥을 옳다고 하셨다는 점이 우리를 난감하게 하는 것입니다. 오류가 없어 보이는 엘리바스의 말에서 잘못됨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말은 옳지만 욥을 비난한 것이 잘못일까요? 그렇다 해도 그것은 지엽적인 문제일 뿐이기에 말이 옳다면 옳은 말은 인정해야 합니다. 이런 문제를 염두에 두고 엘리바스의 말을 생각해 보면 우리의 문제가 무엇인가를 생각할 수 있는 유익이 있을 것입니다.
엘리바스는 2,3절에서 “사람이 어찌 하나님께 유익하게 하겠느냐 지혜로운 자도 자기에게 유익할 따름이니라 네가 의로운들 전능자에게 무슨 기쁨이 있겠으며 네 행위가 온전한들 그에게 무슨 이익이 되겠느냐”라고 말합니다.
사람이 하나님께 유익하게 할 수 없다는 말은 분명 맞습니다. 사람이 의롭고 온전하다 해도 그것이 하나님께 기쁨이 되고 이익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엘리바스가 이런 말을 하는 의도는 욥이 의롭다 해도 하나님에 대해서는 무가치하고 무의미한 것이기 때문에 자기의 의로움을 포기하고 회개할 것을 촉구하고자 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나님께 기쁨이 되지도 못하는 자신의 의로움을 포기하라는 취지입니다.
하지만 이 말에 담긴 모순이 있습니다. 그것은 자신들에게는 재앙이 없다는 이유로 욥보다 더 의롭다고 생각한다는 점입니다. 인간의 의로움이 전능자에게 기쁨이 되지 않는 것이라면 엘리바스도 자신의 의로움에 대한 가치를 내려놔야 합니다. 그렇다면 재앙을 받지 않았으니 더 의롭다는 말은 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친구들의 논쟁을 통해서 말씀을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 적용시키는데 능숙한 인간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그것이 우리의 모습인 것을 놓치면 안 될 것입니다.
결국 엘리바스는 자신이 하는 말에 담긴 의미를 알지 못하고 내뱉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맞는 말 같지만 맞지 않는 오류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말이 옳다 하여 사람도 옳은 것은 아닙니다.
21절에 보면 “너는 하나님과 화목하고 평안하라 그리하면 복이 네게 임하리라”고 말합니다. 엘리바스는 자신은 하나님과 화목하고 평안하다고 생각하고 이 말을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증거는 역시 재앙이 없는 평안의 삶으로 생각할 것입니다.
엘리바스의 말이 앞뒤가 맞지 않고 자기의 말의 의미도 모른다는 것은 그 말에서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 엘리바스는 사람이 하나님께 유익하게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의로운들 하나님께 기쁨이 되지 않는다 하고 행위가 온전해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사람이 무엇으로 하나님과 화목하고 평안해 질 수 있을까요? 이것이 말의 모순입니다.
그런데도 엘리바스는 자기 말의 모순에 대해 알아채지 못합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말의 의미를 모른 채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신자는 말을 잘해서 상대방을 설득시키겠다는 생각을 버리고 말을 하기 전에 먼저 자신이 설득되어야 하다는 것을 주지해야 합니다. 자신이 설득되지 않은 말은 그저 지식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엘리바스의 말의 모순 한 가지를 더 확인하겠습니다. 24-26절을 보면 “네 보화를 티끌로 여기고 오빌의 금을 계곡의 돌로 여기라 그리하면 전능자가 네 보화가 되시며 네게 고귀한 은이 되시리니 이에 네가 전능자를 기뻐하여 하나님께로 얼굴을 들 것이라”는 말을 합니다.
이 말만 두고 본다면 지극히 성경적이고 은혜가 되는 말이 아닐 수 없습니다. 누구라도 아멘하지 않으면 안 될 복음적인 말이라고 생각될 것입니다. 그런데 보화를 티끌로 여기고 금을 돌로 여기라는 그가 하나님과 화목하면 복이 임한다고 합니다. 욥의 상황에서 복이 임한다는 말의 의미는 재앙이 사라지고 예전의 평안과 부요를 누린다는 뜻입니다. 보화를 티끌로 여기라고 하면서 복을 말하는 이것이 마치 한국교회의 실상으로 생각되지 않습니까?
엘리바스는 전능자가 보화가 되시고 고귀한 은이 되신다고 말했습니다. 아멘으로 받아들일 내용입니다. 이것이 믿음으로 자리한다면 신자에게 세상의 것은 복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한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보화가 되신 하나님과 함께 하는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엘리바스의 말은 지극히 이율배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경을 가볍게 생각하면 안됩니다. 인간에 대해서도 쉽게 생각하면 안됩니다. 엘리바스의 말에서 드러나는 것은 벗어버릴 수 없는 인간의 속성입니다. 지극히 평범한 인간의 생각과 말에 의해서 지금 우리들의 실상이 선명하게 폭로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진정한 말씀에 의해 내가 설득당하는 것이고 그것이 곧 성경의 능력입니다. 사람의 지식에 의한 설득이 아니라 말씀의 능력에 의해 설득되는 것임을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이 하는 말이 옳고 알고 있는 지식이 옳다고 생각합니까? 그렇다면 알고 있는 것으로 자신이 어떻게 설득되는가를 반드시 생각하십시오. 혹 자신이 설득되는 것 없이 말한다면 그것이 천사의 말일지라도 소리 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일 수밖에 없습니다. 말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이 결국 자신을 포장하는 용도에 불과할 뿐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의로운들 전능자에게 기쁨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어떻게 의롭게 되었는지에 대한 내막을 알고 나 같은 자를 의롭게 하신 그리스도로 감사한다면 그것이 전능자에게 기쁨이 됩니다. 이 기쁨을 위해 불의한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다 하셨습니다. 이것이 여러분의 앎의 내용이라면 말씀드린 것처럼 자신이 먼저 설득되었는가를 생각하십시오. 설득되었다면 그리스도가 피로 이루신 완성의 세계에서 부족함이 없음을 즐길 것입니다.
Chapter 54
Even If You were Righteous
Then Eliphaz the Temanite answered and said,
Can a man be profitable unto God, as he that is wise may be profitable unto himself?
Is it any pleasure to the Almighty, that thou art righteous? or is it gain to him, that thou makest thy ways perfect?
Will he reprove thee for fear of thee? will he enter with thee into judgment?
Is not thy wickedness great? and thine iniquities infinite?
For thou hast taken a pledge from thy brother for nought, and stripped the naked of their clothing.
Thou hast not given water to the weary to drink, and thou hast withholden bread from the hungry.
But as for the mighty man, he had the earth; and the honourable man dwelt in it.
Thou hast sent widows away empty, and the arms of the fatherless have been broken.
Therefore snares are round about thee, and sudden fear troubleth thee;
Or darkness, that thou canst not see; and abundance of waters cover thee. (Job 22:1-11 KJV)
(Sermon)
Although it is fundamental that christians believe God reigns the whole world, many don’t think God reigns and intervenes individually, which is called the gap between faith and life, causing one to resent God when in difficulties, even though one forgets God’s reigning in one’s daily life.
Anyway, it could be said that one thinks the reality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Yet, in this case, if one has a misunderstanding of God, that misunderstanding will lead one to misunderstanding of reality. For example, if one thinks that the love of God is to provide one with the peaceful life in reality, when one suffers from pain, one comes to misunderstand God, which we can find in Job’s friends.
They look at Job’s reality in terms of sin, concluding that since God is love, there is no reason to give Job such pain other than for his sins. As they have the thought in common, they all suggested that Job repent to solve the problem.
However, Job doesn’t agree with them because he can’t find his sins in himself and the reality itself is against their arguments, saying the wicked are prosperous and die peacefully in reality. He argues that if his situations were of his sins, all the wicked would have to be in afflictions as he was, implying their idea is wrong.
Now, it’s time for his friends to take a turn to argue back to Job. They have to explain to him about the prosperity of the wicked around them. That they say sin is the cause of afflictions means prosperity and peace are the results of God’s blessings. Thus, Job is asking them to support their reasoning of why the wicked are enjoying prosperity and peace in their lives.
It is Chapter 22 that Eliphaz takes his turn for the third time to criticize against Job. Yet, he says his own words without mentioning of Job’s words on the prosperity of the wicked. It’s probably right to say that he can’t. It is not because his knowledge is lacking but he has a misunderstanding of God. The reality of the wicked Job said can’t be explained in the understanding that prosperity and peace are the result of the work of God.
Nevertheless, what surprises us is that Eliphaz sounds biblical and like a confession of a true believer. Suppose the words are from an unknown person. He might even seem spiritual. Nonetheless, the fact that God says Job is right in a later chapter confounds us because we have to find some error in Eliphaz’s words.
Is he wrong because he criticizes Job even though his words are correct? Even so, we would have to acknowledge his words if they were correct because his criticizing Job is a partial matter. In this sense, it would be useful for us to think about his words to know what our problem is.
In Verses 2 and 3, he says, “Can a man be profitable unto God, as he that is wise may be profitable unto himself? Is it any pleasure to the Almighty, that thou art righteous? or is it gain to him, that thou makest thy ways perfect?”
He is right, saying that men can’t be profitable to God. Even if men were righteous and perfect, It wouldn’t make God pleased. Eliphaz is saying such, probably because he would tell Job to give up his own righteousness and repent since Job is valueless and meaningless to God no matter how righteous he claims himself to be, intending to mean to forsake his righteousness, which can’t make God pleased.
However, there is a contradiction in his words. That is, Job’s friends think they are more righteous than Job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n’t in afflictions. If men’s righteousness is not joy to God, Eliphaz must abandon his righteousness as well. Then, he wouldn’t be able to say he is more righteous than Job is with the fact that he isn’t in difficulties. Thus, we can learn through their arguments that we are used to applying the Word of God not to ourselves but only to others. We mustn’t miss this point while meditating the Book of Job.
We can say that Eliphaz is saying what he doesn’t even know. He sounds correct but there is an error. Therefore, it is true that one may be wrong even if one’s words are right.
In Verse 21, he says, “Acquaint now thyself with him, and be at peace: thereby good shall come unto thee.” He is saying it to Job, thinking that he himself is in peace with God, vouched by the fact that he isn’t in afflictions as Job is.
He is incoherent, not knowing the meaning of his own words. He says men aren’t profitable to God, and men’s righteousness and works can’t be the cause of God’s joy. Then, what else could make men in peace with God? This is the contradiction.
Yet, Eliphaz isn’t aware of it because, as mentioned earlier, he doesn’t even know what he is saying. Thus, believers ought to be aware that they need to be persuaded by their words before they persuade others because what they say without knowing the meaning is merely superficial knowledge.
There is one more contradiction in his words. In Verses 24 to 26, he says, “Then shalt thou lay up gold as dust, and the gold of Ophir as the stones of the brooks. Yea, the Almighty shall be thy defence, and thou shalt have plenty of silver. For then shalt thou have thy delight in the Almighty, and shalt lift up thy face unto God.”
What he is saying here is very biblical and gracious, sounding exactly like the Word of God, to which believers would say, ‘amen.’ Yet, he says Job would receive blessings if he were in peace with God, meaning that blessing for Job is to get out of the afflictions and back to the riches and peace like his past life. Wouldn’t he remind you of the modern Christianity?
Eliphaz says the Almighty is the gold and silver, to which we say, ‘amen.’ If it were his confession, the provision of the world would be valueless to him because God would be all value to him. That’s why he is antinomic.
We mustn’t take a consideration of the Bible or men lightly. What we learn from Eliphaz’s words is our sinful nature, which is inevitable. His words from his common knowledge actually reveal our reality. This is how we are persuaded by the Word of God, the power of the Word of God. We should remember we are not to be persuaded by the knowledge of men but the Word of God.
Do you think your words and knowledge are right? Then, you should know how you are persuaded by that. If you aren’t persuaded, your words are like a resounding gong or a clanging cymbal, revealing your works and words are nothing but the mask to cover your true color.
No matter how righteous we are, we aren’t profitable to God. Yet, if we come to know how we have been deemed righteous and be thankful to Christ, who made us righteous, God is pleased with that. For such joy, God called us, the unrighteous, righteous in Christ. If this is what you know, think if you are persuaded by the knowledge as spoken before. When you are persuaded, you will be able to enjoy the perfect world, completed by the blood of Christ!
'◈신윤식 목사(은석교회)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6강) 순금 같이 (0) | 2023.06.15 |
---|---|
(55강) 반항하는 마음 (0) | 2023.06.15 |
(53강) 남겨둔 악인 (0) | 2023.06.15 |
(52강) 악인의 번성 (0) | 2023.06.15 |
(51강) 악인의 기업 (0) | 2023.06.15 |